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roach
근관 확대용
수동형- Remer, K-file, H-file
엔진구동형 - 게이츠글리든 버, 니켈티타늄
근관 충전용
근관 spreaedr(측방가압) 근관 plugger(수직가압)
* 근관형성의 수동기구
1) K-file ■
2) H-file ● - 삭제능력이 좋다. 파절되기 쉬워 중앙부1/3~ 치관부1/3 부위에 주로 사용
3) Reamer▲
* step-back 근관형성 방법
- 치근단 부위의 변형이 적으며 치관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원래의 치근형태를 유지하면서 근관을 형성
- 치근단 조직에 손상을 줄 가능성이 적다
- 근관 내부의 잔사제거에 효과적
* 근관세척의 목적 및 종류
1)세척작용 2)향균작용 3)상아질 탈회작용(도말층 제거) 4)조직의 융해작용
치아염소산나트륨 (2.5~5.25% NaOCl) - 향균, 치수잔사용해, 윤활, 표백, 도말층 제거(EDTA와 함께 사용시)
15~17% EDTA - 상아질 탈회작용
0.12~2%클로르헥시딘 - 살균작용
3%과산화수소
* 근관소독제의 구비조건
1) 표면장력이 낮아야 한다
2) 배지에서 비활성화될 수 있어야 한다
3) 면역반응을 유도하지 말아야 한다
* 근관소독제의 종류
1) 수산화칼슘 : 높은 pH와 강한 살균효과, 골형성의 잠재력을 가진다
2) 유지놀 : 향균작용, 진통효과
3) CMCP : 진균효과, 마취효과
4) FC : 살균효과, 향균작용
* 근관실러의 이상적인 성질
1) 경화시 수축하지 말아야 한다
2) 서서히 경화해야 한다
3) 방사선 불투과성이 있어야 한다
4) 용매에 녹아서 제거가 가능해야 한다
5) 구강 및 조직액에 용해되지 말아야 한다
6) 세균성장을 억제해야 한다
제 14장 외과적 근관치료
1. 절개와 배농 - 종창에 파동성이 생겼을 때 절개하여 배농시키는 술식
iodofrom gauza나 러버댐 조각으로 배농관을 삽입하여 절개부위가 막히지 않도록 배농
2. 치근단 절제술 - 근관치료의 여부를 떠나 치근단에 농이 생겼을 경우 염증조직과 치근단 부위 제거
3. 치근 절제술 - 근관치료 후에도 병소가 심하여 보존이 불가능한 치근을 외과적으로 절개
4. 편측절제술 - 보존이 불가능한 쪽의 치관과 치근을 모두 제거
5. 치근분리술
6. 치아재식술
* 외과적 근관치료 후 주의사항
1) 냉찜질 (첫날 매시간 최소 20분)
2) 수술부위를 제외하고 칫솔질을 한다
3) 봉합부위가 찢어지지 않도록 입술을 들추지 않는다
제 16장 치아미백
* 치아의 외인성 변색
1) 치태변색 4) Chlorhexidine등의 구강청결제
2) 시가, 파이프 등의 담배류 5) 마리화나
3) 커피, 차
* 치아의 내인성 변색
1) 테트라사이클린 6) 치수원인에 의한 변색- 외상 또는 괴사
2) 불소침착증 7) 근관치료 후의 변색
3) 전신질환성 8) 수복재에 의한 변색
4) 법랑질/ 상아질 형성부전증 9) 노화에 따른 변색
5) 백색반점 병소
* 미백제의 종류
1) 30%과산화수소 - 전문가
2) 과붕산나트륨 - 자가미백, 실활치 미백, 내부 미백술에 효과적
3) 과산화요소
근관 확대용
수동형- Remer, K-file, H-file
엔진구동형 - 게이츠글리든 버, 니켈티타늄
근관 충전용
근관 spreaedr(측방가압) 근관 plugger(수직가압)
* 근관형성의 수동기구
1) K-file ■
2) H-file ● - 삭제능력이 좋다. 파절되기 쉬워 중앙부1/3~ 치관부1/3 부위에 주로 사용
3) Reamer▲
* step-back 근관형성 방법
- 치근단 부위의 변형이 적으며 치관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원래의 치근형태를 유지하면서 근관을 형성
- 치근단 조직에 손상을 줄 가능성이 적다
- 근관 내부의 잔사제거에 효과적
* 근관세척의 목적 및 종류
1)세척작용 2)향균작용 3)상아질 탈회작용(도말층 제거) 4)조직의 융해작용
치아염소산나트륨 (2.5~5.25% NaOCl) - 향균, 치수잔사용해, 윤활, 표백, 도말층 제거(EDTA와 함께 사용시)
15~17% EDTA - 상아질 탈회작용
0.12~2%클로르헥시딘 - 살균작용
3%과산화수소
* 근관소독제의 구비조건
1) 표면장력이 낮아야 한다
2) 배지에서 비활성화될 수 있어야 한다
3) 면역반응을 유도하지 말아야 한다
* 근관소독제의 종류
1) 수산화칼슘 : 높은 pH와 강한 살균효과, 골형성의 잠재력을 가진다
2) 유지놀 : 향균작용, 진통효과
3) CMCP : 진균효과, 마취효과
4) FC : 살균효과, 향균작용
* 근관실러의 이상적인 성질
1) 경화시 수축하지 말아야 한다
2) 서서히 경화해야 한다
3) 방사선 불투과성이 있어야 한다
4) 용매에 녹아서 제거가 가능해야 한다
5) 구강 및 조직액에 용해되지 말아야 한다
6) 세균성장을 억제해야 한다
제 14장 외과적 근관치료
1. 절개와 배농 - 종창에 파동성이 생겼을 때 절개하여 배농시키는 술식
iodofrom gauza나 러버댐 조각으로 배농관을 삽입하여 절개부위가 막히지 않도록 배농
2. 치근단 절제술 - 근관치료의 여부를 떠나 치근단에 농이 생겼을 경우 염증조직과 치근단 부위 제거
3. 치근 절제술 - 근관치료 후에도 병소가 심하여 보존이 불가능한 치근을 외과적으로 절개
4. 편측절제술 - 보존이 불가능한 쪽의 치관과 치근을 모두 제거
5. 치근분리술
6. 치아재식술
* 외과적 근관치료 후 주의사항
1) 냉찜질 (첫날 매시간 최소 20분)
2) 수술부위를 제외하고 칫솔질을 한다
3) 봉합부위가 찢어지지 않도록 입술을 들추지 않는다
제 16장 치아미백
* 치아의 외인성 변색
1) 치태변색 4) Chlorhexidine등의 구강청결제
2) 시가, 파이프 등의 담배류 5) 마리화나
3) 커피, 차
* 치아의 내인성 변색
1) 테트라사이클린 6) 치수원인에 의한 변색- 외상 또는 괴사
2) 불소침착증 7) 근관치료 후의 변색
3) 전신질환성 8) 수복재에 의한 변색
4) 법랑질/ 상아질 형성부전증 9) 노화에 따른 변색
5) 백색반점 병소
* 미백제의 종류
1) 30%과산화수소 - 전문가
2) 과붕산나트륨 - 자가미백, 실활치 미백, 내부 미백술에 효과적
3) 과산화요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