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A. 연구동기 및 목적
B. 연구의 방법
II. 학원 선교에 대한 이론적 배경
A. 초기 한국 선교와 학원 설립
B. 학원 선교의 역사
1. 학원 선교의 개념
2. 학원 선교의 역사적 고찰
3. 한국 학원 선교의 역사
C. 학원 선교의 이론적 이해
1. 전인교육의 매체로서의 학원 선교
2. 하나님의 선교의 매체로서의 학원 선교
3. 관계적 진리선포의 장인 학원 선교
III. 학원 선교의 문제점
A. 기독교 학원의 선교 문제점
B. 비기독교 학원의 선교 문제점
IV. 학원선교의 새로운 방안
A. 예배
B. 성경수업
C. 상담
D. 문교정책과 학교경영
V. 결론
A. 연구동기 및 목적
B. 연구의 방법
II. 학원 선교에 대한 이론적 배경
A. 초기 한국 선교와 학원 설립
B. 학원 선교의 역사
1. 학원 선교의 개념
2. 학원 선교의 역사적 고찰
3. 한국 학원 선교의 역사
C. 학원 선교의 이론적 이해
1. 전인교육의 매체로서의 학원 선교
2. 하나님의 선교의 매체로서의 학원 선교
3. 관계적 진리선포의 장인 학원 선교
III. 학원 선교의 문제점
A. 기독교 학원의 선교 문제점
B. 비기독교 학원의 선교 문제점
IV. 학원선교의 새로운 방안
A. 예배
B. 성경수업
C. 상담
D. 문교정책과 학교경영
V. 결론
본문내용
있는 곳이 좋다.
(2)방음장치가 되어 있어서 마음놓고 대화할 수 있어야 한다.
(3)사무실적인 실내장식보다는 가정적인 실내를 갖추어야 한다. 마치 가정에서 부모에게 상의하는 환경을 주어야 한다.
(4)상담실 전용 전화가 있어야 한다. 학생들이 때로는 전화상담을 마음놓고 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b.상담실 운영을 잘하여야 한다.
(1)오후 상담은 오전 상담보다 효과적이다. 학교의 실정이 항상 상담을 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상담시간을 공시하여 학생들이 수업에 지장없이 상담할 수 있는 시간은 오후가 효과적이다.
(2)학교는 교목이 전분야를 총괄하여 상담할 수가 없다. 학교는 일반 상담에 필요한 상담자를 분야별로 위촉하여 모든 분야에서 전문적인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c.내담자가 자유로이 상담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춘 상담자가 되어야 한다. 상담이 목회에서나 복음 선교에 기여도가 크다는 것은 앞에서 이미 지적하였다. 그러나 문제는 내담자에게 있지 않고 상담자 자신에게 있다.
(1)상담자는 학생들에게 존경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곧 성직자의 인격과 품성을 갖추어 학생들에게 존경을 받아야만 학생들이 마음놓고 상담실을 찾게 된다.
(2)상담자는 학생들에게 실력을 인정받는 학생들 사이에 소문난 실력인이 되어야 한다.
(3)상담자는 항상 학생들의 영혼을 사랑하여 성령의 도우심을 위해 기도로 준비하여야 한다.
(4)상담자는 평상시 덕망이 있어야 한다. 이는 예수 안에서의 사랑의 덕이다. 아무리 상담을 위한, 상담에 관한 지식을 가졌다 할지라도 학생들 사이에 덕망있는 분으로 인정되지 않으면 내담자는 상담자를 찾지 않는다.
(5)학생들에게 가장 가까운 친구로서 관계를 맺어야 한다.
V. 결론
산업 사회가 몰고온 파고는 교육구조 전반에도 파급되어 전통적인 교육 목적은 산산조각이 나고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능적이고 경제적인 인간형성에 집착하게 되었다.
청소년의 가치관은 혼돈되고 온통 물질만능의 세상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이에 다급해진 일부 교육정책 입안자들은 전인교육의 부활을 외치고 있지만 획일적인 강요만으로는 쉽게 이루어질 전망이 보이지 않고 있다.
학원 선교는 전인교육을 이루는 가장 좋은 매체라는 가정아래 효율적인 학원 선교를 이루기 위한 방법 연구를 하게 되었고 문제점들을 분석 평가한 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학생들이 종교에 대한 관심을 갖고 믿게되는 시기중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시기는 중고등학교 시절이다. 그러므로 학원 선교를 통한 복음화, 복음화를 통한 전인교육으로서의 육성은 중고등학교 시기에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만 한다.
2.기독교 학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예배는 일부 부형들의 반대와 진학을 위한 입시공부에도 불구하고 성서이해와 기독교이해, 인간삶에 도움을 주는 면에서 절반 이상의 학생들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준다.
그러나 형식에 너무 치우쳐서 실시되고 있으며 기독교적인 내용만 다루고 장소가 불편하고 단순한 순서채택으로 일부 학생들은 부정적 반응을 나타내기도 한다. 학생들은 수시로 외부강사를 초청해 주기를 바라고 있으며, 윤리적이고 교양적인 내용이 신앙적인 내용과 함께 설교에서 다루어지기를 바라고 있다. 예배 강사는 목사가 지배적이지만 반드시 기독교인만 예배강사로 보지 않고 불신자도 초청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예배 형식은 전통적인 순서에 의해서만 진행하지 말고 학생들이 요구하는 연극, 음악, 영화를 통한 예배형식을 첨가해서 실시해야 한다.
