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정상신생아 case study 간호과정 case study (진짜 고퀄리티니까 여러개사지말고 이거보세요)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 정상신생아 case study 간호과정 case study (진짜 고퀄리티니까 여러개사지말고 이거보세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 고찰

Ⅱ. 본론
ⅰ. 간호사정
1) 신생아실 실습 보고서
2) 신체사정

ⅱ. 진단검사
ⅲ. 간호과정
1) 건강문제
2) 자료수집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3) 간호진단 : 타당성(NANDA의 간호진단 참조)
4) 간호목표 (장기, 단기)
5)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6) 간호중재
7) 간호평가

Ⅲ. 결론
Ⅳ. 느낀 점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 비언어적 행위
부모와 신생아가 마주보는 자세, 옷을 벗기고 만져보기, 미소짓기, 이야기하기, 안아주기, 흔들고 달래주기
< Neonatal Hearing Screening Test >
2019.11.12 1:42pm
% 근육계 : 26%
% 주변소음 : 68%
오른쪽 귀 : PASS
35dBnHL
왼쪽 귀 : PASS
35dBnHL
< 검사결과 >
< 2019-11-11 >
A,B,O 혈구 혈액형검사 : AB
Rho(D) 혈액형검사 (Rh-Hr) : +
< 2019-11-14 >
선천성 대사이상검사 진단검사 질가산 (4%)
선대50종검사
< 간호진단 >
우선순위
간호진단명
# 1
신생아의 좁고 짧은 기도의 구조와 관련된 기도흡인 위험성
# 2
대음순 부종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 3
간의 미성숙과 관련된 신생아 황달위험
# 4
기저귀 착용으로 인한 피부자극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 5
두정부 혈종과 관련된 지식부족
(4) 신생아 간호과정
* 문제 기록 중심지-간호과정 적용
자료
수집
주관적 자료
산모가 “머리에 뿔같은 건 뭐에요?” 라고 말했다.
객관적 자료
2019.11.11.에 Rt. hematoma 생김.
두혈종 부위가 피부색과 같고, 만지면 말랑말랑하다.
C/S으로 태어난 신생아로 산도에 압박되지 않았지만 신생아 평균 체중보다 적은 2650g의 체중이다.
혹이 난 것처럼 동그랗게 튀어나옴.
간호진단
두정부 혈종과 관련된 지식부족
간호목표
<단기목표>
1. 신생아의 부모가 2일 이내에 두혈종에 대하여 말로 설명할 수 있다
<장기목표>
3달 뒤에 신생아의 머리모양이 돌아온다.
간호계획
간호 계획
합리적 근거
1. 매 duty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 활력징후는 대상자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적절한 간호를 제공한다.
2. 부모에게 두혈종에 대해 말로 설명한다.
- 두혈종에 대해 설명함으로써 부모에게 안도감을 제공한다.
3. 매일 두혈종의 외관상의 길이를 측정하여 감소하는지 관찰한다.
두혈종의 외관상의 길이를 측정하면서 두혈종이 줄어드는 것을 관찰한다.
4. 매일 황달 부위에 매일 총 빌리루빈 수치를 측정한다.
- 두혈종 안에 고여 있는 혈액 속의 적혈구가 파괴되며 빌리루빈이 다량으로 나오는 바람에 황달이 심해질 수도 있다
5. 아이가 두혈종 부위를 만지지 않도록 손을 옷안에 넣는다.
- 상처를 입으면 감염되기 쉬우므로 피부를 깨끗하게 해주고 긁거나 다치지 않도록 주의해야함을 설명한다.
간호중재
V/S
11/11
11/12
11/13
4PM
10PM
8AM
3PM
10PM
8AM
3PM
10PM
P (회/분)
146
134
136
134
