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ldegard E.Peplau - 대인관계 이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Hildegard E.Peplau - 대인관계 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이론의 배경
*이론의 개요 : 대인관계 간호이론
*간호 메타패러다임에 근거한 네가지 개념
*이론의 적용
*이론의 평가 및 전망
*이론이 적용된 논문

본문내용

평균 117.06 개월 (10년초과 : 39.9% ->1/3초과)
노인병원 근무경력 : 평균 45.34개월 (3년이하 : 52.6%)
직위 : 일반간호사-75.6% (전체 대상자의 3/4에 해당)
2. 공감
평균평점의 범위는 개인적 고통 1.0-4.57 (가장높음), 공감적 관심 2.43-5.0 (가장낮음)
평점평균은 관점취하기 3.51, 공상하기 3.3.1, 공감적 관심 3.71, 개인적 고통 2.91 순으로 나타남.
3. 노인에 대한 태도
노인에 대한 태도는 총점평균 85.66, 평점평균 4.28로 중립적 수준.
긍정 성향을 보인 문항은 전체20개 문항 중 5개문항 으로 다정한-쌀쌀맞은 3.05, 좋은-나쁜 3.22, 친절한-불친절한 3.31, 현명한-어리석은 3.50, 신뢰할 수 있는-신뢰할 수 없는 3.50
중립성향의 문항은 7개 문항으로 박식한-무식한 3.78, 관대한-이기적인 3.83, 깔끔함-단정치 못한 4.17, 수용적인-편협한 4.29, 낙척직인-비판적인 4.31, 매력적인-매력적이지 않은 4.34,
흥미있는-지루한 4.43 나머지 8개 문항은 부정성향을 보임.
4. 대상 간호사들의 특성과 공감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
특성별 노인데 대한 태도를 보면 연령, 결혼상태, 노인관련 자원봉사 경험, 직위, 총 임상경력이 유의한 변수였다.
(종교, 학력, 가깝게 지내는 노인 유무, 현재 노인과 동거 유무, 과거 노인과 동거 유무, 노인문제에 대한 관심정도, 근무기관에서의 직위, 노인병원 경력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 -유의하지 않음)
노인데 대한 태도와 연령은 약한 양의 상관관계 (r=.183, p=.001)를 보여 연령이 적을수록 태도점수가 작아 긍정적 성향을 나타냄
태도의 평균평점은 미혼집단 4.13으로 기혼/기타 집단의 4.38보다 유의하게 작아 중립범위 내에서 긍정성향을 보였다. (t=3.123.,p=.002).
노인관련 자원봉사 경험이 있는 집단이 태도점수 4.11로 자원봉사 경험이 없는 집단의 4.42보다 유의하게 작아 중립범위 내에서 긍정성향을 보였다. (t=4.418, p<.001)
노인에 대한 태도의 직업관련 특성별 분석에서는 직위와 총 임상경력만이 유의.
직위에 따라 태도점수는 일반간호사가 4.22점으로 책임/수간호사의 4.48점보다 낮아 긍정적이었고 (t=-3.251, p=.001), 총 임상경력은 노인에 대한 태도와 .165의 상관관계를 보여 (p=.005) 임상경력이 적을수록 태도 점수가 작아 긍정적 성향을 보였다.
공감척도의 요인별 노인데 대한 태도와의 상관분석에서 공감적 관심의 상관계수 r 값이 -.160으로 나타나 유의하였음(p=.006), 관점 취하기, 공상하기, 개인적 고통은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즉 공감적 관심이 높을수록 노인데 대한 긍정적 성향을 보임.
5. 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공감의 영향
회귀분석 결과 연령, 결혼상태, 노인관련 자원봉사 경험, 직위, 총 임상경력 및 공감적 관심 6개 독립변수 중에서 노인관련 자원봉사 경험 (β=.23, t=4.139, p<.001)과
공감적 관심 (β=-.11, t=-2.024, p=.044)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이 두 변수의 표준화 회귀계수를 비교해볼 때 공감이 노인자원봉사경험보다 작아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작음을 보여주었으며, 전체설명력은 10.7%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간호사의 공감이 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2011년 7월1일 ~ 2011년 12월31일까지 노인병원 간호사 29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노인에 대한 태도와 공감수준을 파악하였다. 대상자의 노인에 대한 태도는 중립적 수준이었고 다정하고 좋으며, 친절하다는 긍정적인 태도와 보수적이며, 아프고, 의존적이라는 부정적인 태도를 모두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공감척도의 요인 중에서 공감적 관심만이 노인에 대한 태도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 특성과 공감적 관심으로 이루어진 노인에 대한 태도모형은 10.7%의 설명력을 보였으며, 공감적 관심이 높은 경우 노인에 대한 태도 점수가 긍정적 방향으로 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특정 중에서는 노인관련 자원봉사경험만이 유의하였다.
추후 간호사들의 공감적 관심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요구되며 공감을 측정하는 도구에 대한 검토와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간호이론의 이해 이소우 외(2015), 수문사
-간호관리학 Ⅰ 지성애 외(2000), 수문사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0.11.19
  • 저작시기202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07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