본문내용
허리 숙이기 등 엉덩관절에 긴장 주지 않기
· 계단은 조심히 오르내리기
· 수술 후 6주 이내 운전하지 않기
· 수술 후 6주 이상 치료용 탄력스타킹 착용하기.
2) 골절 간호
(1) 출혈과 쇼크
· 환자 상태에 따라 활력징후를 되도록 자주 측정하여 저혈압, 심박동의 증가, 차고 축축한 피부, 안절부절 못함, 창백 등이 나타나는지 관찰한다.
· 드레싱이나 삼출물을 확인하고 출혈이 없는지 관찰한다.
· 순환혈액량을 유지하기 위하여 처방된 수액이나 혈액을 투여한다.
(2) 가스교환장애
· 정신상태의 변화나 안절부절못함이 있는지 평가한다.
· 진단적 평가 자료들을 검토한다.(특히 동맥혈 가스분석과 흉부 X-ray)
(3) 신경혈관 손상예방
· 자주 신경혈관상태를 모니터하여 신경의 압박과 순환감소, 구획증후군 등이 있는지를 사정한다.
· 손상을 입은 사지를 올려주거나 냉찜질을 해주어 부종을 감소시킨다.
· 드레싱이 꽉 조이지 않도록 하고 정맥주사가 새지 않도록 한다.
(4) 혈전색전증 예방
· 수동과 능동발목운동을 권한다.
· 탄력스타킹이나 압박기구를 사용한다.
· 처방에 따라 항응고제를 투여한다.
· 혈전정맥염이 나타나는지 잘 관찰한다.
(5) 통증완화
· 통증방지를 위한 피부자극, 연상요법, 자세 바꾸기등의 활동을 한다.
· 처방에 따라 약물을 투여한다.
· 환자와의 지지적 관계를 형성한다.
· 환자가 재활계획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6) 감염의 모니터
· 정규적으로 체온의 상승을 검사하고 백혈구수의 증가를 주목한다.
· 절개나 상처부위의 염증, 부종, 농성 분비물은 보고한다.
· 원인균 확인을 위해 배양검사물과 민감도검사물을 채취한다.
(7) 운동
· 건측은 4시간마다 능동적 관절가동범위 운동이나 등장성 운동을 격려하고, 환측은 등척성 운동을 격려하 여 근육의 구축과 위축을 방지한다.
· 욕창방지를 위해 피부에 가해지는 압박부위를 매시간 사정한다. 자세를 변경하거나 공기침대, 물침대를 사용한다면 효과적이다.
(8) 영양공급
· 골절 후에는 치유를 위해 대사요구가 증가되어 하루 3000Kcal~4000Kcal의 섭취가 요구된다.
· 부동으로 인한 변비에는 섬유소나 수분섭취를 한다.
· 과일, 채소, 단백질, 비타민 등을 포함하는 영양식이는 치유에 도움이 된다.
· 부동기간 동안 뼈에서 칼슘이 유리되기에 칼슘 보충을 권장하지 않고 요로결석의 발생가능성으로 3L의 수분섭취가 필요하다.
· 계단은 조심히 오르내리기
· 수술 후 6주 이내 운전하지 않기
· 수술 후 6주 이상 치료용 탄력스타킹 착용하기.
2) 골절 간호
(1) 출혈과 쇼크
· 환자 상태에 따라 활력징후를 되도록 자주 측정하여 저혈압, 심박동의 증가, 차고 축축한 피부, 안절부절 못함, 창백 등이 나타나는지 관찰한다.
· 드레싱이나 삼출물을 확인하고 출혈이 없는지 관찰한다.
· 순환혈액량을 유지하기 위하여 처방된 수액이나 혈액을 투여한다.
(2) 가스교환장애
· 정신상태의 변화나 안절부절못함이 있는지 평가한다.
· 진단적 평가 자료들을 검토한다.(특히 동맥혈 가스분석과 흉부 X-ray)
(3) 신경혈관 손상예방
· 자주 신경혈관상태를 모니터하여 신경의 압박과 순환감소, 구획증후군 등이 있는지를 사정한다.
· 손상을 입은 사지를 올려주거나 냉찜질을 해주어 부종을 감소시킨다.
· 드레싱이 꽉 조이지 않도록 하고 정맥주사가 새지 않도록 한다.
(4) 혈전색전증 예방
· 수동과 능동발목운동을 권한다.
· 탄력스타킹이나 압박기구를 사용한다.
· 처방에 따라 항응고제를 투여한다.
· 혈전정맥염이 나타나는지 잘 관찰한다.
(5) 통증완화
· 통증방지를 위한 피부자극, 연상요법, 자세 바꾸기등의 활동을 한다.
· 처방에 따라 약물을 투여한다.
· 환자와의 지지적 관계를 형성한다.
· 환자가 재활계획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6) 감염의 모니터
· 정규적으로 체온의 상승을 검사하고 백혈구수의 증가를 주목한다.
· 절개나 상처부위의 염증, 부종, 농성 분비물은 보고한다.
· 원인균 확인을 위해 배양검사물과 민감도검사물을 채취한다.
(7) 운동
· 건측은 4시간마다 능동적 관절가동범위 운동이나 등장성 운동을 격려하고, 환측은 등척성 운동을 격려하 여 근육의 구축과 위축을 방지한다.
· 욕창방지를 위해 피부에 가해지는 압박부위를 매시간 사정한다. 자세를 변경하거나 공기침대, 물침대를 사용한다면 효과적이다.
(8) 영양공급
· 골절 후에는 치유를 위해 대사요구가 증가되어 하루 3000Kcal~4000Kcal의 섭취가 요구된다.
· 부동으로 인한 변비에는 섬유소나 수분섭취를 한다.
· 과일, 채소, 단백질, 비타민 등을 포함하는 영양식이는 치유에 도움이 된다.
· 부동기간 동안 뼈에서 칼슘이 유리되기에 칼슘 보충을 권장하지 않고 요로결석의 발생가능성으로 3L의 수분섭취가 필요하다.
키워드
추천자료
골절(Fractures)
수술실 - Operating Room 임상실습
대퇴 경부 골절
[성인간호학] THRA (Total hip replacement arthroplasty)
대퇴골경부골절(Femur Neck Fracture) case study
대퇴 골절(femur fracture) 케이스
대퇴골절 케이스
대퇴골 경부 골절 케이스 fracture of neck of femur, part unspecified, closed 간호과정
노인간호학 대퇴골 경부 골절, 개방성 Fracture of base of neck of femur, open 케이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