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8.9월초 ~ 12.29)
4. 제 6기(1949.5.15 ~ 1953.6월말)
Ⅳ.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책임소재
1. 남로당
2. 이승만과 경찰
3. 미군정과 미국
Ⅴ.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군법회의재판
Ⅵ.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학살만행
1. 선거방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학살의 실상을 중심으로 이러한 민간인학살의 원인과 국가 폭력에 의한 집단학살(genocide)의 성격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자료로는 문헌자료에 ①제민일보 4·3취재반,『4·3은 말한다』전5권, 전예원, 1994 ②제주4·3사건
|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08.1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43과 관련한 기사는 이승만 정권 아래서 거의 보도되지 않다가 1960년 4.19혁명 이후 전국적으로 양민학살 진상규명 요구가 봇물을 이루면서 43 진상규명에 대한 요구도 조금씩 나오기 시작했다.
1960년 5월 제주대생 7명이 ‘43사건 진상규명 동지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7.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주43은 50년동안 한국 국민들에게도 잘 알려지지 않은 채, ‘없었던 역사’로 덮어져 왔던 것이다.
참고문헌
김창후 - 4·3진상조사보고서 작성과 미국 자료, 제주4.3연구소, 2002
김순태 - \'제주4·3사건 위원회\'의 활동과 평가, 민주주의법학연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7.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학살의 죄목으로 이 작전을 명령한 사령관은 전범으로 규정, 처벌을 받게 된다.”
Ⅷ.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사건진상보고서
<제주43사건진상조사보고서>의 작성은 한국 현대사에서 역사적인 사건임에 틀림없다. 정부가 수십년 동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8.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