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본 도서를 선택한 이유
2. 본 도서의 핵심 주제와 주요 내용
3. 본 도서의 내용중에서 공유하고 싶은 내용
4. 본 도서를 읽고 느낀점
5. 본 도서의 시사점
2. 본 도서의 핵심 주제와 주요 내용
3. 본 도서의 내용중에서 공유하고 싶은 내용
4. 본 도서를 읽고 느낀점
5. 본 도서의 시사점
본문내용
년의 99%가 심각한 폭력을 저지르지 않는다\'라고 선전하는 광고가 등장했는데 이 광고의 표현을 바꿈으로써 승객들을 안심시키려는 처음의 의도와는 달리 상반되는 효과를 일으킬 수도 있다.
그 이유는 첫째 99%가 심각한 청소년 폭력을 저지르지 않는다는 말은 반대로 1%가 아주 심각한 폭력을 저지른다는 뜻이고 둘째 런던의 1% 청소년 숫자는 1만명으로 절대적으로는 적지 않은 숫자이다. 여기서 통계의 효과를 조작하기 위해 두 가지 방법을 사용했는데 첫째는 긍정적 틀을 부정적 틀로 바꿨고 둘째 백분율을 구체적인 숫자로 바꾸었다. 이렇게 통계는 여전히 사람들을 현혹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자의 책에서 가장 도움이 된 점은 통계 모델링을 설명할 때 기저의 변동성/불확실성을 바탕으로 한다는 원칙이었다. 자연/사회에서 우연이라고 불리우는 변동성은 불가피하며, 심지어 모든 것이 이미 정해진 결정론적 세상이라고 하더라도 우리는 정보의 부족으로 인해 불확실성에 직면하기 때문에 매우 설득력이 있다고 생각된다. 개인적으로 학교 수업에서 배운 통계학은 표본집단으로 모집단을 추정한다는 관점에 국한되어 전수조사가 가능한 실무에서 유용성이 적다는 느낌을 받았었는데 저자의 이러한 설명은 통계학에 대한 오해를 불식시켜 주었다.
수식, 유도 과정 등 기술적이고 전문적인 세부사항이 아닌 개념 전달을 위한 설명을 했음에도 그 개념 자체를 이해하기에도 쉽지는 않았다. 다만, 개념 자체의 난해함과는 별개로 통계이용자가 아닌 통계작성자의 관점에서 고려할 사항을 하나씩 점검하면서 통계이용자로서는 통계작성자가 숨기거나, 놓친 부분이 있을 수 있다는 점과 이를 공략하기 위한 방법을 습득한 느낌이다. 다른 사람들의 통계에 무임승차하여 세상을 보려했던 과거에 대한 반성과 더불어, 거듭 이 책을 탐독하여 비판적 통계분석 및 다른 사람들에게 현상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제공하는 통계작성자로 거듭나길 바라본다.
************************[참고 자료]******************************
도서명 : 숫자에 약한 사람들을 위한 통계학 수업
(데이터에서 세상을 읽어내는 법)
원 제 : The Art of Statistics(2018)
저 자 : 데이비드 스피겔할터
출판사 : 웅진지식하우스
출판일 : 2020년 08월 12일
***************************************************************
그 이유는 첫째 99%가 심각한 청소년 폭력을 저지르지 않는다는 말은 반대로 1%가 아주 심각한 폭력을 저지른다는 뜻이고 둘째 런던의 1% 청소년 숫자는 1만명으로 절대적으로는 적지 않은 숫자이다. 여기서 통계의 효과를 조작하기 위해 두 가지 방법을 사용했는데 첫째는 긍정적 틀을 부정적 틀로 바꿨고 둘째 백분율을 구체적인 숫자로 바꾸었다. 이렇게 통계는 여전히 사람들을 현혹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자의 책에서 가장 도움이 된 점은 통계 모델링을 설명할 때 기저의 변동성/불확실성을 바탕으로 한다는 원칙이었다. 자연/사회에서 우연이라고 불리우는 변동성은 불가피하며, 심지어 모든 것이 이미 정해진 결정론적 세상이라고 하더라도 우리는 정보의 부족으로 인해 불확실성에 직면하기 때문에 매우 설득력이 있다고 생각된다. 개인적으로 학교 수업에서 배운 통계학은 표본집단으로 모집단을 추정한다는 관점에 국한되어 전수조사가 가능한 실무에서 유용성이 적다는 느낌을 받았었는데 저자의 이러한 설명은 통계학에 대한 오해를 불식시켜 주었다.
수식, 유도 과정 등 기술적이고 전문적인 세부사항이 아닌 개념 전달을 위한 설명을 했음에도 그 개념 자체를 이해하기에도 쉽지는 않았다. 다만, 개념 자체의 난해함과는 별개로 통계이용자가 아닌 통계작성자의 관점에서 고려할 사항을 하나씩 점검하면서 통계이용자로서는 통계작성자가 숨기거나, 놓친 부분이 있을 수 있다는 점과 이를 공략하기 위한 방법을 습득한 느낌이다. 다른 사람들의 통계에 무임승차하여 세상을 보려했던 과거에 대한 반성과 더불어, 거듭 이 책을 탐독하여 비판적 통계분석 및 다른 사람들에게 현상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제공하는 통계작성자로 거듭나길 바라본다.
************************[참고 자료]******************************
도서명 : 숫자에 약한 사람들을 위한 통계학 수업
(데이터에서 세상을 읽어내는 법)
원 제 : The Art of Statistics(2018)
저 자 : 데이비드 스피겔할터
출판사 : 웅진지식하우스
출판일 : 2020년 08월 12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