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단원의 전개 계획
2. 교수 학습 과정안
1) 문제 파악
(1) 동기 유발하기
(2) 공부할 문제 파악하기
2) 문제 추구 및 해결
(1) 학습 순서 확인하기
(2) 바늘 시계 관찰하기
(3)“몇 시”를 읽는 방법 정리하기
(4) 시계로 시각 나타내기
3) 적용 및 발전
(1) 시각과 일정 연관시키기
4) 차시 예고
(1) 알게 된 점 및 차시 예고
3. 평가 과점
4. 핵심 판서
2. 교수 학습 과정안
1) 문제 파악
(1) 동기 유발하기
(2) 공부할 문제 파악하기
2) 문제 추구 및 해결
(1) 학습 순서 확인하기
(2) 바늘 시계 관찰하기
(3)“몇 시”를 읽는 방법 정리하기
(4) 시계로 시각 나타내기
3) 적용 및 발전
(1) 시각과 일정 연관시키기
4) 차시 예고
(1) 알게 된 점 및 차시 예고
3. 평가 과점
4. 핵심 판서
본문내용
가리킬 때, 작은 바늘이 가리키는 숫자를 읽어주면 됩니다. 첫 번째 그림은 작은 바늘이 숫자 9를 가리키므로 “아홉시”라고 읽습니다. 두 번째 그림 또한 긴 바늘이 12를 가리키므로 작은 바늘이 가리키는 숫자 10을 읽어서 “열 시”라고 읽습니다.
<시계 보는 방법>
시계의 긴 바늘이 12를 가리킬 때, 작은 바늘이 가리키는 숫자를 확인한다.
10시라 쓰고, 열시라고 읽는다.
10 : 00
Sn, (“몇 시”를 쓰고 읽는 방법을 확인한다.)
시계를 보고 “몇 시”를 쓰고 읽는 전형적인 방법을 설명한다.
시계로 시각
나타내기
T, 선생님이 보여 주는 시각 카드를 보고 모형시계로 나타내 봅시다.
4:00
8:00
Sn, (교사가 보여 주는 시각을 모형 시계로 나타낸다.)
모형 시계,
시각이 적힌 카드
교사가 시각이 적힌 카드를 제시하면 학생들은 모형 시계로 그 시각을 나타낸다.
적용
및
발전
(5‘)
시각과 일정
연관시키기
T, 짝이 말하는 시각을 모형시계로 나타내고 그 시각에 무엇을 할 것인지 말해 봅니다. 질문은 세 개씩 하고 역할을 바꾸어 봅시다.
(예시)
영지 : 오늘 3시에 뭐 할 거니?
민수 : (모형 시계로 3시를 나타내고) 오늘 3시에 한문 방과 후 수업에 갈 거야.
Sn, (시간과 자신의 일과를 연관시키는 활동을 짝과 함께 한다.)
모형 시계
활동을 하기 전 교사가 학생과 시범을 보임으로써 활동을 더 원활하게 한다.
차시
예고
(2‘)
알게 된 점
및
차시 예고
T, 오늘 배웠던 내용을 정리해 봅시다. 오늘은 무엇을 배웠 나요?
S, 시계를 보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S, “몇 시”를 읽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T, 다음 시간에는 “몇 시 몇 분”에 대해서 공부하겠습니다.
Sn, (다음 시간에 배울 내용을 확인한다.)
교과서 98~99
평가관점
평가시기
평가방법
시각을 보고 “몇 시”인지 말할 수 있는가?
시각을 나타내고 그 시각에 하는 일을 말할 수 있는가?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며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가?
수업 중
관찰 및 질문
핵 심 판 서
<공부할 문제>
: “몇 시”에 대하여 알아 봅시다.
<학습 순서>
- 바늘 시계 관찰하기
- “몇 시”를 읽는 방법 정리 하기
- 시계로 시각 나타내기
단원 : 5. 시계 보기와 규칙 찾기
<시계 보는 방법>
시계의 긴 바늘이 12를 가리킬 때, 작은 바늘이 가리키는 숫자를 확인한다.
10시라 쓰고, 열시라고 읽는다.
10 : 00
<시계 보는 방법>
시계의 긴 바늘이 12를 가리킬 때, 작은 바늘이 가리키는 숫자를 확인한다.
10시라 쓰고, 열시라고 읽는다.
10 : 00
Sn, (“몇 시”를 쓰고 읽는 방법을 확인한다.)
시계를 보고 “몇 시”를 쓰고 읽는 전형적인 방법을 설명한다.
시계로 시각
나타내기
T, 선생님이 보여 주는 시각 카드를 보고 모형시계로 나타내 봅시다.
4:00
8:00
Sn, (교사가 보여 주는 시각을 모형 시계로 나타낸다.)
모형 시계,
시각이 적힌 카드
교사가 시각이 적힌 카드를 제시하면 학생들은 모형 시계로 그 시각을 나타낸다.
적용
및
발전
(5‘)
시각과 일정
연관시키기
T, 짝이 말하는 시각을 모형시계로 나타내고 그 시각에 무엇을 할 것인지 말해 봅니다. 질문은 세 개씩 하고 역할을 바꾸어 봅시다.
(예시)
영지 : 오늘 3시에 뭐 할 거니?
민수 : (모형 시계로 3시를 나타내고) 오늘 3시에 한문 방과 후 수업에 갈 거야.
Sn, (시간과 자신의 일과를 연관시키는 활동을 짝과 함께 한다.)
모형 시계
활동을 하기 전 교사가 학생과 시범을 보임으로써 활동을 더 원활하게 한다.
차시
예고
(2‘)
알게 된 점
및
차시 예고
T, 오늘 배웠던 내용을 정리해 봅시다. 오늘은 무엇을 배웠 나요?
S, 시계를 보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S, “몇 시”를 읽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T, 다음 시간에는 “몇 시 몇 분”에 대해서 공부하겠습니다.
Sn, (다음 시간에 배울 내용을 확인한다.)
교과서 98~99
평가관점
평가시기
평가방법
시각을 보고 “몇 시”인지 말할 수 있는가?
시각을 나타내고 그 시각에 하는 일을 말할 수 있는가?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며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가?
수업 중
관찰 및 질문
핵 심 판 서
<공부할 문제>
: “몇 시”에 대하여 알아 봅시다.
<학습 순서>
- 바늘 시계 관찰하기
- “몇 시”를 읽는 방법 정리 하기
- 시계로 시각 나타내기
단원 : 5. 시계 보기와 규칙 찾기
<시계 보는 방법>
시계의 긴 바늘이 12를 가리킬 때, 작은 바늘이 가리키는 숫자를 확인한다.
10시라 쓰고, 열시라고 읽는다.
10 : 00
추천자료
초등학교1학년 국어과교육평가, 초등학교1학년 수학과교육평가, 초등학교1학년 우리들은1학년...
초등학교 1학년 우리들은1학년과 바른생활 교과 교육, 초등학교 1학년 슬기로운생활과 즐거운...
제7차교육과정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 목적과 5대영역, 제7차교육과정 ICT활용교육(정보...
통계교육(통계지도) 개념, 통계교육(통계지도) 목표와 필요성, 통계교육(통계지도) 경향과 과...
[초등학교교육][초등교육]초등학교의 목표, 초등학교의 역할, 초등학교의 교육실태, 초등학교...
1학년)수학 <대표수업 교수-학습 과정안> - 5. 시계 : 몇 시인지 알기 (세안)
초등학교 바른생활 수업지도안 1학년 2학기 5단원
초등학교 바른생활 수업지도안 1학년 2학기 5단원 (차례를 지켜요 학습지도안)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역사적 변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