3.성경수업 시간은 원하는 학생들만 해야 된다고 절반이상의 학생들이 주장한다. 그러나 이는 현실적으로 매우 불가능하다. 입시위주의 교육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몸부림치는 학생들에게 성경을 선택과목으로 배정한다면 거의 모든 학생이 외면하고 말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성경 시간에 기독교 일변도의 강의보다는 학생들이 요구하는 인생삶에 도움이 되고 교양을 넓히는 문제도 폭넓게 다루어 주어야 한다. 그렇게 될 때 성경 수업시간은 기독교인에게만 필요한 내용을 다룬다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장래의삶에 유익한 것을 많이 배운다는 느낌을 주게 될 것이다. 또한 구태의연한 교수방법은 개선되어야 한다. 학생들은 교수방법이 딱딱하기 때문에 성경시간이 흥미없다고 말한다. 앞으로는 듣는 수업에서 보는 수업으로 전환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교과서가 너무 기독교인 위주로만 쓰여있기 떠문에 학생들은 못마땅하게 생각한다. 현행 교과서가 개편되어야 되지만, 그때까지만이라도 학생들이 원하는 윤리, 교양, 현실과 미래에 관한 내용을 병해애서 지도해야 한다.
성경수업시간은 현행대로 주당 1시간을 원하고 있으며, 시험은 1,2학년만 치루되 성적에는 포함시키지 않는 것이 현실적이다.
참 고 문 헌
강문석. 선교신학개론. 서울:성광문화사, 1981.
강문석. 선교신학개론. 서울:성광문화사, 1981.
고용수. "기독교 학교교육의 현실과 당면과제". 한국기독교학교 연맹회보 제35호 1984.11.
김광율. "학원선교를 위한 지도력개발", 기독사상3월호. 서울:대한기독서회, 1983.
김성재. "하나님의 선교와 교육", 기독교사상. 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82년 3월호.
김양선. "한국교회와 현대교육", 신학논단 제7집 1962.2.
김종회. 한국교회 100주년 선교대회 보고서 제27분과 학원선교부문. 서울:대한 예수교 장로회 총회, 1983.
김종희. "위기를 맞은 기독교육, 기독교사상 제23권 1979.4.
김종희. "학원선교의 본질과 사명". 기독공보, 1986.6.15.
박근원. 오늘의 선교론. 서울:전망사, 1983.
박남수. 선교는 그리스도의 지상명령. 서울:기독교문화사, 1985.
오인탁외. 기독교교육론. 서울:대한기독교 교육협회, 1984.
은준관. 교회 선교 교육. 서울:전망사, 1982.
이계준. 한국교회와 하나님의 선교. 서울:전망사, 1981.
이계준. 한국교회와 하나님의 선교. 서울:전망사, 1981.
이만열. 한국기독교 문화운동사. 서울:대한기독교출판사, 1987.
항목 "배제학교". 기독교 대백과사전. 서울:기독교문사, 1985년도판.
논문
학원선교에 대한 새로운 방안연구
장 로 회 신 학 대 학 교
(2)방음장치가 되어 있어서 마음놓고 대화할 수 있어야 한다.
(3)사무실적인 실내장식보다는 가정적인 실내를 갖추어야 한다. 마치 가정에서 부모에게 상의하는 환경을 주어야 한다.
(4)상담실 전용 전화가 있어야 한다. 학생들이 때로는 전화상담을 마음놓고 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b.상담실 운영을 잘하여야 한다.
(1)오후 상담은 오전 상담보다 효과적이다. 학교의 실정이 항상 상담을 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상담시간을 공시하여 학생들이 수업에 지장없이 상담할 수 있는 시간은 오후가 효과적이다.
(2)학교는 교목이 전분야를 총괄하여 상담할 수가 없다. 학교는 일반 상담에 필요한 상담자를 분야별로 위촉하여 모든 분야에서 전문적인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c.내담자가 자유로이 상담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춘 상담자가 되어야 한다. 상담이 목회에서나 복음 선교에 기여도가 크다는 것은 앞에서 이미 지적하였다. 그러나 문제는 내담자에게 있지 않고 상담자 자신에게 있다.
(1)상담자는 학생들에게 존경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곧 성직자의 인격과 품성을 갖추어 학생들에게 존경을 받아야만 학생들이 마음놓고 상담실을 찾게 된다.
(2)상담자는 학생들에게 실력을 인정받는 학생들 사이에 소문난 실력인이 되어야 한다.
(3)상담자는 항상 학생들의 영혼을 사랑하여 성령의 도우심을 위해 기도로 준비하여야 한다.
(4)상담자는 평상시 덕망이 있어야 한다. 이는 예수 안에서의 사랑의 덕이다. 아무리 상담을 위한, 상담에 관한 지식을 가졌다 할지라도 학생들 사이에 덕망있는 분으로 인정되지 않으면 내담자는 상담자를 찾지 않는다.
