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절(Fractures)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문헌고찰
★골절(Fractures)

1. 정의

2. 원인

3. 골절의 종류

4. 증상

5. 검사

6.골절의 치유과정

7.골절의 치료

8. 합병증

9. 간호

본문내용

붕대, 견인장치
③ 내부적 고정
: 나사, 막대기 철판, 못, 핀을 이용하여 정복한 골절을 고정시키는 방법
⇒ 대퇴경부의 골절과 같인 불유합(nonunion)되기 쉬운 골절, 슬개골의 횡선골절과 같이 골편이 떨어지기 쉬운 골절 시 주로 적용된다.
(4) 재활 및 기능의 회복
① 상지의 기능
: 손의 기능으로 쥐는 것, 드는 것, 치는 것, 미는 것 등의 기능, 수근관절(carpophalangeal joint)의 운동, 척골관절의 운동을 촉진하고 견관절의 운동기능을 회복한다.
② 하지운동
: 기립운동을 시작하면서 보행을 보조하기 위해 부목, 보행기, 목발, 지팡이 등을 사용한다.
③ 관절운동
: 고정 직후부터 가능한 범위 내에서 수동적, 능동적 운동을 한다.
④ 근육운동
: 등척성(isometric) 운동(관절이 고정되어 있거나 통증이 심할 때 근위축 방지)과 등장성(isotonic) 운동(관절을 움직임으로써 관절 가동력과 근육의 힘 증진)을 실시한다.
8. 합병증
(1) 동맥혈관 손상
: 무맥, 부종, 창백증, 통증, 정맥혈류 장애, 마비 무감각의 증상이 나타남
(2) 지방 색전증
: 폐의 저산소증으로 인한 짧은 호흡, 빈맥(140/분), 심하면 창백증, 기침, 심장 근처의 통증, 호흡수 증가, 급성 폐수종, 뇌조직의 저산소증으로 혼수, 어지러움 호소, 성격이 난폭해짐
(3) 말초신경 손상(척골신경, 요골신경, 좌골신경, 슬와신경 등)
(4) 감염
: 개방성 골절 시에 파상풍이나 가스괴저, 골수염 등의 위험이 큼
(5) 골절유합의 합병증
: 지연유합, 부전유합, 변형유합
(6) 무혈성 골괴저(avascular necrosis of bone or aseptic necrosis)
: 대퇴의 두부와 경부가 분리되면서 혈액공급이 심하게 손상 받아 죽은 뼈 조직이 생기면서 붕괴되는 것
(7) 구획 증후군(compartment syndrome)
: 진통제로도 조절이 되지 않는 허혈성의 통증, 동맥혈이 감소되거나 촉진 시에 수동적인 움직임이 있을 때 더욱 심해짐, 손상된 사지에 능동적인 움직임이 감소, 감각이상, 맥박 감소, 소실, 냉감, 창백함
(8) 볼크만씨 허혈성 구축(Volkmann's ischemic contracture)
: 팔굽 관절이나 전박의 골절로 인해 발생하는 손이나 전박의 불구상태
(9) 심부정맥혈전증(deep vein thrombosis), 폐색전증(pulmonary embolism)
: 한 쪽 다리에만 국한된 부종, 통증, Homan's sign (+), 갑작스러운 호흡 곤란, 빈호흡, 흉통, 창백증, 의식의 변화
(10) 쇽, 심장 마비, 폐렴, 방광 및 요도 손상, 반사기능 손상
9. 간호
(1) 기도, 호흡상태, 순환상태를 확인한다.
(2) 개방성 창상이 있는 경우에는 골절에 부목을 대기 전에 드레싱을 하고 붕대를 감는다. 뼈의 끝 부분이 노출되었으면 잘 보호하고 드레싱과 붕대감기, 부목대는 동안 체내로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3) 골절부위를 노출한다.
(4) 부목을 대어주는 절차와 원칙을 지킨다.
① 부목을 대기 전후에 원위부분의 맥박, 감각, 움직임, 모세혈관 재충혈(refill) 상태를 확인한다.
② 손상된 하지의 움직임을 최소화시킨다.
③ 부목을 대어 줄 때는 2명의 응급 구조자가 시행하여, 1명은 견인과 부동화를 유지하고, 다른 1명은 부목을 댄다.
④ 부목 대기 전 개방창상에 드레싱과 붕대를 감는다.
⑤ 골절된 부위의 상하 관절을 부동화 시킨다.
⑥ 골절부위를 견인시키면서 도수적으로 안정을 시킨다.
⑦ 심하게 각이 진 골절상태는 정상적 배열상태가 되도록 시도한다. 그리고 초기에는 아프다고 환자에게 설명을 해 준다.
⑧ 만약 환부가 창백하고, 동통이 있으며 맥박이 없고 지각이상과 부종이 있으면 하지를 재위치 시킨다.
⑨ 손가락과 발가락을 보이게 하여 부목을 댄 후 순환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⑩ 탈구상태는 발견된 상태에서 그대로 부동화 시킨다.
⑪ 골절과 염좌를 구분해 보려 시도하지 말고 두 손상 모두 부동화 시킨다.
⑫ 부목에는 pad를 잘 대준다.
⑬ 공기부목(airaplints)이 너무 팽창되지 않았는지 점검한다.
⑭ 부목은 편안하게 대어주고 손상된 하지에 부종이 없는지 사정과 재사정을 시행한다.
※ 참 고 문 헌 ※
「성인간호학 하 Ⅱ」, 수문사, 서문자 외, 2000
「성인 간호학」, 도서출판 정담, 최정신 외, 2000
「정형 외과학 제 5판」, 최신의학사, 대한정형외과학회, 1999
「성형외과학」, 최신의학사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5.25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70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