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강의
2. 회의
3. 토의
4. 계속 교육
5. 슈퍼비전
6. 사례 발표
7. 역할 연기
8. 집단행동
* 참고문헌
2. 회의
3. 토의
4. 계속 교육
5. 슈퍼비전
6. 사례 발표
7. 역할 연기
8. 집단행동
* 참고문헌
본문내용
할연기를 해볼 수 있다(Skidmore, 1990 : 230).
이 방법은 인간관계 훈련에 효과적이며 좋은 경험을 몸소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연기에 소질 없는 사람은 직접 역할연기를 하기 힘들며 또 사전준비가 많이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
8) 집단행동
다양한 집단적 접근이 직원개발에 활용된다. 직원개발을 위한 대표적인 집단행동 중의 하나가 감수성 훈련(sensitivity training)이다.
감수성 훈련은 소집단의 구성원들이 자신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며 다른 사람들의 행위에 어떻게 반응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도록 수용적이고 열린 분위기를 제공하려고 노력한다.
감수성 훈련 집단의 목적은 직원들로 하여금 그들 자신, 특히 자신의 감정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것을 도우려는 것이다(Sdmore, 1990 : 230).
이와 같은 훈련은 보통 격리된 장소에 가서 1일 또는 2일 합숙훈련을 하면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성인의 태도와 행동의 변화를 기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 생각되나 자칫 잘못 인도되는 경우 상호간의 감정을 상하게 되는 역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밖에 직원개발의 방법에는 시찰(observation), 시청각교육(audio-visualaids), 전직(transfer), 순환보직(rotation), 실습(internship), 신디케이트(syndicate) 등이 있다. 많은 직원개발의 방법 중에서 어떤 것을 선택하느냐 하는 것은 직원개발의 목적, 직원들의 특성 및 기타 시설과 경비 등의 제반 사항을 감안하여 결정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이 방법은 인간관계 훈련에 효과적이며 좋은 경험을 몸소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연기에 소질 없는 사람은 직접 역할연기를 하기 힘들며 또 사전준비가 많이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
8) 집단행동
다양한 집단적 접근이 직원개발에 활용된다. 직원개발을 위한 대표적인 집단행동 중의 하나가 감수성 훈련(sensitivity training)이다.
감수성 훈련은 소집단의 구성원들이 자신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며 다른 사람들의 행위에 어떻게 반응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도록 수용적이고 열린 분위기를 제공하려고 노력한다.
감수성 훈련 집단의 목적은 직원들로 하여금 그들 자신, 특히 자신의 감정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것을 도우려는 것이다(Sdmore, 1990 : 230).
이와 같은 훈련은 보통 격리된 장소에 가서 1일 또는 2일 합숙훈련을 하면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성인의 태도와 행동의 변화를 기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 생각되나 자칫 잘못 인도되는 경우 상호간의 감정을 상하게 되는 역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밖에 직원개발의 방법에는 시찰(observation), 시청각교육(audio-visualaids), 전직(transfer), 순환보직(rotation), 실습(internship), 신디케이트(syndicate) 등이 있다. 많은 직원개발의 방법 중에서 어떤 것을 선택하느냐 하는 것은 직원개발의 목적, 직원들의 특성 및 기타 시설과 경비 등의 제반 사항을 감안하여 결정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