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혼인이나 혈연관계가 아니어도 주거와 생계를 함께 한다면 가족으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해 각자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고 토론
2. 참고자료
2. 참고자료
본문내용
범주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실제 집권여당 및 여가부에서는 동성애 커플도 가족의 범주로 포함시키는 시행령을 발표하기도 하였는데... 전 세계적으로 동성애 커플을 가족의 범주로 포함시키는 것은 시대적 대세가 되고 있는 양상이다. 그러나 혼인이나 혈연관계가 아닌 동성애 커플을 가족의 범주로 포함시킨다면, 우리사회 많은 어린 학생들이 동성애를 자연스런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음은 물론 동성애 커플에 대한 모방 및 관찰학습의 결과로 많은 학생들이 게이나 레즈비언으로 전락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나는 기독교적 신념을 가진 사람으로서 사회적으로 동성애를 용인하고 동성애 커플을 가족의 범주로 포함시키는 것이 죄라고 생각한다. 성경 속 고대도시인 소돔과 고도라가 무분별한 동성애로 멸망하였다는 것을 고려해 보았을 때, 동성애 커플도 가족의 범주로 포함시키는 것은 막아야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여기서 더 나아가 혼인이나 혈연관계가 아닌 사람을 가족의 범주로 포함시켜서는 절대 안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2. 참고자료
가족복지론(3판)(양장본 HardCover) (제3판) 박미은(대학교수), 신희정 외 2명 저 | 공동체 | 2020.08.31.
나는 기독교적 신념을 가진 사람으로서 사회적으로 동성애를 용인하고 동성애 커플을 가족의 범주로 포함시키는 것이 죄라고 생각한다. 성경 속 고대도시인 소돔과 고도라가 무분별한 동성애로 멸망하였다는 것을 고려해 보았을 때, 동성애 커플도 가족의 범주로 포함시키는 것은 막아야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여기서 더 나아가 혼인이나 혈연관계가 아닌 사람을 가족의 범주로 포함시켜서는 절대 안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2. 참고자료
가족복지론(3판)(양장본 HardCover) (제3판) 박미은(대학교수), 신희정 외 2명 저 | 공동체 | 2020.08.3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