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기준 1.2 낙상예방
- 조사 목적
- 조사 항목
- 기준의 이해
- 조사 방법
- 판정 기준
- 조사 목적
- 조사 항목
- 기준의 이해
- 조사 방법
- 판정 기준
본문내용
도구를 이용하여 재평
가를 수행한다.
P
(간호사)
-낙상 재평가 시점(정기적, 환자 상태변화 시), 절차 질문
(의무기록 확인)
-입원환자의 낙상 재평가 기록
V 정기적 재평가의 주기, 환자상태 변화에 대한 재평가 대상 및 기준은 의료기관에 서 정할 수 있음
5
(필수) 낙상 발생 가능
한 장소 또는 부서에서
낙상 예방활동을 수행
한다.
P
(간호사, 의료기사)
-낙상 고위험환자 공유 방법 확인 및 낙상 발생 장소의 낙상 예방활동 내용 질문
(관찰) 치료실, 검사실
-낙상 예방활동 수행 여부
V 낙상 빈도와 연관 지어 판정하지 않도 록 주의
6
낙상 예방활동의 성과를
지속적으로 관리 한다.
O
<질 향상 및 환자안전활동 ST>
(관련 자료 확인)
-지료 모니터링 및 분석 자료
-개선활동 수행 및 활동결과 평가 자료
-경영지 보고 및 직원 공유 자료
V 필요시 근접오류, 위해사건, 적신호사건 별로 구분하여 관리 가능
<판정기준>
판정 내용
상
중
하
지료 모니터링 및 분석
수행
수행
‘상’과 ‘중’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개선활동 수행*
수행
미흡
경영진 보고 및 직원 공유
수행
수행
*지표값이 목표치를 상회하여 개선이 필요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인정함
가를 수행한다.
P
(간호사)
-낙상 재평가 시점(정기적, 환자 상태변화 시), 절차 질문
(의무기록 확인)
-입원환자의 낙상 재평가 기록
V 정기적 재평가의 주기, 환자상태 변화에 대한 재평가 대상 및 기준은 의료기관에 서 정할 수 있음
5
(필수) 낙상 발생 가능
한 장소 또는 부서에서
낙상 예방활동을 수행
한다.
P
(간호사, 의료기사)
-낙상 고위험환자 공유 방법 확인 및 낙상 발생 장소의 낙상 예방활동 내용 질문
(관찰) 치료실, 검사실
-낙상 예방활동 수행 여부
V 낙상 빈도와 연관 지어 판정하지 않도 록 주의
6
낙상 예방활동의 성과를
지속적으로 관리 한다.
O
<질 향상 및 환자안전활동 ST>
(관련 자료 확인)
-지료 모니터링 및 분석 자료
-개선활동 수행 및 활동결과 평가 자료
-경영지 보고 및 직원 공유 자료
V 필요시 근접오류, 위해사건, 적신호사건 별로 구분하여 관리 가능
<판정기준>
판정 내용
상
중
하
지료 모니터링 및 분석
수행
수행
‘상’과 ‘중’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개선활동 수행*
수행
미흡
경영진 보고 및 직원 공유
수행
수행
*지표값이 목표치를 상회하여 개선이 필요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인정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