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
2.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3.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2.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3.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본문내용
tinum), 흉막하 섬유증(sub-pleural fibrosis) 그리고/혹은 낭성변화(cyctic change)를 보인다.
혈액학적, 생화학적 소견
사스에 특이적인 혈액학적 또는 생화학적 지표는 없다. 혈액학적 소견으로는 림프구감소증(lymphopenia)이 가장 흔한 소견이며, 발병기간동안 진행된다. 때로 혈소판감소증(thrombocytopenia)과 aPTT 지연 소견이 관찰된다. 생화학 검사에서는 흔히 LDH가 증가하며, 일부 보고에서는 LDH 증가가 불량한 예후와 관련있다고 제시한바 있다. ALT, AST, CPK의 상승이 보고되었으며, 또한 저나트륨혈증, 저칼륨혈증, 저마그네슘혈증, 저칼슘혈증과 같은 비정상적인 혈청전해질이 증상 발현 동안 혹은 입원기간동안 보고된다.
4)진단 및 치료
[의심환자(Suspect cases)]
다음 중 2가지 기준을 충족할 경우
(1) 임상적 기준에서 원인불명의 중등증 호흡기질환을 보이며
38도 이상 발열이 있으면서(AND)
호흡기질환 임상소견(기침, 호흡곤란, 저산소증)이 하나 이상 있는 경우
(2)역학적 기준을 충족하며
발병전 10일 이내에 사스감염위험지역의 여행력(환승 포함)이 있거나(OR)
발병전 10일 이내에 사스 환자 또는 의심환자와 밀접한 접촉을 한 경우
(3) 실험실적 기준이 양성 또는 미확인(검사를 하지 않았거나 진행중인 경우)
실험실적 사례정의(Laboratory case definition of SARS) : 양성
임상적으로 사스가 의심되면서 다음의 실험실적 진단기준에서 1개 이상 양성 소견을 보이는 경우
(4) PCR 양성 : 정확한 방법에 의해 PCR이 양성인 경우
적어도 두종류의 다른 임상검체에서 양성이거나(예를들어 비인두도말과 대변)
동일한 임상검체에 대해 질병의 이환기간 동안 2회 이상 양성이거나
원래의 임상검체에서 추출한 새로운 RNA추출물을 이용하여 PCR을 반복검사하거나 두가지 다른 분석법을 사용한 경우
(5) 혈청검사 양성(Seroconversion by ELISA or IFA)
급성기 혈청검사에서 음성이었으나 회복기 혈청검사에서 양성으로 양전되었거나
급성기와 회복기 혈청검사에서 항체가가 4배 이상 증가한 경우
(6) 바이러스 분리(Virus isolation)
임상검체의 세포배양검사에서 사스코로나바이러스가 분리되었으며(AND)
PCR 확인검사에서 양성인 경우 질병관리본부는 사스 진단을 위해 PCR, 항체검사(IFA), 바이러스 분리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진단을 위해 검체의뢰를 할 경우 질병관리본부 인플루엔자바이러스팀으로 문의하여야 한다.
환자 관리
사스의심 또는 추정환자는 보건당국에 의해 격리지정병원에 입원치료를 받게 되며, 전염을 차단하기 위해 엄격한 격리와 관리가 필요하다.
예방
아직까지는 백신이나 예방약이 개발되어 있지 않다.
예방을 위해서는 아래의 수칙을 준수 한다.
· 감염위험지역으로의 여행을 자제한다.
· 2008년 현재 전 세계적으로 사스감염위험지역이나 여행자제지역은 없다.
· 손 씻기를 철저히 하여 직접접촉으로 인한 감염을 예방한다.
혈액학적, 생화학적 소견
사스에 특이적인 혈액학적 또는 생화학적 지표는 없다. 혈액학적 소견으로는 림프구감소증(lymphopenia)이 가장 흔한 소견이며, 발병기간동안 진행된다. 때로 혈소판감소증(thrombocytopenia)과 aPTT 지연 소견이 관찰된다. 생화학 검사에서는 흔히 LDH가 증가하며, 일부 보고에서는 LDH 증가가 불량한 예후와 관련있다고 제시한바 있다. ALT, AST, CPK의 상승이 보고되었으며, 또한 저나트륨혈증, 저칼륨혈증, 저마그네슘혈증, 저칼슘혈증과 같은 비정상적인 혈청전해질이 증상 발현 동안 혹은 입원기간동안 보고된다.
4)진단 및 치료
[의심환자(Suspect cases)]
다음 중 2가지 기준을 충족할 경우
(1) 임상적 기준에서 원인불명의 중등증 호흡기질환을 보이며
38도 이상 발열이 있으면서(AND)
호흡기질환 임상소견(기침, 호흡곤란, 저산소증)이 하나 이상 있는 경우
(2)역학적 기준을 충족하며
발병전 10일 이내에 사스감염위험지역의 여행력(환승 포함)이 있거나(OR)
발병전 10일 이내에 사스 환자 또는 의심환자와 밀접한 접촉을 한 경우
(3) 실험실적 기준이 양성 또는 미확인(검사를 하지 않았거나 진행중인 경우)
실험실적 사례정의(Laboratory case definition of SARS) : 양성
임상적으로 사스가 의심되면서 다음의 실험실적 진단기준에서 1개 이상 양성 소견을 보이는 경우
(4) PCR 양성 : 정확한 방법에 의해 PCR이 양성인 경우
적어도 두종류의 다른 임상검체에서 양성이거나(예를들어 비인두도말과 대변)
동일한 임상검체에 대해 질병의 이환기간 동안 2회 이상 양성이거나
원래의 임상검체에서 추출한 새로운 RNA추출물을 이용하여 PCR을 반복검사하거나 두가지 다른 분석법을 사용한 경우
(5) 혈청검사 양성(Seroconversion by ELISA or IFA)
급성기 혈청검사에서 음성이었으나 회복기 혈청검사에서 양성으로 양전되었거나
급성기와 회복기 혈청검사에서 항체가가 4배 이상 증가한 경우
(6) 바이러스 분리(Virus isolation)
임상검체의 세포배양검사에서 사스코로나바이러스가 분리되었으며(AND)
PCR 확인검사에서 양성인 경우 질병관리본부는 사스 진단을 위해 PCR, 항체검사(IFA), 바이러스 분리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진단을 위해 검체의뢰를 할 경우 질병관리본부 인플루엔자바이러스팀으로 문의하여야 한다.
환자 관리
사스의심 또는 추정환자는 보건당국에 의해 격리지정병원에 입원치료를 받게 되며, 전염을 차단하기 위해 엄격한 격리와 관리가 필요하다.
예방
아직까지는 백신이나 예방약이 개발되어 있지 않다.
예방을 위해서는 아래의 수칙을 준수 한다.
· 감염위험지역으로의 여행을 자제한다.
· 2008년 현재 전 세계적으로 사스감염위험지역이나 여행자제지역은 없다.
· 손 씻기를 철저히 하여 직접접촉으로 인한 감염을 예방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