(5)학생들에게 가장 가까운 친구로서 관계를 맺어야 한다.
V. 결론
산업 사회가 몰고온 파고는 교육구조 전반에도 파급되어 전통적인 교육 목적은 산산조각이 나고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능적이고 경제적인 인간형성에 집착하게 되었다.
청소년의 가치관은 혼돈되고 온통 물질만능의 세상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이에 다급해진 일부 교육정책 입안자들은 전인교육의 부활을 외치고 있지만 획일적인 강요만으로는 쉽게 이루어질 전망이 보이지 않고 있다.
학원 선교는 전인교육을 이루는 가장 좋은 매체라는 가정아래 효율적인 학원 선교를 이루기 위한 방법 연구를 하게 되었고 문제점들을 분석 평가한 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학생들이 종교에 대한 관심을 갖고 믿게되는 시기중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시기는 중고등학교 시절이다. 그러므로 학원 선교를 통한 복음화, 복음화를 통한 전인교육으로서의 육성은 중고등학교 시기에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만 한다.
2.기독교 학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예배는 일부 부형들의 반대와 진학을 위한 입시공부에도 불구하고 성서이해와 기독교이해, 인간삶에 도움을 주는 면에서 절반 이상의 학생들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준다.
그러나 형식에 너무 치우쳐서 실시되고 있으며 기독교적인 내용만 다루고 장소가 불편하고 단순한 순서채택으로 일부 학생들은 부정적 반응을 나타내기도 한다. 학생들은 수시로 외부강사를 초청해 주기를 바라고 있으며, 윤리적이고 교양적인 내용이 신앙적인 내용과 함께 설교에서 다루어지기를 바라고 있다. 예배 강사는 목사가 지배적이지만 반드시 기독교인만 예배강사로 보지 않고 불신자도 초청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예배 형식은 전통적인 순서에 의해서만 진행하지 말고 학생들이 요구하는 연극, 음악, 영화를 통한 예배형식을 첨가해서 실시해야 한다.
3.성경수업 시간은 원하는 학생들만 해야 된다고 절반이상의 학생들이 주장한다. 그러나 이는 현실적으로 매우 불가능하다. 입시위주의 교육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몸부림치는 학생들에게 성경을 선택과목으로 배정한다면 거의 모든 학생이 외면하고 말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성경 시간에 기독교 일변도의 강의보다는 학생들이 요구하는 인생삶에 도움이 되고 교양을 넓히는 문제도 폭넓게 다루어 주어야 한다. 그렇게 될 때 성경 수업시간은 기독교인에게만 필요한 내용을 다룬다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장래의삶에 유익한 것을 많이 배운다는 느낌을 주게 될 것이다. 또한 구태의연한 교수방법은 개선되어야 한다. 학생들은 교수방법이 딱딱하기 때문에 성경시간이 흥미없다고 말한다. 앞으로는 듣는 수업에서 보는 수업으로 전환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교과서가 너무 기독교인 위주로만 쓰여있기 떠문에 학생들은 못마땅하게 생각한다. 현행 교과서가 개편되어야 되지만, 그때까지만이라도 학생들이 원하는 윤리, 교양, 현실과 미래에 관한 내용을 병해애서 지도해야 한다.
성경수업시간은 현행대로 주당 1시간을 원하고 있으며, 시험은 1,2학년만 치루되 성적에는 포함시키지 않는 것이 현실적이다.
참 고 문 헌
강문석. 선교신학개론. 서울:성광문화사, 1981.
강문석. 선교신학개론. 서울:성광문화사, 1981.
고용수. "기독교 학교교육의 현실과 당면과제". 한국기독교학교 연맹회보 제35호 1984.11.
김광율. "학원선교를 위한 지도력개발", 기독사상3월호. 서울:대한기독서회, 1983.
김성재. "하나님의 선교와 교육", 기독교사상. 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82년 3월호.
김양선. "한국교회와 현대교육", 신학논단 제7집 1962.2.
김종회. 한국교회 100주년 선교대회 보고서 제27분과 학원선교부문. 서울:대한 예수교 장로회 총회, 1983.
김종희. "위기를 맞은 기독교육, 기독교사상 제23권 1979.4.
김종희. "학원선교의 본질과 사명". 기독공보, 1986.6.15.
박근원. 오늘의 선교론. 서울:전망사, 1983.
박남수. 선교는 그리스도의 지상명령. 서울:기독교문화사, 1985.
오인탁외. 기독교교육론. 서울:대한기독교 교육협회, 1984.
은준관. 교회 선교 교육. 서울:전망사, 1982.
이계준. 한국교회와 하나님의 선교. 서울:전망사, 1981.
이계준. 한국교회와 하나님의 선교. 서울:전망사, 1981.
이만열. 한국기독교 문화운동사. 서울:대한기독교출판사, 1987.
항목 "배제학교". 기독교 대백과사전. 서울:기독교문사, 1985년도판.
논문
학원선교에 대한 새로운 방안연구
장 로 회 신 학 대 학 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