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공간의 정의
2. 자본주의 사회에서 공간의 의미 : 대학가의 형성
Ⅱ. 본론
1. 한양대와 이화여대의 비교
2. 한양대와 이화여대의 대학가 비교
(1) 수치 비교
(2) 지하철 입구
(3) 가장 많은 가게
(4) 일반적 건물 구성
3. 한양대와 이화 여대 대학가 차이의 원인
(1) 남녀 성비의 차이
(2) 번화 정도의 차이
Ⅲ. 결론
1. 공간의 정의
2. 자본주의 사회에서 공간의 의미 : 대학가의 형성
Ⅱ. 본론
1. 한양대와 이화여대의 비교
2. 한양대와 이화여대의 대학가 비교
(1) 수치 비교
(2) 지하철 입구
(3) 가장 많은 가게
(4) 일반적 건물 구성
3. 한양대와 이화 여대 대학가 차이의 원인
(1) 남녀 성비의 차이
(2) 번화 정도의 차이
Ⅲ. 결론
본문내용
m, J. K.은 ‘경제의 자연화’라는 개념으로 신자유주의 문화논리를 설명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우리가 주류적 현상이라고 간주하는 현재의 전 지구적 자본주의 질서는 자본주의 사회 특유의 역사적 산물인데도, 마치 인류 사회에 내재하는 ‘자연적 현상’인 것처럼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고 한다. 남성들이 많이 모여있어서 PC방이 땅에서 솟아난 것이 아니고, 여성들이 많아서 자연스럽게 옷 가게가 하늘에서 떨어진 것이 아니고 수요가 있으니 공급이 발생한 자본주의의 원리라고 판단해야 한다는 것이다.
(2) 번화 정도의 차이
남성과 여성의 수요 차이로 인한 상권 형성의 차이는 공간의 번화 정도에도 영향을 미쳤다. 여성들이 좋아할만한 쇼핑 플레이스로 거듭난 이대 대학가는 이화 여대생 뿐만 아니라 근처 연대, 서강대 등의 여대생들도 자주 찾는 공간이 되었다. 예쁜 옷과 화장품, 네일샵에 대한 니즈(needs)는 20대 여대생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쇼핑 공간은 일본 관광객들이나 중국인 관광객들에게도 한국의 뷰티나 패션을 체험할 수 있는 좋은 공간이 되어서 관광지로도 발전하게 되었다. 즉, 자본주의 사회에서 소비 위주의 공간이 형성되면서 더 많은 사람들이 유입되고, 결과적으로 공간이 더 번화가로 발전하게 되었다.
하지만 소비재 위주가 아니라 술집이나 고깃집 같은 음식점 위주로 발달한 한양대의 상권은 이와는 다른 발전 양상을 보였다. 싼 고기집이나 술집은 꼭 한양대 근처로 오지 않아도 충족할 수 있는 니즈이다. 어느 대학가 근처에나 주머니 사정이 좋지 않는 대학생들을 위해 싼 고기집이나 술집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한양대 근처의 상점들은 한양대생들이 주 고객층이 되었고, 그 결과 이화여대와 같은 대표적 쇼핑 플레이스보다는 한양대 학생들이 주로 가는 음식점이 위주가 된 대학가가 발달하게 되었다.
Ⅲ. 결론
본론에서 자본주의와 공간 형성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공간이 구성되는 원리와 과정에 대해 설명해 보았다. 이를 통해 공간에 대한 정의를 다시 내리고, 공간에 대해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게 되었다.
