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4.3 사건의 역사적 배경
2. 내가 직접 찾은 역사적 현장
1) 선흘 낙선동 성터
2) 북촌국민학교
3) 4·3평화공원
Ⅲ. 맺음말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4.3 사건의 역사적 배경
2. 내가 직접 찾은 역사적 현장
1) 선흘 낙선동 성터
2) 북촌국민학교
3) 4·3평화공원
Ⅲ. 맺음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4·3사건의 추가진상조사, 희생자 추모사업 및 유족복지사업, 문화·학술·교육사업, 국내외 평화교류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고 한다.
Ⅲ. 맺음말
역사에 별로 관심이 없는 내가 이 사건을 아직까지 선명하게 기억하는 이유는 이 사건이 다시는 일어나지 말아야 한다고 뼈저리게 느꼈기 때문일 것이다. 물론, 4·3유적지가 있는 제주도에 다녀온지 벌써 10년이라는 세월이 흘렀기 때문에 다년간 까먹고 지낸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하지만 본 과제를 통해 과거체험했던 내용이 생생하게 되살아났으니 이 또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과제를 작성하면서 ‘그까짓 이념이 뭐라고.. 민간인을 1만명을 넘게 죽이다니! 당시 서북청년단이 들어오면서 폭력적인 분위기가 형성이 되어 무장봉기가 일어났다고 해도 초기 무장대인원은 고작 350명에 불과했으며 평화협상도 이루어지고 있었는데..’란 생각이 들었고, 정부와 일선에 나가있던 군인들이 원망스러웠다.
사실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제주 4·3사건에 관심이 없을 것이다. 실제로 본인과 관련이 없는 사건이라 여기기 때문일 것이다. 단재 신채호 선생님은 “역사를 잊는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라고 말씀하셨는데, 민간인인 우리가 4·3을 잊게 된다면, 만약에 있을 외침 때 민간인은 또다시 희생될 것이고, 우리가 당사자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우리와 전혀 관련이 없는 사건이 아니기 때문에 기억해야만 할 것이다.
Ⅳ. 참고문헌
사이트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
제주4·3평화재단(https://jeju43peace.or.kr).
Ⅲ. 맺음말
역사에 별로 관심이 없는 내가 이 사건을 아직까지 선명하게 기억하는 이유는 이 사건이 다시는 일어나지 말아야 한다고 뼈저리게 느꼈기 때문일 것이다. 물론, 4·3유적지가 있는 제주도에 다녀온지 벌써 10년이라는 세월이 흘렀기 때문에 다년간 까먹고 지낸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하지만 본 과제를 통해 과거체험했던 내용이 생생하게 되살아났으니 이 또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과제를 작성하면서 ‘그까짓 이념이 뭐라고.. 민간인을 1만명을 넘게 죽이다니! 당시 서북청년단이 들어오면서 폭력적인 분위기가 형성이 되어 무장봉기가 일어났다고 해도 초기 무장대인원은 고작 350명에 불과했으며 평화협상도 이루어지고 있었는데..’란 생각이 들었고, 정부와 일선에 나가있던 군인들이 원망스러웠다.
사실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제주 4·3사건에 관심이 없을 것이다. 실제로 본인과 관련이 없는 사건이라 여기기 때문일 것이다. 단재 신채호 선생님은 “역사를 잊는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라고 말씀하셨는데, 민간인인 우리가 4·3을 잊게 된다면, 만약에 있을 외침 때 민간인은 또다시 희생될 것이고, 우리가 당사자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우리와 전혀 관련이 없는 사건이 아니기 때문에 기억해야만 할 것이다.
Ⅳ. 참고문헌
사이트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
제주4·3평화재단(https://jeju43peace.or.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