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론
❖ 본론
<문헌고찰>
1. 사지마비의 정의
2. 원인
3. 증상
3. 진단
4. 치료
5 합병증
<간호사정>
(1) 일반정보
(2) 입원과 관련된 정보
(3) 현병력
(4) 신체검진
(5) 투약상태
<진단검사결과>
1)혈액검사
2)응급화학검사
3)혈액가스검사
<간호과정>
간호진단
#1. 바람직하지 못한 식습관과 관련된 장애
#2. 신경학적 손상과 관련된 신체기동성 장애
#3. 체위와 관련된 저혈압
#4. 질병과 관련된 우울증
❖ 결론
#참고문헌
❖ 본론
<문헌고찰>
1. 사지마비의 정의
2. 원인
3. 증상
3. 진단
4. 치료
5 합병증
<간호사정>
(1) 일반정보
(2) 입원과 관련된 정보
(3) 현병력
(4) 신체검진
(5) 투약상태
<진단검사결과>
1)혈액검사
2)응급화학검사
3)혈액가스검사
<간호과정>
간호진단
#1. 바람직하지 못한 식습관과 관련된 장애
#2. 신경학적 손상과 관련된 신체기동성 장애
#3. 체위와 관련된 저혈압
#4. 질병과 관련된 우울증
❖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쇄성 폐질환(COPD),울혈성 심부전으로 인한 산소화 부전, 고산지대에 거주하는 사람
감소: 다양한 경우의 빈혈,임신,중등도 혹은 지연된 출혈, 과도한 수분섭취시
Hct
41.0
42.9
41.4
(41~53)
증가: 다혈구혈증, 출혈, 탈수
감소: 빈혈, 다량의 급성출혈
PLT
235
218
211
(130~400)
증가: 다혈구혈증, 비장절제술
감소: 골수억제, 재생 불량성 빈혈,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검사명
3/12
3/26
4/2
정상치
임상적의의
Na(sodium)
141
139
141
(135.0~145.0)
Na는 세포외 주양이온으로 세포 외액의 삼투압을 조절한다.
저나트륨혈증: 탈수,전해질 상실(심한 발한, 설사, 화상, 비위장관 삽입), Addison질병, 이뇨제복용(mercurial, chlorothiazide), 만성 신부전증, 만성 사구체신염,굶주림, 당뇨병성 산독증, 간경화증, 울혈성 심부전증, 수분과잉섭취, 과다 정맥주입
고나트륨혈증: 수분섭취 부족, ADH부족으로 인한 수분 과다상실, 쿠싱증후군,원발성 알도스테론증
K(potassium)
4.0
4.1
3.9
(3.5~5.5)
고칼륨혈증: 신질환, 장폐색,외상,화상,저알도스테론증,spironolactone 이뇨제복용후, K배설저하
저칼륨혈증: K섭취저하, K배설상승,위장관 튜브, 장기간 흡인, 구토,중조 과잉투여,간경화증,쿠싱증후군, 호르몬 복위요법,굶주림,알도스테론증
BUN
11.1
10.9
9.0
(8~20)
증가: 고단백식이,탈수,단백이화작용,화상,장폐색,위장출혈,사구체신염,신우신염,전립선비대증,신결핵,신부전증,통풍,폐쇄성 비뇨기질환
저하: 저단백식이,간기능저하,간경화증,임신후반기
2)응급화학검사
3)혈액가스검사
검사명
3/5
정상치
PH.Blood
7.52
(7.35~7.45)
PO2.Blood
148
(83.0~108.0)
PCO2.Blood
24
(35.0~48.0)
HCO3.Blood
20
(21.0~28.0)
간호진단
#1. 바람직하지 못한 식습관과 관련된 장애
사정
주관적 자료 : “아침에는 밥맛이 없어요”
객관적 자료 : ①식사 하지 않은 밥상이 보호자 침상에 그대로 놓여있다.
②아침 식사를 거른 채 침상에 누워 TV 시청을 하고
있다.
목표
아침식사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거르지 않고 아침식사를 한다.
계획
① 아침식사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② 식사와 관련된 약복용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수행
① 아침식사의 중요성을 설명했다.
