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韓信
(2) 莊周
(3) 曾子殺彘
(4) 爲無爲則無不治
(5) 和氏之璧
(6) 墦間之食
(7) 所用之異
(8) 苛政猛於虎
(9) 矛盾
(10) 狐假虎威
(11) 延烏郞細烏女
(12) 春夜喜雨
(13) 月下獨酌
(14) 將進酒
(15) 朋黨論
(2) 莊周
(3) 曾子殺彘
(4) 爲無爲則無不治
(5) 和氏之璧
(6) 墦間之食
(7) 所用之異
(8) 苛政猛於虎
(9) 矛盾
(10) 狐假虎威
(11) 延烏郞細烏女
(12) 春夜喜雨
(13) 月下獨酌
(14) 將進酒
(15) 朋黨論
본문내용
해치게 된다. 작당하는 사람이 형제 친적 일지라도 서로 몸을 보존할 수 없다. 고로 신이 말하는 소인은 붕당이 없고 그 잠시 붕당을 만드는 것은 거짓이라고 말한 것이다. 군자라면 그렇지 않다. 지키는 것이 도의이고 행하는 것이 충신이고, 아기는 것이 명예와 절개이다. 이것을 가지고 몸을 수양하면 서로 이익이 더해지고 그것을 가지고 나라를 섬기면서 마음을 같이 하며 함께 나라를 구제한다. 처음과 끝이 한결같아서 이것이 군자의 붕당이다. 고로 인군이 되는 자는 단지 소인의 거짓된 붕당을 물리치고 군자의 진정한 붕당을 사용하면 즉 천하가 잘 다스려질 것이다. 요임금 때, 소인 공공환투등 4명이 한 붕당을 이루었고, 군자 팔원팔개 16명이 한 붕당을 이루었다. 순이 요임금을 도와서 4개의 흉악한 소인의 붕당을 물리치고 또 원개 군자의 붕당을 천거하여 요의 천하가 크게 다스려졌다. 순임금에 이르러 스스로 천자가 되고 고기직설 등 22인 나란히 조정앞에 서고 바꾸어 서로 칭찬하고 찬미하고 번갈아 추천해주고 양보했다. 모두 22명이 하나의 붕당을 이루어서 순임금이 이를 등용하였더니 천하가 또 크게 다스려졌다.
붕당론 해제
朋 黨 論 (解題)
歐 陽 修
臣聞朋黨之說 自古有之 惟幸人君辨其君子小人而已 大凡君子與君子
以同道爲朋 小人與小人 以同利爲朋 此自然之理也.
(신문붕당지설 자고유지 유행인군변기군자소인이이 대범군자여군자 이동도위붕 소인여소인 이동리위붕 차자연지리야.)
“신이 듣자온 바에 의하면 붕당의 설은 옛날부터 있었던 것입니다. 오직 임금 된 자가 그 군자와 소인을 분별할 수만 있다면 진실로 다행스러운 일인 것입니다.”
무릇 군자들 사이에는 道, 즉 主義(주의) 같음으로 무리를 이루고, 소인과 소인은 이익을 같이 함으로 무리를 이룹니다. 이것은 자연적인 이치입니다.
註釋
①朋黨(붕당) 당파
②辨(변) 분별하는 것
③論語 里人篇에, “君子喩於義 小人喩於利”(“군자유어의 소인유어이”) “군자는 의에 밝고 소인은 이에 밝다.”
然臣謂 小人無朋 惟君子則有之 其故何哉 小人所好者 祿利也 所貪者 財貨也 當其同利之時 暫相黨引 以爲朋者爲也 及其見利而爭先 或利盡而交疎 甚者反相賊害 雖其兄弟親戚 不能相保 故臣謂小人無朋 其暫爲朋者僞也.
(연신위 소인무붕 유군자칙유지 기고하재 소인소호자 녹리야 소탐자 재화야 당기동리지시 잠상당인 이위붕자위야 급기견리이쟁선 혹리진이교소 심자반상적해 수기형제친척 불능상보 고신위소인무붕 기잠위붕자위야.)
