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p.1
1. 주제의 필요성
Ⅱ. 본론 ---------------------------------------- p.1
1. 사구체신염 문헌고찰
2. 사례
3. 간호과정
Ⅲ. 결론 --------------------------------------- p.8
1. 느낀점
Ⅳ. 참고문헌 및 출처 ---------------------------- p.9
1. 주제의 필요성
Ⅱ. 본론 ---------------------------------------- p.1
1. 사구체신염 문헌고찰
2. 사례
3. 간호과정
Ⅲ. 결론 --------------------------------------- p.8
1. 느낀점
Ⅳ. 참고문헌 및 출처 ---------------------------- p.9
본문내용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간호수행
시간당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하였다.
섭취량
배설량
09 : 00
물 2컵, 아침 1/3
소변 0번, 대변 0번
21 : 00
물 2컵, 귤
소변 1변, 대변 1번
매일 같은 시간(AM8), 같은 옷을 입고 체중을 매일 측정하였다.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4시간에 한 번씩 측정하였다.
BP(mmHg)
BT(℃)
P( /min)
R( /min)
08 : 00
130/80
37.2
80
20
12 : 00
130/80
37.0
90
20
16 : 00
110/80
37.2
100
20
20 : 00
100/70
37.3
80
20
대상자의 피부상태를 사정하였다.
체액과다의 지표인 호흡장애를 사정하였다.
수분정체 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이뇨제(lasix)를 투여하였다.
침상에서 안정을 취하도록 하였다.
대상자의 보호자에게 투여되는 약물의 작용과 부작용에 대해 설명하였다.
대상자의 보호자에게 섭취량과 배설량 기록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하였다.
섭취량과 배설량에 따라 약물 투여를 결정하며 질병의 진행과정을 파악할 수 있다.
간호평가
대상자의 보호자는 1일 이내 섭취량과 배설량 기록의 중요성에 대해 1가지 이상 말하였다. (달성)
대상자는 2일 이내 체중 1kg이 감소하였다. (달성)
대상자는 퇴원시 까지 체중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다. (달성)
③ 식이요법과 관련된 지식부족
사정
주관적
“의사선생님이 되도록이면 음식을 조심하게 먹이라고 하시던데 도대체 뭘 먹여야 하는 건가요? 소변도 붉은 색이라 물을 많이 먹여야 하는 건가요?”
객관적
간호사에게 식이요법과 관련하여 질문함.
대상자는 처음으로 사구체신염을 앓음.
간호
목표
장기
대상자는 5일 이내 질병과 관련된 식이요법(저염식이, 저단백, 고칼로리)을 섭취할 것이다.
단기
보호자는 2일 이내 식이요법에 대해 3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보호자는 2일 이내 식이요법의 중요성에 대해 말할 수 있다.
간호계획
보호자의 사구체신염의 식이요법에 관련해 사전지식을 사정한다.
질병과 관련하여 소책자를 제공한다.
교육 후 식이요법에 대해 말해보도록 한다.
보호자에게 식이요법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보호자에게 저염식이를 섭취하도록 교육한다.
보호자에게 저단백식이를 섭취하도록 교육한다.
보호자에게 수분제한을 하도록 교육한다.
이론적 근거
사전지식을 확인함으로써 학습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체계적으로 교육할 수 있다.
교육 후 소책자를 가지고 있으면 교육사항을 잊어도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다.
귀로 듣는 것 보다는 입으로 직접 말할 경우 학습의 효과가 증가한다.
식이요법의 중요성을 알려줌으로써 간호와 치료에 적극적으로 참여시키기 위함이다.
염분을 많이 섭취할 경우 수분이 정체되어 부종이 점차 더 진행될 수 있다.
단백질을 분해할 때 질소가 생겨 BUN이 생성되는데 신장기능 저하로 BUN을 배설하지 못해 체내에 축적하게 된다. BUN이 상승함에 따라 신손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대상자는 부종이 있으며 소변이 제대로 배설되지 않는 상황에서 수분을 섭취할 경우 부종이 점차 진행되며 체내에 수분이 과도하게 축적되기 때문이다.
간호수행
보호자의 사구체신염의 식이요법에 관련해 사전지식을 사정하였다.
대상자는 사구체신염을 처음 앓았기 때문에 아무런 지식이 없었다.
질병과 관련하여 소책자를 제공하였다.
교육 후 식이요법에 대해 말해보도록 하였다.
보호자에게 식이요법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하였다.
보호자에게 저염식이를 섭취하도록 교육하였다.
보호자에게 저단백식이를 섭취하도록 교육하였다.
체중kg당 0.5∼0.7g을 기본으로 하여 하루에 30∼40g의 단백질이 허용됨.
