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s://encykorea.aks.ac.kr)
제주4·3평화재단(https://jeju43peace.or.kr). Ⅰ. 서론
Ⅱ. 본론
1. 4.3 사건의 역사적 배경
2. 내가 직접 찾은 역사적 현장
1) 선흘 낙선동 성터
2) 북촌국민학교
3) 4·3평화공원
Ⅲ. 맺음말
Ⅳ. 참고문헌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1.0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인(東人)※
吳 健 §
(金 孝元)※
沈 忠謙 §
(李 潑)※
白 維咸 §
서인(西人) §
1400
1500
1600
1700
1800
1900
68.04.
02.02.
24.08.
35.01.
49.09.
57.01.
64.01.
87.08.
05.05.
21.03.
66.12
72.06.
16.01.
26.06.
43.08.
61.01.
즉위(卽位)
22.11.
35.08.
96.01.01.
20.07.
50.01.
61.07.
74.12.
08.10.(
|
- 페이지 4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계엄령?의 의의 및 내용
2) 민주독립국가의 성립과 기존법령의 효력
3) ‘군정’과 ‘계엄’의 개념상 모순
Ⅶ.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남로당(남조선노동당)
Ⅷ.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희생자신고
Ⅸ. 결론
참고문헌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8.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43은 공산폭동이니 논의할 필요도 없고 더 이상 말해서는 안된다’는 논리 전개가 그것이다. 더욱이 국가권력이 개입해서 사건의 진상을 조작하는 작업까지 한 사실이 최근 밝혀지고 있다.
이렇게 해서 냉전시대의 대표적인 국가폭력사건인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7.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원하여 제주도의 좌파세력 및 주민들에게 강경한 탄압정책을 시행했던 미군정의 이 같은 정책은 약 일 년에 걸친 갈등의 악순환 끝에 43항쟁으로 이어졌다. 그런 점에서 ‘31발포사건’은 43항쟁의 도화선이라 할 수 있었다.
Ⅷ. 제주 4 3사건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7.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