“그렇지만 신의 생각으로는 소인은 붕당이 없고 군자만이 붕당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 까닭은 무엇이겠습니까? 소인이 좋아하는 바는 녹리이며 탐하는 바는 재화입니다. 그 이익을 같이할 때를 당하여 잠시 서로 당인하여 벗이 되는 것은 거짓입니다. 그 利를 보기에 이르러서는 앞을 다투며, 혹 이가 다하면 사귐이 성기어지고 심한 사람은 도리어 서로 적해하여, 비록 형제 친척이라도 능히 서로 보전하지 못합니다. 그러므로 신은 “소인은 벗이 없으며, 잠시 벗이 되는 것은 거짓이다.”라고 말합니다.
註釋 (이 章은 歐陽修의 小人의 朋黨에 대한 說明)
①黨引(당인) 자기 편으로 이끄는 것
②交疎(교소) 사귐이 성기어지는 것
③賊害(적해) 상대방을 해치는 것
④祿利(녹리) 관리의 지위에 수반되는 녹봉 등의 수입
첫 구절은(“그러나 신은 소인은 벗이 없고 오직 군자만이 벗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뜻
君子則不然 所守者道義 所行者忠信 所惜者名節 以之修身 則同道而相益 以之事國
則同心而共濟 終始如一 此君子之朋也 故爲人君者 但當退小人之爲朋 用君子之眞朋 則天下治矣
(군자칙불연 소수자도의 소행자충신 소석자명절 이지수신 칙동도이상익 이지사국
칙동심이공제 종시여일 차군자지붕야 고위인군자 단당퇴소인지위붕 용군자지진붕 칙천하치의)
군자는 그렇지 않습니다. 지키는 바는 도의요, 행하는 것은 충신이요, 아끼는 바는 명절입니다. 이것으로써 몸을 닦으면 곧 도를 함께하여 서로 이익되고, 이것으로써 나라를 섬기면 곧 마음을 같이하고 함께 구제하여 처음과 끝이 한결같습니다. 이것이 군자의 벗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임금 된 자가 마땅히 소인의 위붕을 물리치고 군자의 진붕을 쓴다면 천하는 잘 다스려질 것입니다.
그러므로 임금된 자가 마땅히 소인의 위붕을 물리치고 군자의 진붕을 쓴다면 천하는 잘 다스려질 것입니다.
註釋 (이 章은 歐陽修의 朋黨論의 結論)
①忠信(충신) 진실하고 믿음이 있는 것
②名節(명절) 명예와 절조
③僞朋(위붕) 거짓 붕당
堯之時 小人共工驩兜等四人 爲一朋 君子八元八愷十六人 爲一朋 舜佐堯 退四凶小人之朋 而進元愷君子之朋 堯之天下大治 及舜自爲天子 而皐稷契等二十二人 列于朝 更相稱美 更相推讓 凡二十二人 爲一朋 而舜皆用之 天下亦大治
(요지시 소인공공환두등사인 위일붕 군자팔원팔개십육인 위일붕 순좌요 퇴사흉소인지붕 이진원개군자지붕 요지천하대치 급순자위천자 이고기직계등이십이인 병열우조 갱상칭미 갱상추양 범이십이인 위일붕 이순개용지 천하역대치)
요임금 때 소인인 공공, 환두 등 네 사람이 한 붕당이 되고, 군자인 8원, 8개 16인이 한 붕당이 되었습니다. 순이 요를 보좌하여 사흉소인의 붕당을 물리치고 원, 개 등 군자의 붕당을 인진하여, 요의 천하가 크게 다스려졌습니다. 순이 스스로 천자가 되기에 이르러 고요, 기, 직, 설 등의 22인이 아울러 조정에 열거해 있어, 더욱 서로 아름다움을 칭찬하고 더욱 서로 추양했습니다. 무릇 22인이 한 붕당이 되고, 순이 모두 기용했는데 천하가 또한 크게 다스려졌습니다.
