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편측절제술 (hemisection) 이란?
2. 편측절제술 (hemisection)의 적응증
3. 고려사항
4. 편측절제술 (hemisection)의 기구 및 재료
5. 시술과정
6. 실제 Hemisection 사례
2. 편측절제술 (hemisection)의 적응증
3. 고려사항
4. 편측절제술 (hemisection)의 기구 및 재료
5. 시술과정
6. 실제 Hemisection 사례
본문내용
or, surgicar curette, 10% 포르말린 용액, saline, 세척용 syringe, bosmin, gauze, microscope, 치주포대, suture needle, needle holder, silk, scissor, 헥사메딘 등
● 시술과정
① 수술할 해당 치아를 신경치료 한다.
② 결함부위를 직접 시야에서 볼 수 있도록 충분히 flap을 형성한다.
③ bur를 이용하여 치근 이개부를 지나는 선에 협·설측으로 표시를 한 후 절단한다.
④ 불필요한 치근 및 치관부위를 제거한다.
⑤ 골조직의 괴사조직을 제거한다.
⑥ 필요에 따라 osteoplasty를 하여 골 조직을 편평하게 하여 flap의 적합성을 좋게 만든다.
⑦ 수술은 잔존치근의 근심이나 원심부분에 잔여 내측골 분화구를 제거해줌으로써 완성한다.
⑧ 최종의 양형으로 골 외형을 만들어준다.
⑨ 봉합
⑩ 치주포대를 부착하여 창상을 보호한다.
⑪ 시간이 지나 상처부위가 치유되면
⑫ 남은 치관에 보철물을 씌워 치료를 마무리 한다.
● 실제 Hemisection 사례
b. 구내 방사선사진상 원심부의 치근에 천공을 보이는 #36
e. Hemisection 후 남은 치근은 신경치료를 진행한 모습
● 시술과정
① 수술할 해당 치아를 신경치료 한다.
② 결함부위를 직접 시야에서 볼 수 있도록 충분히 flap을 형성한다.
③ bur를 이용하여 치근 이개부를 지나는 선에 협·설측으로 표시를 한 후 절단한다.
④ 불필요한 치근 및 치관부위를 제거한다.
⑤ 골조직의 괴사조직을 제거한다.
⑥ 필요에 따라 osteoplasty를 하여 골 조직을 편평하게 하여 flap의 적합성을 좋게 만든다.
⑦ 수술은 잔존치근의 근심이나 원심부분에 잔여 내측골 분화구를 제거해줌으로써 완성한다.
⑧ 최종의 양형으로 골 외형을 만들어준다.
⑨ 봉합
⑩ 치주포대를 부착하여 창상을 보호한다.
⑪ 시간이 지나 상처부위가 치유되면
⑫ 남은 치관에 보철물을 씌워 치료를 마무리 한다.
● 실제 Hemisection 사례
b. 구내 방사선사진상 원심부의 치근에 천공을 보이는 #36
e. Hemisection 후 남은 치근은 신경치료를 진행한 모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