<*아침식사로 적당한 영양분을 공급하지 않으면 피로가 커져
활력이 저하 됨.
*활발한 뇌 활동을 위해 아침식사로 당분을 공급해서 뇌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원을 만드는 것이 좋음.>
② 식사와 관련된 약복용의 중요성에 대해서 설명했다.
평가
아침식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먹으려고 노력함.
<간호과정>
간호진단
#2. 신경학적 손상과 관련된 신체기동성 장애
사정
주관적 자료 : “운동시간이 많았으면 좋겠어요”
객관적 자료 : 모든 활동에 적극적인 자세를 보인다.
(head master로 컴퓨터를 함. 많은 활동을 요구함.)
목표
제한된 범위 내에서 일상생활 활동을 수행한다.
계획
① 활동 정도를 사정한다. (ASIA 참고)
② 능동적 수동적 관절운동을 권장한다.
③ 침상이동, 보행 시 지지해준다.
④ 필요시 보조기구를 사용한다. (휠체어 등)
⑤ 적극적으로 가능한 범위 내에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정서적으로 지지
해준다.
수행
① 활동정도를 사정했다.
② 능동적 수동적 관절 운동을 지켜보았다.
③ 침상이동, 보행 시 지지해 주었다. (필요시 보조기구를 사용.)
④ 적극적으로 가능한 범위 내에서 운동과 취미생활 (컴퓨터)을 할 수 있도록 정서적으로 지지했다.
평가
제한된 범위 내에서 적극 적으로 일상생활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간호진단
#3. 체위와 관련된 저혈압
사정
주관적 자료 : “어지러워요 뱅뱅 돌아요 ”
객관적 자료 : 07.04.13
시간
11AM
2PM
4PM
B.P
80/50
80/60
90/60
목표
어지러운 증상이 사라지고 혈압이 정상범위로 돌아온다.
계획
ⓛ B.P를 지속적으로 체크한다.
② 적절한 체위를 취하게 한다.
③ 의사처방 받은 저혈압 치료제를 간호사에 의해 투약 되는 것을
본다.
수행
① 지속적으로 B.P를 체크했다.
② 적절한 체위를 취하게 해주었다.
<침상 다리 부분을 올렸다.>
③ 의사처방 받은 저혈압 치료제를 간호사에 의해 투약 되는 것을
보았다.
평가
혈압이 정상범위로 돌아오고 어지러움에 대한 호소가 감소 됨.
간호진단
#4. 질병과 관련된 우울증
사정
주관적 자료 ; “...말 시키지 마” -엄마에게
객관적 자료 : ① 보호자에게 짜증이 심함.
② 심리상담을 통해 사회성이 부족하다는 검사결과가
나옴.
③ 의사에 의해 우울증 진단받음.
목표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다.
계획
① 자기 파괴적 생각으로부터 대상자를 지지한다.
② 적당한 휴식을 유지한다.
③ 활동과 재활치료의 참여를 증가시킨다.
④ 기분전환을 유도한다.
수행
① 자기 파괴적 생각으로부터 대상자를 지지했다.
② 적당한 휴식을 유지하도록 도왔다.
<*편안한 휴식을 위해 조용한 환경을 제공했다.>
③ 활동과 재활치료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권유했다.
④ 기분전환요법을 사용했다.
<대상자에게 칭찬과 격려를 하고 대화상대가 되어드렸다.>
평가
기분전환요법과 여러 가지 활동을 통하여 자기 파괴적인 생각이 줄어들어 긍정적 태도를 보임.
결론
이상의 사례보고서는 2007년 4월 9일부터 4월 20일까지 서울보훈병원 재활의학과 병동에서 실습하면서 관찰, 수행한 내용입니다. 저희들이 Case로 선택한 환자분은 M/21세의 전신마비 환자분으로 마비와 관련된 우울증, 저혈압, 올바르지 못한 식습관을 가지고 계셨습니다.
그로 인해, 기분전환을 위해 많은 대화를 하였습니다. 저희들의 간호가 환자분에게 조금이라도 도움 되었기를 바라며 본 사례 연구를 마칩니다.