註釋 (이 章은 역사적 사실에 근거한 그 진실성을 증명)
①八元(팔원) 伯奮, 仲堪, 叔獻, 季仲, 伯虎, 仲熊, 叔豹, 季狸의 여덟 사람
②八愷(팔개) 蒼舒, , 禱, 大臨, 尨降, 庭堅, 仲容, 叔達의 여덟 사람
③사흉(사흉) 共工, 驩兜, 三苗, 등의 네 소인
尙書 舜傳에 “공공을 유주에 귀양보내고, 환두를 숭산에 추방하고, 삼묘를 삼위에서 죽이고, 곤을 우산에사 죽였으니 사흉을 벌함으로써 천하가 모두 복종했다.”
④皐夔稷契(고기직설) (고는 고요로 형법관장, 기는 음악을 맡고, 직은 후직으로 농업을 관장하고, 설은 교육을 맡았다.)
붕당론 해제
朋 黨 論 (解題)
歐 陽 修
臣聞朋黨之說 自古有之 惟幸人君辨其君子小人而已 大凡君子與君子
以同道爲朋 小人與小人 以同利爲朋 此自然之理也.
(신문붕당지설 자고유지 유행인군변기군자소인이이 대범군자여군자 이동도위붕 소인여소인 이동리위붕 차자연지리야.)
“신이 듣자온 바에 의하면 붕당의 설은 옛날부터 있었던 것입니다. 오직 임금 된 자가 그 군자와 소인을 분별할 수만 있다면 진실로 다행스러운 일인 것입니다.”
무릇 군자들 사이에는 道, 즉 主義(주의) 같음으로 무리를 이루고, 소인과 소인은 이익을 같이 함으로 무리를 이룹니다. 이것은 자연적인 이치입니다.
註釋
①朋黨(붕당) 당파
②辨(변) 분별하는 것
③論語 里人篇에, “君子喩於義 小人喩於利”(“군자유어의 소인유어이”) “군자는 의에 밝고 소인은 이에 밝다.”
然臣謂 小人無朋 惟君子則有之 其故何哉 小人所好者 祿利也 所貪者 財貨也 當其同利之時 暫相黨引 以爲朋者爲也 及其見利而爭先 或利盡而交疎 甚者反相賊害 雖其兄弟親戚 不能相保 故臣謂小人無朋 其暫爲朋者僞也.
(연신위 소인무붕 유군자칙유지 기고하재 소인소호자 녹리야 소탐자 재화야 당기동리지시 잠상당인 이위붕자위야 급기견리이쟁선 혹리진이교소 심자반상적해 수기형제친척 불능상보 고신위소인무붕 기잠위붕자위야.)
“그렇지만 신의 생각으로는 소인은 붕당이 없고 군자만이 붕당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 까닭은 무엇이겠습니까? 소인이 좋아하는 바는 녹리이며 탐하는 바는 재화입니다. 그 이익을 같이할 때를 당하여 잠시 서로 당인하여 벗이 되는 것은 거짓입니다. 그 利를 보기에 이르러서는 앞을 다투며, 혹 이가 다하면 사귐이 성기어지고 심한 사람은 도리어 서로 적해하여, 비록 형제 친척이라도 능히 서로 보전하지 못합니다. 그러므로 신은 “소인은 벗이 없으며, 잠시 벗이 되는 것은 거짓이다.”라고 말합니다.
註釋 (이 章은 歐陽修의 小人의 朋黨에 대한 說明)
①黨引(당인) 자기 편으로 이끄는 것
②交疎(교소) 사귐이 성기어지는 것
③賊害(적해) 상대방을 해치는 것
④祿利(녹리) 관리의 지위에 수반되는 녹봉 등의 수입
첫 구절은(“그러나 신은 소인은 벗이 없고 오직 군자만이 벗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뜻
君子則不然 所守者道義 所行者忠信 所惜者名節 以之修身 則同道而相益 以之事國
則同心而共濟 終始如一 此君子之朋也 故爲人君者 但當退小人之爲朋 用君子之眞朋 則天下治矣
(군자칙불연 소수자도의 소행자충신 소석자명절 이지수신 칙동도이상익 이지사국
칙동심이공제 종시여일 차군자지붕야 고위인군자 단당퇴소인지위붕 용군자지진붕 칙천하치의)
군자는 그렇지 않습니다. 지키는 바는 도의요, 행하는 것은 충신이요, 아끼는 바는 명절입니다. 이것으로써 몸을 닦으면 곧 도를 함께하여 서로 이익되고, 이것으로써 나라를 섬기면 곧 마음을 같이하고 함께 구제하여 처음과 끝이 한결같습니다. 이것이 군자의 벗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임금 된 자가 마땅히 소인의 위붕을 물리치고 군자의 진붕을 쓴다면 천하는 잘 다스려질 것입니다.
