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변증 방법에 대한 연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독교 변증 방법에 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장 서론 ……………………………………………………………… 1
1. 연구 목적 …………………………………………………………… 1
2. 연구 내용 …………………………………………………………… 2
3. 연구 방법 …………………………………………………………… 3

제2장 포스트모더니즘 …………………………………………… 5
1. 배경 ………………………………………………………………… 5
2. 정의 ………………………………………………………………… 9
3. 특성 ………………………………………………………………… 11

제3장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 ……………………………… 14
1. 문화에 대한 영향 ………………………………………………… 14
2. 사상에 대한 영향 ………………………………………………… 21
3. 정치 및 사회에 대한 영향 ……………………………………… 25
4. 기독교에 대한 영향 ……………………………………………… 27

제4장 기독교변증 ………………………………………………… 31
1. 개요 …………………………………………………………………… 31
2. 역사 …………………………………………………………………… 33
2.1. 신약 시대 ……………………………………………………… 34
2.2. 교부 시대 ……………………………………………………… 36
2.3. 중세 시대 ……………………………………………………… 38
2.4. 종교 개혁 시대 ……………………………………………… 40
2.5. 근세 이후 ……………………………………………………… 42
3. 기독교변증 방법 …………………………………………………… 46
3.1. 고전적 변증학 ………………………………………………… 48
3.2. 증거주의적 변증학 …………………………………………… 51
3.3. 사례누적적 변증학 …………………………………………… 60
3.4. 전제주의적 변증학 …………………………………………… 69
3.5. 개혁주의 인식론적 변증학…………………………………… 75

제5장 포스트모던 시대의 기독교변증 …………………… 82
1. 필요성 ………………………………………………………………… 82
2. 방법들에 대한 평가 ………………………………………………… 85
2.1. 고전적 방법에 대한 평가 …………………………………… 86
2.2. 증거주의적 방법에 대한 평가 ……………………………… 86
2.3. 사례누적적 방법에 대한 평가 ……………………………… 87
2.4. 전제주의적 방법에 대한 평가 ……………………………… 88
2.5. 개혁주의 인식론적 방법에 대한 평가 ……………………… 88
2.6. 종합적 평가 …………………………………………………… 89
2.7. 한국의 상황에 대한 적용 …………………………………… 90
3. 대안으로서 알리스터 맥그래스(Alister E. McGrath)의
변증 방법 …………………………………………………………… 93

제6장 결론 ……………………………………………………………… 113

참고문헌 ……………………………………………………………… 116

Abstract ………………………………………………………………… 124

본문내용

s L. Wilkens and Duane Priebe. Philadelphia: Westminister, 1977.
4. 논문
김영한. “21세기 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 『한국기독교연구논총』. 서울: 숭실대학교출판부, 1996.
석기신. “John Calvin에게서 나타나는 개혁주의 변증학의 몇 가지 원리들”. 『종교개혁과 개혁신학』. 서울: 성광문화사, 2000.
이경직. “헬라 문화와 기독교: 순교자 유스티누스의 기독교변증”. 『진리논단 제9호』. 천안: 천안대학교, 2004.
장성민. “파스칼의 기독교변증론의 기초”. 『종교개혁과 개혁신학』. 서울: 성광문화사, 2000.
주만성. “포스트모더니즘 사조에 나타난 신학적 위기와 기회”. 『이천수 박사 재임 기념 논문집』. 천안: 천안대학교, 2003.
최태연. “C. Van Til 기독교변증학의 의미”.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 서울: 백석출판사, 2001.
라인하르트 슬렌츠카. “21세기를 향한 기독교의 종교신학”. 『한국기독교연구논총 제11집 - 21세기의 기독교와 타종교』. 최태연역. 서울: 숭실대학교출판부, 1999.
Abstract
Christian Apologetic Methods in a Postmodern Era
Tae Jin Kw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n alternative apologetic method in a postmodern era. I develop two major themes for the study. The first is developed by answering the question: What is postmodernism and what is its impact on our society and culture? Second, the study examines and evaluates several apologetic methods and seeks the best form of response to the threats posed by postmodernism.
Chapter 1 deals with the purpose, content and method of the present study. In chapter 2, I consider the background,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sm. This chapter shows that postmodernism is inextricably linked with modernism and is characterized by very complex and diverse phenomena.
Then in chapter 3, I examine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on our culture, thought, politics and society, and Christianity. I argue that postmodernism exercises a far-reaching influence on all fields of academia and society today. Especially, I am interested in its effects on Christianity. Several scholars take a positive view of its effects on our churches, while many theologians believe that its influence on Christianity is largely negative. I generally agree with the latter opinion. As such, I am of the opinion that Christians should explore effective means of responding to these challenges.
Therefore, one of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deal with these challenges in terms of Christian apologetics. So, I examine the outline and history of a wide range of apologetic methods employed by the churches in chapter 4. Chapter 5 provides a detailed evaluation of these apologetic methods. Both chapters reveal that each one had its own merits and demerits in a postmodern period. Therefore, I present Alister McGrath\'s method as a viable alternative. I examine here his method as delineated in his apologetic works. Moreover, I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his method by studying the views of other apologists. As a result, I find that they generally supported his method. In conclusion, it could justifiably be seen that McGrath\'s apologetic method is very effective in our age.
However, we should also develop more effective apologetics in order to cope with the challenges of diverse powers such as postmodernism, science, atheism, etc. In addition, I am certain that we need to foster specialists who can effectively deal with these potent threats.
  • 가격12,500
  • 페이지수132페이지
  • 등록일2021.03.09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61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