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장애 Anxiety Disorders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불안장애 Anxiety Disorders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일반 인구에서의 자료는 이 병이 드물고, 12개월 유병률이
0.02% 정도일 것이라고 제안한다. 하지만 임상적 상황에서 유병률은 그 보다 더 높은
것으로 보인다.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불안장애
Anxiety Disorder Due to Another Medical Condition
● 진단적 기준 Diagnostic Criterion
진단기준 293.84 (F06.4)
A. 공황발작이나 불안이 임상영역에서 두드러진다.
B. 병력, 신체검진 또는 검사 소견상 장애가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직접적인 병태생리학적 결과라는 증거가 있다.
C. 장애가 다른 정신 질환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D. 장애가 섬망의 경과 중에만 발생되지 않는다.
E. 장애가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한다.
부호화시 주의점: 정신질환의 이름에 기타 의학적 상태의 이름을 포함한다 (예, 293.84[F06.4] 갈색세포종으로 인한 불안장애).
기타 의학적 상태는 부호화하여 의학적 상태로 인한 불안장애 진단앞에 따로 명시한다. (예, 227.0[D35.00]갈색세포종,293.84[F06.4] 갈색세포종으로 인한 불안장애)
● 진단적 특징 Diagnostic Features
진단기준A: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생리적 효과로 가장 잘 설명된다고 판단되는 현저한 불안 증상 두드러지는 불안 증상과 공황발작을 포함한다.
진단기준B: 증상이 다른 의학적 상태에 의해서 가장 잘 설명된다는 것에 대한 병력, 신체검진, 검사소견상의 증거가 있어야 한다.
진단기준C: 증상이 스트레스가 원인으로 작용하는 적응장애와 불안장애와 같은 다른 정신질환에 의한 것이 아니라는 판단이 필요하다.
적응장애 환자: 의학적상태가 주는 의미나 그 결과에 특히, 힘들어 한다.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불안장애의 경우: 불안의 신체적 증상(예, 호흡곤란)
진단기준D: 섬망 증상 중에만 불안 증상이 나타나면 진단을 내리지 않는다.
진단기준E: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해야만 한다.
※ 불안 증상이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임을 판단하기 위해서, 임상의는 우선 의학적상태의 현상에 대해 알아야하며 원인적으로 의학적 상태의 생리적 기제에 의한 것인지를 잘 알아야 하고 , 판단을 내리기 앞서 다양한 요인에 대한 자세하면서도 포괄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임상적으로 표현되는 것 중에 몇 가지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① 의학적 상태의 발병, 악화, 관해와 불안 증상 사이의 분명한 시기적 연관성,
② 본래의 불안장애에서는 비전형적인 특징(예, 병의 발병과 경과에 비전형적인 나이),
③ 생리적 기전이 불안을 일으킬 수 있다는 명시된 증거(예, 갑상선 기능 항진증), 또한
장애가 원발성 불안장애, 물질/약물치료로 유발된 불안 장애, 다른 원발성
정신질환(예,적응장애)에 의해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 진단을 뒷받침하는 부수적인 특징 Associated Features Supporting Diagnosis
내분비 질환(예, 갑상선기능항진증, 갈색세포종, 저혈당증, 부신피질호로몬항진증), 심혈관계 질환(예, 울혈성 심부전증, 폐색전증, 심방세동과 같은 부정맥), 호흡기계 질환(예, 만성폐쇄성 폐 질환, 천식, 폐렴), 대사장애(예, 비타민B12부족, 포르피린증), 신경학적 질환(예, 암, 전정기능부전, 뇌염, 발작장애)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불안은 의학적상태가 불안보다 선행하고 불안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을 때 진단한다.
● 유병률 Prevalence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불안 장애의 유병률은 분명하지 않다. 천식이나 고혈압, 궤양, 관절염과 같이 다양한 의학적 상태에 있는 사람들에게 불안장애의 유병률은 높아지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렇게 증가된 유병률은 의학적 상태가 직접적으로 원인이 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이유가 있을 수 있다.
● 발달과 경과 Development and Course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불안 장애의 발달과 경과는 대체적으로 기저 질환의 경과를 따른다. 이 진단은 만성 질환이 있는 사람에서 발생한 원발성 불안장애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하지만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노인에서는 만성 질환에 이차적으로 독립인 불안장애가 발생할 수 있음을 고려해야한다.
달리 명시된 불안장애
Other Specified Anxiety Disorder
이 범주는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일으키는 불안장애의 특징적인 증상들이 두드러지지만, 불안장애의 진단 부류에 속한 장애 중 어느 것에도 완전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발현 징후들에 적용된다. 달리 명시된 불안장애 범주는 발현 징후가 어떤 특정 불안장애의 기준에 맞지 않은 특정한 이유에 대해 교감하기 위해 임상의가 선택한 상황들에서 사용된다. 이는 “달리 명시된 불안 장애”를 기록하고, 이어서 특정한 이유(예,“범불안장애, 그렇지 않은 날보다 그런 날이 더 많지는 않은”)를 기록한다.
“달리 명시된”이라는 지정 문구를 사용해 분류될수 있는 발현 징후들의 예는 다음과
같다.
1. 제한적 공황발작
2. 범불안장애,그렇지 않은 날보다 그런날이 더많지는 않은
3. 켈캡 khyal cap(바람에의 노출):부록의 “고통의 문화적 개념용어 해설” 참조
4. 아타케 데 네르비오스 Ataque de nervious: 부록의 “고통의 문화적 개념용어 해설” 참조
명시되지 않는 불안장애
Unspecified Anxiety Disorder
이 범주는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일으키는 불안장애의 특징적인 증상들이 두드러지지만, 불안장애의 진단 부류에 속한 장애 중 어느 것에도 완전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발현 징후들에 적용된다. 명시되지 않는 불안장애 범주는 기준이 특정 불안장애의 기준에 맞지 않은 이유를 명시할 수 없다고 임상의가 선택한 상황들에서 사용되며, 좀 더 특정한 진단을 내리기에는 정보가 불충분한(예, 응급실 상황)발현 징후들을 포함한다.
  • 가격5,000
  • 페이지수44페이지
  • 등록일2021.01.11
  • 저작시기2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33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