#참고문헌
*네이버 - 백과사전
*http://www.nursediary.net/
*건강사정(정담미디어)
*극동정보대학 간호과 학회지 (2006. 겨울호)
*간호과정(전시자 외 다수 공저 - 2006. 3. 12)
감소: 다양한 경우의 빈혈,임신,중등도 혹은 지연된 출혈, 과도한 수분섭취시
Hct
41.0
42.9
41.4
(41~53)
증가: 다혈구혈증, 출혈, 탈수
감소: 빈혈, 다량의 급성출혈
PLT
235
218
211
(130~400)
증가: 다혈구혈증, 비장절제술
감소: 골수억제, 재생 불량성 빈혈,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검사명
3/12
3/26
4/2
정상치
임상적의의
Na(sodium)
141
139
141
(135.0~145.0)
Na는 세포외 주양이온으로 세포 외액의 삼투압을 조절한다.
저나트륨혈증: 탈수,전해질 상실(심한 발한, 설사, 화상, 비위장관 삽입), Addison질병, 이뇨제복용(mercurial, chlorothiazide), 만성 신부전증, 만성 사구체신염,굶주림, 당뇨병성 산독증, 간경화증, 울혈성 심부전증, 수분과잉섭취, 과다 정맥주입
고나트륨혈증: 수분섭취 부족, ADH부족으로 인한 수분 과다상실, 쿠싱증후군,원발성 알도스테론증
K(potassium)
4.0
4.1
3.9
(3.5~5.5)
고칼륨혈증: 신질환, 장폐색,외상,화상,저알도스테론증,spironolactone 이뇨제복용후, K배설저하
저칼륨혈증: K섭취저하, K배설상승,위장관 튜브, 장기간 흡인, 구토,중조 과잉투여,간경화증,쿠싱증후군, 호르몬 복위요법,굶주림,알도스테론증
BUN
11.1
10.9
9.0
(8~20)
증가: 고단백식이,탈수,단백이화작용,화상,장폐색,위장출혈,사구체신염,신우신염,전립선비대증,신결핵,신부전증,통풍,폐쇄성 비뇨기질환
저하: 저단백식이,간기능저하,간경화증,임신후반기
2)응급화학검사
3)혈액가스검사
검사명
3/5
정상치
PH.Blood
7.52
(7.35~7.45)
PO2.Blood
148
(83.0~108.0)
PCO2.Blood
24
(35.0~48.0)
HCO3.Blood
20
(21.0~28.0)
간호진단
#1. 바람직하지 못한 식습관과 관련된 장애
사정
주관적 자료 : “아침에는 밥맛이 없어요”
객관적 자료 : ①식사 하지 않은 밥상이 보호자 침상에 그대로 놓여있다.
②아침 식사를 거른 채 침상에 누워 TV 시청을 하고
있다.
목표
아침식사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거르지 않고 아침식사를 한다.
계획
① 아침식사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② 식사와 관련된 약복용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수행
① 아침식사의 중요성을 설명했다.
<*아침식사로 적당한 영양분을 공급하지 않으면 피로가 커져
활력이 저하 됨.
*활발한 뇌 활동을 위해 아침식사로 당분을 공급해서 뇌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원을 만드는 것이 좋음.>
② 식사와 관련된 약복용의 중요성에 대해서 설명했다.
평가
아침식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먹으려고 노력함.
<간호과정>
간호진단
#2. 신경학적 손상과 관련된 신체기동성 장애
사정
주관적 자료 : “운동시간이 많았으면 좋겠어요”
객관적 자료 : 모든 활동에 적극적인 자세를 보인다.
(head master로 컴퓨터를 함. 많은 활동을 요구함.)
목표
제한된 범위 내에서 일상생활 활동을 수행한다.
계획
① 활동 정도를 사정한다. (ASIA 참고)
② 능동적 수동적 관절운동을 권장한다.
③ 침상이동, 보행 시 지지해준다.
④ 필요시 보조기구를 사용한다. (휠체어 등)
⑤ 적극적으로 가능한 범위 내에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정서적으로 지지
해준다.
수행
① 활동정도를 사정했다.
② 능동적 수동적 관절 운동을 지켜보았다.