고기, 생선, 두부, 계란 등 단백질이 많은 식품은 한 끼니당 1토막(40~60g)정도만 섭취한다.
단백질 제한으로 인한 열량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음식 요리시 올리브유, 들기름, 카놀라유 등의 기름과 설탕, 올리고당 등 당류를 충분히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보호자에게 수분제한을 하도록 교육하였다.
간호평가
보호자는 2일 이내 식이요법에 대해 3가지 이상 말하였다. (달성)
보호자는 2일 이내 식이요법의 중요성에 대해 말하였다. (달성)
대상자는 5일 이내 질병과 관련된 식이요법(저염식이, 저단백, 고칼로리)을 섭취하였다. (달성)
Ⅲ. 결론
신장은 사람들이 대부분 알고 있는 소변형성 뿐만 아니라 대사물질과 독성 물질의 배출, 수분과 전해질 조절 및 산염기 균형, 혈압조절, 조혈작용, 인, 칼슘조절, 인슐린 분해 및 배설을 담당하고 있다. 이처럼 신장은 몸의 전체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도 말할 수 있다. 그렇기에 신장에 문제가 생길 경우 몸 전체에 영향을 주어 삶에 영향을 끼쳐 삶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다.
이번 과제를 통해서 신장에 대해 좀 더 세심하게 학습하면서 신장이 얼마나 더 중요한지를 깨닫게 되었다. 또한, 강의를 들으면서 신장에 대해서 들을 때는 간호가 너무 비슷해서 헷갈리고 까먹고 했지만 이번 과제를 통해서 더 기억에 남을 수 있게 된 것 같다. 그리고 신장질환이 생겼을 때 저염식이, 저단백식이, 수분제한을 왜 하는지 모르고 지나갔던 반면 이번 과제를 하면서 저염식이, 저단백식이, 수분제한을 하는 이유를 알게 되었다.
Ⅳ. 참고문헌 및 출처
성인간호학 하권, 황옥남, 유양숙외 공저, 현문사, 2018.01.10., p.176-180
간호사를 위한 약리학, 김금순, 김경남외 공저, 수문사, 2018.09.10., p.279
- 네이버, 사구체신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692127&cid=60261&categoryId=60261
삼성서울병원, 사구체신염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0f263&CONT_SRC=CMS&CONT_ID=3094&CONT_CLS_CD=001020001006
서울아산병원, 식이요법
http://m.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mealtherapy/mealTherapyDetail.do?mtId=74
간호수행
시간당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하였다.
섭취량
배설량
09 : 00
물 2컵, 아침 1/3
소변 0번, 대변 0번
21 : 00
물 2컵, 귤
소변 1변, 대변 1번
매일 같은 시간(AM8), 같은 옷을 입고 체중을 매일 측정하였다.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4시간에 한 번씩 측정하였다.
BP(mmHg)
BT(℃)
P( /min)
R( /min)
08 : 00
130/80
37.2
80
20
12 : 00
130/80
37.0
90
20
16 : 00
110/80
37.2
100
20
20 : 00
100/70
37.3
80
20
대상자의 피부상태를 사정하였다.
체액과다의 지표인 호흡장애를 사정하였다.
수분정체 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이뇨제(lasix)를 투여하였다.
침상에서 안정을 취하도록 하였다.
대상자의 보호자에게 투여되는 약물의 작용과 부작용에 대해 설명하였다.
대상자의 보호자에게 섭취량과 배설량 기록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하였다.
섭취량과 배설량에 따라 약물 투여를 결정하며 질병의 진행과정을 파악할 수 있다.
간호평가
대상자의 보호자는 1일 이내 섭취량과 배설량 기록의 중요성에 대해 1가지 이상 말하였다. (달성)
대상자는 2일 이내 체중 1kg이 감소하였다. (달성)
대상자는 퇴원시 까지 체중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다. (달성)
③ 식이요법과 관련된 지식부족
사정
주관적
“의사선생님이 되도록이면 음식을 조심하게 먹이라고 하시던데 도대체 뭘 먹여야 하는 건가요? 소변도 붉은 색이라 물을 많이 먹여야 하는 건가요?”
객관적
간호사에게 식이요법과 관련하여 질문함.
대상자는 처음으로 사구체신염을 앓음.
간호
목표
장기
대상자는 5일 이내 질병과 관련된 식이요법(저염식이, 저단백, 고칼로리)을 섭취할 것이다.
단기
보호자는 2일 이내 식이요법에 대해 3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보호자는 2일 이내 식이요법의 중요성에 대해 말할 수 있다.
간호계획
보호자의 사구체신염의 식이요법에 관련해 사전지식을 사정한다.
질병과 관련하여 소책자를 제공한다.
교육 후 식이요법에 대해 말해보도록 한다.