133
133
130
130
T (°C)
37.1
36.9
37.0
36.9
36.8
36.9
36.8
36.8
1. 매 duty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했다.
V/S
11/14
11/15
8AM
3PM
10PM
8AM
P (회/분)
132
132
132
128
T (°C)
36.9
36.8
36.8
37
→ 활력징후는 정상범주에 있다.
2 부모에게 두혈종에 대해 말로 설명했다.
→ 두혈종은 합병증이 없으면 2~3달 후에 자연적으로 흡수되어서 일반 머리모양으로 되돌아 올 수 있다.
3. 매일 두혈종의 외관상의 길이를 측정하여 감소하는지 관찰했다..
→ 정확한 크기는 x-ray를 찍어봐야하므로 외관상의 길이를 측정했다.
→ 2019.11.14. 외관상 머리 평평한 부분과 비교하여 길이를 측정했을 때 튀어나온 부분이 가로 3.2cm, 세로 4cm
4. 매일 황달 부위에 매일 총 빌리루빈 수치를 측정했다.
→ 두혈종 안에 고여 있는 혈액 속의 적혈구가 파괴되며 빌리루빈이 다량으로 나오는 바람에 황달이 심해질 수도 있다.
→ 황달이 보이는 부위에 jaundice meter로 총 빌리루빈 수치를 측정한다.
2019.11.14. 이마부위 황달 : 이마 7.0mg/dL
2019.11.15. 가슴부위 황달 : 이마 6.8mg/dL, 가슴 8.6mg/dL
5. 아이가 두혈종 부위를 만지지 않도록 손을 옷안에 넣었다.
→ 신생아를 속싸개로 Mummy resistance법으로 손이 머리로 향하지 않게 하여 두혈종 부위가 상처나지 않도록 한다.
간호평가
<단기목표>
1. 신생아의 부모가 2일 이내에 두혈종에 대하여 말로 설명할 수 있다
<장기목표>
3달 뒤에 신생아의 머리모양이 돌아온다.
⇒ 단기목표 1 간호사분이 설명함으로써 이해했음을 표현하고 부모는 말로 설명할 수 있으므로 달성했다.
⇒ 장기목표 1은 아직 입원한지 5일밖에 안되서 두혈종이 신생아의 생리적 증상인지 더 지켜보도록 한다.
5. 결론
출생한지 5일밖에 안되었으므로 생리적 황달, 두혈종, 대음순 부종 등이 자연스럽게 소실될 때까지 관찰한다. 정상 신생아로 병리적인 증상은 관찰되지 않는다.
6. 느낀점
신생아를 사정하기 앞서 신생아를 안는 법, 트름시키는 법, 아기가 우는 이유 등 알 것이 많았고 감염에 취약한 아기이다 보니 마스크를 쓰고 폐쇄된 병실, 방문객 통제 등 다른 병실과 다른 점이 많았다. 또한, 신생아기때만 정상적으로 보이는 생리적 증상들이 있어 병리적인 문제로 이어지는 것인지 정상적인 것인지 정확히 사정해야했다. 아기의 소화기간이 일자다 보니 위 내용물이 역류한 모습을 많이 봤다. 아기가 우는 것을 이성적으로 조절하지 않고 본능적으로 울다보니까 우렁차게 울고 저항을 표현하다보니 나의 행위가 적절하지 않을까? 당황스러운 적이 있었지만 신생아의 자연스러운 행동이라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신생아가 내가 생각한 것보다 작고 면역력이 약한 존재였고 한 여성의 몸에서 아기가 태어났다는 것이 신기했다. 신생아가 너무 예쁘고 귀여워서 간호를 하는데 있어서 나도 같이 힐링되는 느낌이 들었다. 그 부모의 병력, 가족력이 유전되는 자연적인 현상의 신비로움을 느끼고 아동간호학 이론에서 배웠던 것을 실제로 관찰하니까 기억하기도 쉽고 간호적용도 해보는 유익한 실습이었다.
7. 참고문헌
1. 아동간호학 현문사 상권
아동간호학 현문사 하권
3. 사진출처) emedicine.medscape.com
4. 구글 사진 인용
5.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이동숙 외/ 2016/ 포널스출판사
  • 가격2,0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20.12.22
  • 저작시기202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23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