칸트는 수학과 물리학을 사용해 공간을 객관화시키려 했었다. 하지만 우리가 살고 있는 공간은 단순하게 객관적이고 물리적인 공간이 아니라 생명체의 활동으로 채워질 때에 의미를 가지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우리가 물리적 공간을 차지하며 살고 있고 우리의 실천으로 그 공간을 메우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한다. 위의 내용에 따르면 지금 우리의 공간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자본주의이지만, 그러한 자본주의의 원리도 우리의 생각과 요구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라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물리적 공간에 사회적 의미를 부여하는 과정에서 자본주의의 원리와 공간을 구성하는 사람들의 생각 역시 반영 된다는 것을 알고, 공간의 구성 요소에 공간에 있는 우리 자신도 포함된다는 것을 자각할 필요가 있다. 그럴 때, 우리 주변의 장소는 우리의 생각을 반영한 진정한 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2) 번화 정도의 차이
남성과 여성의 수요 차이로 인한 상권 형성의 차이는 공간의 번화 정도에도 영향을 미쳤다. 여성들이 좋아할만한 쇼핑 플레이스로 거듭난 이대 대학가는 이화 여대생 뿐만 아니라 근처 연대, 서강대 등의 여대생들도 자주 찾는 공간이 되었다. 예쁜 옷과 화장품, 네일샵에 대한 니즈(needs)는 20대 여대생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쇼핑 공간은 일본 관광객들이나 중국인 관광객들에게도 한국의 뷰티나 패션을 체험할 수 있는 좋은 공간이 되어서 관광지로도 발전하게 되었다. 즉, 자본주의 사회에서 소비 위주의 공간이 형성되면서 더 많은 사람들이 유입되고, 결과적으로 공간이 더 번화가로 발전하게 되었다.
하지만 소비재 위주가 아니라 술집이나 고깃집 같은 음식점 위주로 발달한 한양대의 상권은 이와는 다른 발전 양상을 보였다. 싼 고기집이나 술집은 꼭 한양대 근처로 오지 않아도 충족할 수 있는 니즈이다. 어느 대학가 근처에나 주머니 사정이 좋지 않는 대학생들을 위해 싼 고기집이나 술집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한양대 근처의 상점들은 한양대생들이 주 고객층이 되었고, 그 결과 이화여대와 같은 대표적 쇼핑 플레이스보다는 한양대 학생들이 주로 가는 음식점이 위주가 된 대학가가 발달하게 되었다.
Ⅲ. 결론
본론에서 자본주의와 공간 형성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공간이 구성되는 원리와 과정에 대해 설명해 보았다. 이를 통해 공간에 대한 정의를 다시 내리고, 공간에 대해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게 되었다.
칸트는 수학과 물리학을 사용해 공간을 객관화시키려 했었다. 하지만 우리가 살고 있는 공간은 단순하게 객관적이고 물리적인 공간이 아니라 생명체의 활동으로 채워질 때에 의미를 가지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우리가 물리적 공간을 차지하며 살고 있고 우리의 실천으로 그 공간을 메우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한다. 위의 내용에 따르면 지금 우리의 공간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자본주의이지만, 그러한 자본주의의 원리도 우리의 생각과 요구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라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물리적 공간에 사회적 의미를 부여하는 과정에서 자본주의의 원리와 공간을 구성하는 사람들의 생각 역시 반영 된다는 것을 알고, 공간의 구성 요소에 공간에 있는 우리 자신도 포함된다는 것을 자각할 필요가 있다. 그럴 때, 우리 주변의 장소는 우리의 생각을 반영한 진정한 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집시법]집시법(집회및시위에관한법률)개정안의 주요내용과 현황, 집시법(집회및시위에관한법...
[언어문화A+] 미국드라마 프렌즈(FRIENDS) 드라마 대본을 중심으로 한 영어권 문화와 한국 문...
[공무원 노조] 공무원 노조의 필요성과 발전방안
한국 근대 도시주거건축 변천과정에 관한 고찰 - 주택유형의 변화를 중심으로
[서울지역개발역사]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이 개발되어온 역사를 조사하고 지역개발이득과 함께...
싱가포르 비교 행정
문화를 보는 문화적 상대주의와 자민족중심주의를 비교, 설명하고 자신의 견해를 서술.
고려시대 다각다층양식 석탑에 대한 고찰 (고구려 석탑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