보호자에게 식이요법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보호자에게 저염식이를 섭취하도록 교육한다.
보호자에게 저단백식이를 섭취하도록 교육한다.
보호자에게 수분제한을 하도록 교육한다.
이론적 근거
사전지식을 확인함으로써 학습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체계적으로 교육할 수 있다.
교육 후 소책자를 가지고 있으면 교육사항을 잊어도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다.
귀로 듣는 것 보다는 입으로 직접 말할 경우 학습의 효과가 증가한다.
식이요법의 중요성을 알려줌으로써 간호와 치료에 적극적으로 참여시키기 위함이다.
염분을 많이 섭취할 경우 수분이 정체되어 부종이 점차 더 진행될 수 있다.
단백질을 분해할 때 질소가 생겨 BUN이 생성되는데 신장기능 저하로 BUN을 배설하지 못해 체내에 축적하게 된다. BUN이 상승함에 따라 신손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대상자는 부종이 있으며 소변이 제대로 배설되지 않는 상황에서 수분을 섭취할 경우 부종이 점차 진행되며 체내에 수분이 과도하게 축적되기 때문이다.
간호수행
보호자의 사구체신염의 식이요법에 관련해 사전지식을 사정하였다.
대상자는 사구체신염을 처음 앓았기 때문에 아무런 지식이 없었다.
질병과 관련하여 소책자를 제공하였다.
교육 후 식이요법에 대해 말해보도록 하였다.
보호자에게 식이요법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하였다.
보호자에게 저염식이를 섭취하도록 교육하였다.
보호자에게 저단백식이를 섭취하도록 교육하였다.
체중kg당 0.5∼0.7g을 기본으로 하여 하루에 30∼40g의 단백질이 허용됨.
고기, 생선, 두부, 계란 등 단백질이 많은 식품은 한 끼니당 1토막(40~60g)정도만 섭취한다.
단백질 제한으로 인한 열량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음식 요리시 올리브유, 들기름, 카놀라유 등의 기름과 설탕, 올리고당 등 당류를 충분히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보호자에게 수분제한을 하도록 교육하였다.
간호평가
보호자는 2일 이내 식이요법에 대해 3가지 이상 말하였다. (달성)
보호자는 2일 이내 식이요법의 중요성에 대해 말하였다. (달성)
대상자는 5일 이내 질병과 관련된 식이요법(저염식이, 저단백, 고칼로리)을 섭취하였다. (달성)
Ⅲ. 결론
신장은 사람들이 대부분 알고 있는 소변형성 뿐만 아니라 대사물질과 독성 물질의 배출, 수분과 전해질 조절 및 산염기 균형, 혈압조절, 조혈작용, 인, 칼슘조절, 인슐린 분해 및 배설을 담당하고 있다. 이처럼 신장은 몸의 전체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도 말할 수 있다. 그렇기에 신장에 문제가 생길 경우 몸 전체에 영향을 주어 삶에 영향을 끼쳐 삶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다.
이번 과제를 통해서 신장에 대해 좀 더 세심하게 학습하면서 신장이 얼마나 더 중요한지를 깨닫게 되었다. 또한, 강의를 들으면서 신장에 대해서 들을 때는 간호가 너무 비슷해서 헷갈리고 까먹고 했지만 이번 과제를 통해서 더 기억에 남을 수 있게 된 것 같다. 그리고 신장질환이 생겼을 때 저염식이, 저단백식이, 수분제한을 왜 하는지 모르고 지나갔던 반면 이번 과제를 하면서 저염식이, 저단백식이, 수분제한을 하는 이유를 알게 되었다.
Ⅳ. 참고문헌 및 출처
성인간호학 하권, 황옥남, 유양숙외 공저, 현문사, 2018.01.10., p.176-180
간호사를 위한 약리학, 김금순, 김경남외 공저, 수문사, 2018.09.10., p.279
- 네이버, 사구체신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692127&cid=60261&categoryId=60261
삼성서울병원, 사구체신염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0f263&CONT_SRC=CMS&CONT_ID=3094&CONT_CLS_CD=001020001006
서울아산병원, 식이요법
http://m.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mealtherapy/mealTherapyDetail.do?mtId=74
키워드
추천자료
지주막하 출혈
신장장애와 간호
자연분만 간호과정 (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NSVD 분만실 케이스 case study
사지마비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진단명 - Paraplegia and Tetraplegia (대마비 & ...
심부전(HF) 케이스 스터디
간경화 케이스
유방암 케이스 스터디 A+ (특) # breast ca, cancer, 간호과정, 사례연구
성인간호학 실습 유두부암 케이스스터디 A+ 자료
신증후군 (Nephrotic syndrome) 간호과정(3개) 영아,유아 학습모듈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