그러므로 임금된 자가 마땅히 소인의 위붕을 물리치고 군자의 진붕을 쓴다면 천하는 잘 다스려질 것입니다.
註釋 (이 章은 歐陽修의 朋黨論의 結論)
①忠信(충신) 진실하고 믿음이 있는 것
②名節(명절) 명예와 절조
③僞朋(위붕) 거짓 붕당
堯之時 小人共工驩兜等四人 爲一朋 君子八元八愷十六人 爲一朋 舜佐堯 退四凶小人之朋 而進元愷君子之朋 堯之天下大治 及舜自爲天子 而皐稷契等二十二人 列于朝 更相稱美 更相推讓 凡二十二人 爲一朋 而舜皆用之 天下亦大治
(요지시 소인공공환두등사인 위일붕 군자팔원팔개십육인 위일붕 순좌요 퇴사흉소인지붕 이진원개군자지붕 요지천하대치 급순자위천자 이고기직계등이십이인 병열우조 갱상칭미 갱상추양 범이십이인 위일붕 이순개용지 천하역대치)
요임금 때 소인인 공공, 환두 등 네 사람이 한 붕당이 되고, 군자인 8원, 8개 16인이 한 붕당이 되었습니다. 순이 요를 보좌하여 사흉소인의 붕당을 물리치고 원, 개 등 군자의 붕당을 인진하여, 요의 천하가 크게 다스려졌습니다. 순이 스스로 천자가 되기에 이르러 고요, 기, 직, 설 등의 22인이 아울러 조정에 열거해 있어, 더욱 서로 아름다움을 칭찬하고 더욱 서로 추양했습니다. 무릇 22인이 한 붕당이 되고, 순이 모두 기용했는데 천하가 또한 크게 다스려졌습니다.
註釋 (이 章은 역사적 사실에 근거한 그 진실성을 증명)
①八元(팔원) 伯奮, 仲堪, 叔獻, 季仲, 伯虎, 仲熊, 叔豹, 季狸의 여덟 사람
②八愷(팔개) 蒼舒, , 禱, 大臨, 尨降, 庭堅, 仲容, 叔達의 여덟 사람
③사흉(사흉) 共工, 驩兜, 三苗, 등의 네 소인
尙書 舜傳에 “공공을 유주에 귀양보내고, 환두를 숭산에 추방하고, 삼묘를 삼위에서 죽이고, 곤을 우산에사 죽였으니 사흉을 벌함으로써 천하가 모두 복종했다.”
④皐夔稷契(고기직설) (고는 고요로 형법관장, 기는 음악을 맡고, 직은 후직으로 농업을 관장하고, 설은 교육을 맡았다.)
추천자료
중국의 언어
중국과 일본, 양국의 숙박산업 발전과 그에 따른 한국의 향후 대책
중국 명승지
중국의 초강력무기 희토류,희토류분석,중국 희토류,희토류수출제한, 수출제한의 가설 및 검증
한국타이어 중국진출
락&락 (LOCK & LOCK) (락&락 기업분석, 마케팅 분석, 성공전략사례, SWOT 분석, ...
(중국문화산책 공통) 중국에서 남방과 북방을 구분하는 기준에 대해 설명하고, 남방과 북방 ...
세상읽기와논술 4) 미세먼지문제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대하여
[방통대 중어중문학과 3학년 중국공연예술 A형] 교재 제14장과 제15장의 내용을 토대로 하여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