③ 침상이동, 보행 시 지지해 주었다. (필요시 보조기구를 사용.)
④ 적극적으로 가능한 범위 내에서 운동과 취미생활 (컴퓨터)을 할 수 있도록 정서적으로 지지했다.
평가
제한된 범위 내에서 적극 적으로 일상생활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간호진단
#3. 체위와 관련된 저혈압
사정
주관적 자료 : “어지러워요 뱅뱅 돌아요 ”
객관적 자료 : 07.04.13
시간
11AM
2PM
4PM
B.P
80/50
80/60
90/60
목표
어지러운 증상이 사라지고 혈압이 정상범위로 돌아온다.
계획
ⓛ B.P를 지속적으로 체크한다.
② 적절한 체위를 취하게 한다.
③ 의사처방 받은 저혈압 치료제를 간호사에 의해 투약 되는 것을
본다.
수행
① 지속적으로 B.P를 체크했다.
② 적절한 체위를 취하게 해주었다.
<침상 다리 부분을 올렸다.>
③ 의사처방 받은 저혈압 치료제를 간호사에 의해 투약 되는 것을
보았다.
평가
혈압이 정상범위로 돌아오고 어지러움에 대한 호소가 감소 됨.
간호진단
#4. 질병과 관련된 우울증
사정
주관적 자료 ; “...말 시키지 마” -엄마에게
객관적 자료 : ① 보호자에게 짜증이 심함.
② 심리상담을 통해 사회성이 부족하다는 검사결과가
나옴.
③ 의사에 의해 우울증 진단받음.
목표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다.
계획
① 자기 파괴적 생각으로부터 대상자를 지지한다.
② 적당한 휴식을 유지한다.
③ 활동과 재활치료의 참여를 증가시킨다.
④ 기분전환을 유도한다.
수행
① 자기 파괴적 생각으로부터 대상자를 지지했다.
② 적당한 휴식을 유지하도록 도왔다.
<*편안한 휴식을 위해 조용한 환경을 제공했다.>
③ 활동과 재활치료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권유했다.
④ 기분전환요법을 사용했다.
<대상자에게 칭찬과 격려를 하고 대화상대가 되어드렸다.>
평가
기분전환요법과 여러 가지 활동을 통하여 자기 파괴적인 생각이 줄어들어 긍정적 태도를 보임.
결론
이상의 사례보고서는 2007년 4월 9일부터 4월 20일까지 서울보훈병원 재활의학과 병동에서 실습하면서 관찰, 수행한 내용입니다. 저희들이 Case로 선택한 환자분은 M/21세의 전신마비 환자분으로 마비와 관련된 우울증, 저혈압, 올바르지 못한 식습관을 가지고 계셨습니다.
그로 인해, 기분전환을 위해 많은 대화를 하였습니다. 저희들의 간호가 환자분에게 조금이라도 도움 되었기를 바라며 본 사례 연구를 마칩니다.
#참고문헌
*네이버 - 백과사전
*http://www.nursediary.net/
*건강사정(정담미디어)
*극동정보대학 간호과 학회지 (2006. 겨울호)
*간호과정(전시자 외 다수 공저 - 2006. 3. 12)
추천자료
신경외과 중환자실 케이스-뇌동맥류,지주막하 출혈 대상자에 대한 사례보고
아동간호학 신생아실 케이스 스터디
소세포폐암 SCLCa 케이스 스터디&간호진단
산후조리원 스터디 케이스
저혈당 hypoglycemia 케이스 case
갑상선 암 케이스
파킨슨 병 케이스 스터디 (parkinson`s disease case study)
뇌경색 신경과 케이스
소아과 간질 케이스
응급실 컨퍼런스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SAH(지주막하 출혈), 복부팽만, 뇌졸중, 충수돌...
동맥경화증에 대한 케이스 case : 진단명 : ASO, both(arteriosclerosis obliterans, 폐색성 ...
[신경외과 케이스 스터디] 척추관협착증(spinal stenosis)
[성인 케이스 case study] 장폐색 (ileus) 사례보고서 - 진단명 : paralytic ileus, small bo...
요추간판탈출증 간호과정 케이스 스터디 A+ 받았어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