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아메리카 수막 카우사이 등장 배경, 핵심원리, 파차마마, 맺음말, 참고문헌. 완성도 있는 리포트입니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라틴아메리카 수막 카우사이 등장 배경, 핵심원리, 파차마마, 맺음말, 참고문헌. 완성도 있는 리포트입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수막 카우사이란 무엇인가
Ⅱ-Ⅰ.수막 카우사이 등장 배경
Ⅱ-Ⅱ.수막 카우사이의 핵심원리
Ⅱ-Ⅲ. 파차마마(Pachamama)

Ⅲ. 나오는 말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다. 이러한 점에서 수막 카우사이는 에콰도르 원주민들의 힘과 현대 라틴아메리카 사회운동의 역량을 잘 보여주는 좋은 본보기라고 생각한다. 무엇보다 수막 카우사이는 원주민과 같은 사회적 약자와 자연과 같은 대상을 주체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정치, 사회, 경제적으로 배제된 원주민을 국민의 지위로 향상시키고, 배제된 문화와 정체성을 회복시킨다는 점에서 약자를 주체로 전환시키고 있다. 또한 수막 카우사이는 원주민 전통 세계관과 삶의 원리에서 출발했지만, 곧바로 다양한 현대 비판사상의 성과들이 결합되었고 안데스 사회변혁을 위한 담론이자 사상으로 구체적으로 제시되었다. 수막 카우사이는 단순히 이론이 아니라 볼리비아의 MAS당과 에콰도르 ‘시민 혁명’ 정부의 실천 전략이자 정책으로 구체화 되었다는 데 그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원주민들이 원하는 행복은 자신들의 전통과 단절되거나 문화와 분리된 삶 그런게 아니라 그것들의 잣대 위에 구축된 것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앞서 얘기했듯 수막 카우사이는 원주민과 같은 사회적 약자와 자연과 같은 대상을 주체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 이러한 배제된 계층이 있다는 것, 즉 인종적 위계성이나 문화적 불평등이 극복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국민은 충만한 행복을 누릴 수 없다는 것이다. 안데스 원주민의 시각에서 보면 진정한 행복은 남보다 ‘더 잘살기’나 복지를 통해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파차마마로 대표되는 자연에 대한 존중과 다양한 인종, 문화적 가치가 존중받고 공존하는 세계를 통해 완성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정답이라고는 이야기할 순 없지만 ‘수막 카우사이’를 통해 라틴아메리카, 특히 안데스 원주민들이 보다 나은 ‘충만한 삶’ 즉 행복한 삶을 누리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번 학기는 스페인어라는 전공을 부전공으로써 처음 맞이하는 학기였기에, 다른 강의들의 리포트 주제도 그러했지만 이번 ‘수막 카우사이’란 주제는 나에게 매우 신비롭고 새롭게 다가왔다. 물론 처음 들어서 어려웠던 부분도 컸지만 이러한 원주민들의 사상과 이념, 역사를 공부할 수 있었던 정말 좋은 시간이 됐던 것 같다. 비록 많이 부족한 리포트지만 본인은 이번 리포트를 써 나가면서 라틴아메리카에 대해 이해하고 공부하는 데 정말 많은 도움이 된 것 같다.
Ⅶ. 참고문헌
조영현, <라틴아메리카 원주민운동: 사파티스타운동과 에콰도르원주민민족연맹(CONAIE)에 대한 비교 연구>,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15, 317-356pp
조영현, <해방철학과 수막 카우사이 비교연구 : 유토피아적 관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18, 151-188pp
조영현, <‘부엔 비비르’(Buen Vivir) 담론 내부의 이념 노선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15, 27-55pp
조영현, <‘해방철학과 수막 카우사이 비교연구 : 유토피아적 관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18, 151-188pp
조영현, 김달관, <에콰도르 원주민 사상과 세계관의 복원: 수막 카우사이(Sumak Kawsay)에 대한 이론적 고찰>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15, 317-356pp
이상현, <행복지수와 라틴아메리카의 행복>, 스페인 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18, 85-106pp
안데스 삶의 철학이자 방식인 수막 카우사이(Sumak Kawsay) 부산외국어대학교 중남미지역원(IIAS) HK+사업단: 라틴아메리카,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_③ 안데스의 행복론: 수막 카우사이, <대학지성>, 2020/03/01.00:00, http://www.unipres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24
  • 가격2,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1.03.1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65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