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 <쌍생아>에서 나타나는 주요 특징
2. 본론
1) <쌍생아> 미장센의 특징
(1) 거울의 이미지
(2) 빈부에 따른 대비
(3) 점점 경계가 허물어지는 빈과 부
3. 결론
1) 미장센으로 드러나는 영화의 주제
1) <쌍생아>에서 나타나는 주요 특징
2. 본론
1) <쌍생아> 미장센의 특징
(1) 거울의 이미지
(2) 빈부에 따른 대비
(3) 점점 경계가 허물어지는 빈과 부
3. 결론
1) 미장센으로 드러나는 영화의 주제
본문내용
장면으로써 빈민을 그렇게도 싫어하고 혐오하던 유키오가 빈민층의 아이를 따라 빈민굴로 가면서 영화는 끝나게 된다. 그러면서 빈민굴로 걸어가는 유키오를 계속해서 초점을 맞췄다 맞추지 않았다 하며 반복하는 식으로 촬영하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를 통해 관객은 이 인물이 과연 유키오인지 스테키치인지 의문이 들면서도 둘의 모습이 겹쳐보이는 듯한 잔상의 느낌을 받게 되어 둘 사이의 경계가 아예 무너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미장센으로 드러나는 영화의 주제
지금까지 츠카모토 신야 감독의 영화 <쌍생아> 속 미장센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우리는 이야기 전개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알아본 미장센들을 통해 이 영화가 ‘상류층이든 빈민층이든 같은 사람이며 그 차이는 조그마할 뿐이다.’라는 주제를 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쌍생아>라는 영화는 기본적으로 ‘주제가 무엇이다’라고 전면적으로 내세우지 않는다. 그러면서도 미장센, 촬영, 분장, 편집, 사운드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장치들을 사용하여 영화의 후반쯤에 가면 자동적으로 관객이 주제를 느끼도록 만드는 ‘스타일’의 영화다. 하지만 이런 ‘스타일’에 충실한 영화라고 해서 내러티브적인 힘이 떨어지는 것도 아니다. 그런점에서 츠카모토 신야 감독의 영화 <쌍생아>는 영화를 배우는 사람에게 가히 교과서적인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이번 과제는 영화를 배우는 영화학도로써, 연출이 미장센을 통해 주제를 어떻게 나타내고 또 어떤식으로 적용시킬수 있는가를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우리는 이러한 좋은 점들을 차근차근 공부하며 자신의 영화에 적용시킬 수 있는 부분을 배워나가야 할 것이다.
-미장센으로 드러나는 영화의 주제
지금까지 츠카모토 신야 감독의 영화 <쌍생아> 속 미장센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우리는 이야기 전개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알아본 미장센들을 통해 이 영화가 ‘상류층이든 빈민층이든 같은 사람이며 그 차이는 조그마할 뿐이다.’라는 주제를 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쌍생아>라는 영화는 기본적으로 ‘주제가 무엇이다’라고 전면적으로 내세우지 않는다. 그러면서도 미장센, 촬영, 분장, 편집, 사운드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장치들을 사용하여 영화의 후반쯤에 가면 자동적으로 관객이 주제를 느끼도록 만드는 ‘스타일’의 영화다. 하지만 이런 ‘스타일’에 충실한 영화라고 해서 내러티브적인 힘이 떨어지는 것도 아니다. 그런점에서 츠카모토 신야 감독의 영화 <쌍생아>는 영화를 배우는 사람에게 가히 교과서적인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이번 과제는 영화를 배우는 영화학도로써, 연출이 미장센을 통해 주제를 어떻게 나타내고 또 어떤식으로 적용시킬수 있는가를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우리는 이러한 좋은 점들을 차근차근 공부하며 자신의 영화에 적용시킬 수 있는 부분을 배워나가야 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