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과학이야기를 통한 과학교육에서 고려해야 할 교사의 역할
2. 문학책을 이용한 과학교육 활동 사례
(1) 과학교육활동에서 활용할 책 소개
(2) 과학교육 활동 사례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과학이야기를 통한 과학교육에서 고려해야 할 교사의 역할
2. 문학책을 이용한 과학교육 활동 사례
(1) 과학교육활동에서 활용할 책 소개
(2) 과학교육 활동 사례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용하면 아동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지적 갈등을 유도하여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이에 교사는 다양한 자료를 통해 아동 스스로 사고할 수 있도록 적절한 발문과 질문을 사용해야 한다.
다음으로 문학책을 이용한 과학교육 활동으로 ‘똑똑한 부피와 무게 재기’를 소개하였다. 이 활동의 목표는 다양한 방법으로 무게를 재 보고, 수평이 맞는 모빌을 만들어 보는 것이며 이를 통해 부피와 무게, 단위를 사용하는 이유에 대해 알게 된다.
과학이야기를 통한 과학교육은 과학 활동을 조금 더 흥미롭고 능동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그림책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시중에 나와 있다. 하지만 좋은 프로그램이라도 모든 아동에게 동일한 효과를 주지는 않는다. 교사는 자신과 수업을 받는 아동들에게 맞도록 수업 내용을 재구성하고 좋은 질문을 준비해야 한다. 그리고 다양한 활동을 계획해야 한다.
교사들은 알아야 한다. 교사가 아동과학의 중요성과 과학 활동 방향을 제대로 파악하고 프로그램을 만든다면 자연스럽게 긍정적인 효과로 연결될 것이고, 좋은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한 노력은 아동이 가지게 될 과학의 이미지를 바꿔놓을 것이다. 이에 모든 아동들이 과학을 친근하고 재미있게 생각하는 성인으로 자랄 수 있길 바라본다.
Ⅳ. 참고문헌
- 임영현, 신영준(2014),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에 기술된 과학이야기에 대한 학생들의 어려움 분석 : 6학년 과학을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지』 제38권, 3호,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이민규·정용재·김한제(2011), 「3,4학년 \"과학이야기\"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 조사」, 『초등과학교육』 제30권 1호,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 수지, 「아동과학교육 활동을 위한 접근법 1」, 블로그, https://jung92.tistory.com/entry/%EC%95%84%EB%8F%99%EA%B3%BC%ED%95%99%EA%B5%90%EC%9C%A1-%ED%99%9C%EB%8F%99%EC%9D%84-%EC%9C%84%ED%95%9C-%EC%A0%91%EA%B7%BC%EB%B2%95-1-1(2020.12.31.).
- 길벗스쿨의 집자씨, 「[이벤트] 단위 그림 사전의 제목을 골라 주세요!」, 블로그, https://blog.naver.com/gilbutschoolbook/222052717978(2020.12.31.).
- 「영유아 과학활동 지도를 위한 교사의 역할에 대해서 자신의 의견」, http://webcache.googleusercontent.com/search?q=cache:9aKxGKNbsAwJ:lms.hanboyuk.com/upload_file/bestreport/%25EC%2595%2584%25EB%258F%2599%25EA%25B3%25BC%25ED%2595%2599%25EC%25A7%2580%25EB%258F%2584_%25EB%25B0%2595%25EC%25A7%2580%25EC%2584%25A0_1911.pdf+&cd=5&hl=ko&ct=clnk&gl=kr(2020.12.31.).
다음으로 문학책을 이용한 과학교육 활동으로 ‘똑똑한 부피와 무게 재기’를 소개하였다. 이 활동의 목표는 다양한 방법으로 무게를 재 보고, 수평이 맞는 모빌을 만들어 보는 것이며 이를 통해 부피와 무게, 단위를 사용하는 이유에 대해 알게 된다.
과학이야기를 통한 과학교육은 과학 활동을 조금 더 흥미롭고 능동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그림책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시중에 나와 있다. 하지만 좋은 프로그램이라도 모든 아동에게 동일한 효과를 주지는 않는다. 교사는 자신과 수업을 받는 아동들에게 맞도록 수업 내용을 재구성하고 좋은 질문을 준비해야 한다. 그리고 다양한 활동을 계획해야 한다.
교사들은 알아야 한다. 교사가 아동과학의 중요성과 과학 활동 방향을 제대로 파악하고 프로그램을 만든다면 자연스럽게 긍정적인 효과로 연결될 것이고, 좋은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한 노력은 아동이 가지게 될 과학의 이미지를 바꿔놓을 것이다. 이에 모든 아동들이 과학을 친근하고 재미있게 생각하는 성인으로 자랄 수 있길 바라본다.
Ⅳ. 참고문헌
- 임영현, 신영준(2014),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에 기술된 과학이야기에 대한 학생들의 어려움 분석 : 6학년 과학을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지』 제38권, 3호,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이민규·정용재·김한제(2011), 「3,4학년 \"과학이야기\"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 조사」, 『초등과학교육』 제30권 1호,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 수지, 「아동과학교육 활동을 위한 접근법 1」, 블로그, https://jung92.tistory.com/entry/%EC%95%84%EB%8F%99%EA%B3%BC%ED%95%99%EA%B5%90%EC%9C%A1-%ED%99%9C%EB%8F%99%EC%9D%84-%EC%9C%84%ED%95%9C-%EC%A0%91%EA%B7%BC%EB%B2%95-1-1(2020.12.31.).
- 길벗스쿨의 집자씨, 「[이벤트] 단위 그림 사전의 제목을 골라 주세요!」, 블로그, https://blog.naver.com/gilbutschoolbook/222052717978(2020.12.31.).
- 「영유아 과학활동 지도를 위한 교사의 역할에 대해서 자신의 의견」, http://webcache.googleusercontent.com/search?q=cache:9aKxGKNbsAwJ:lms.hanboyuk.com/upload_file/bestreport/%25EC%2595%2584%25EB%258F%2599%25EA%25B3%25BC%25ED%2595%2599%25EC%25A7%2580%25EB%258F%2584_%25EB%25B0%2595%25EC%25A7%2580%25EC%2584%25A0_1911.pdf+&cd=5&hl=ko&ct=clnk&gl=kr(2020.12.31.).
추천자료
<사회교육> 사회과교육과 웹기반 교육, 그리고 현장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건강생활, 사회생활, 표현생활, 언어생활, 탐구생활 영역을 통합교육과정운영에 의한 교육계...
이야기구연(스토리텔링, 동화구연)의 의의, 이야기구연(스토리텔링, 동화구연)의 이야기선정...
초등학교 사회 수업지도안 5학년 1학기 3단원. 환경 보전과 국토 개발 (환경 문제의 합리적 ...
문학에 기초한 언어지도법을 적용하기 위해 적합한 주제와 그림책을 하나 정하고 책읽어주기 ...
영역별(언어, 수과학, 신체, 정서 등)에 적합한 그림책 선정 후 문학적 접근의 계획안을 작성...
교육평가A형-아래 사항에 근거하여 만 5세 유아의 ‘예술감수성’ 평정척도 검사도구를 제작하...
이야기를 통한 약속 교육 - 3학년 2학기 도덕 1단원 약속과 규칙
[초등도덕교육론] 이야기 교육법 - 정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