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이런 공식적 계약은 부모와 아이 사이의 약속에 의해야한다.
2) 학교는 어떻게 할 것인가?
① 환경으로서의 학교 : 학생 중심의 학교로 거듭나야 하며, 지적발달, 사회적 욕구와 심리적 욕구의 충족을 시켜줄 수 있어야 한다.
② 생활로서의 학교 : 개인의 생활공간이 확장된 곳이라는 개념아래 입시위주에서 교육과정 중심으로 전환하고, 특별활동을 강화하며, 평가체제를 다원화하여 학생들이 많은 성공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③ 바람직한 교사상 : 사회 대표자, 판단자, 지식의 자원, 학습조력자, 불안 제거자, 자아 옹호자, 동일화 대상, 부모의 대리자, 친구 등으로서의 다양한 역할을 해야 한다.
④ 바람직한 교우관계
⑤ 교육상담의 강화
3) 사회는 어떻게 할 것인가?
대다수의 청소년들이 일관성 없는 사회에서 살고 있다. 쾌락주의, 난무하는 폭력, 물질 만능과 금전제일주의, 집단간의 갈등과 대화단절 등이 문제로 제시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을 시도해야 한다. 어른들은 청소년의 존재를 소유적 가치로서가 아니라 사회의 당당한 구성원으로서 인정해야 한다. 청소년에게 시간과 공간을 주고 자신을 발산하고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주어야 한다.
2) 학교는 어떻게 할 것인가?
① 환경으로서의 학교 : 학생 중심의 학교로 거듭나야 하며, 지적발달, 사회적 욕구와 심리적 욕구의 충족을 시켜줄 수 있어야 한다.
② 생활로서의 학교 : 개인의 생활공간이 확장된 곳이라는 개념아래 입시위주에서 교육과정 중심으로 전환하고, 특별활동을 강화하며, 평가체제를 다원화하여 학생들이 많은 성공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③ 바람직한 교사상 : 사회 대표자, 판단자, 지식의 자원, 학습조력자, 불안 제거자, 자아 옹호자, 동일화 대상, 부모의 대리자, 친구 등으로서의 다양한 역할을 해야 한다.
④ 바람직한 교우관계
⑤ 교육상담의 강화
3) 사회는 어떻게 할 것인가?
대다수의 청소년들이 일관성 없는 사회에서 살고 있다. 쾌락주의, 난무하는 폭력, 물질 만능과 금전제일주의, 집단간의 갈등과 대화단절 등이 문제로 제시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을 시도해야 한다. 어른들은 청소년의 존재를 소유적 가치로서가 아니라 사회의 당당한 구성원으로서 인정해야 한다. 청소년에게 시간과 공간을 주고 자신을 발산하고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주어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