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고성능 콘크리트의 물성 – 고유동화 콘크리트
개요
고유동화 콘크리트의 정의 및 개념
고유동화 콘크리트의 개발
고유동화 콘크리트의 분류 및 적용방안
고성능 콘크리트의 사례
고유동화 콘크리트의 문제점
정리
개요
고유동화 콘크리트의 정의 및 개념
고유동화 콘크리트의 개발
고유동화 콘크리트의 분류 및 적용방안
고성능 콘크리트의 사례
고유동화 콘크리트의 문제점
정리
본문내용
거의 실제시공 단계에 와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고유동화 콘크리트는 제조상 및 시공상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고유동화 콘크리트를 실용화해 나가는데 있어서는 사전에 이 문제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
그림8. 콘크리트 문제점 요소
제조상의 문제점
고유동화 콘크리트는 요구성능을 얻기 위하여 특수 혼화제를 사용해야 하고 또한 약간의 성분 변화에도 성능이 크게 바뀌기 때문에 사용재료에 대한 엄격한 품질기준이 필요하다. 특히 모래속에 포함되어 있는 표면수의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엄격한 품질관리에 따른 재료의 수급이 매우 까다롭고 이에 따른 관리비의 상승으로 출하단가가 비싸다는 심각한 문제점 때문에 시공업체와 발주자 측에서는 꺼려하는 경향이 있다.
시공상의 유의사항
고유동화 콘크리트는 장시간의 운반이나 펌프압송에 의해서도 유동성이 변화한다. 그 변화는 경화 후의 콘크리트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현 단계에서는 아직 시공 실적도 적고 반입시의 품질기준이나 현장에서의 재유동화 대책등이 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실제 구조물의 시공에서는 유동성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작업원이나 작업설비를 확보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정리
고성능 콘크리트는 고강도, 고유동성 및 고내구성의 3가지 특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콘크리트이다. 특히나, 고유동성의 성질을 가진 고유동화 콘크리트에 대하여 물성(재료의 본성)과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 사례들을 조사하도록 하였다. 이 고유동화 콘크리트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 상태에서의 재료분리저항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유동성을 현저히 개선한 콘크리트라 정의 되며 특히, 고유동화 콘크리트는 다짐이 필요 없다는 강한 특성이 있다. 그래서 1990년대 말 혹은 2000년대 초반부터 계속해서 고유동화 콘크리트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연구하며 시공을 할려고 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장점이 있으면 단점이 있기 마련이다. 단점이라 함은 제조상의 출하단가가 비싸지는 경향, 펌프압송시, 콘크리트 타설시, 표면 마감시 등으로 유의하여야 하며, 유동화의 성격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공사에 사용하여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이들 분야로 되어있는 재료, 배합설계, 제조 및 시공을 포함한 품질관리의 확립도 필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고로, 앞으로도 더욱 발전할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고성능 콘크리트제이지만 최대한 단점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안도 필요 할 것 이다.
감사합니다.
그림8. 콘크리트 문제점 요소
제조상의 문제점
고유동화 콘크리트는 요구성능을 얻기 위하여 특수 혼화제를 사용해야 하고 또한 약간의 성분 변화에도 성능이 크게 바뀌기 때문에 사용재료에 대한 엄격한 품질기준이 필요하다. 특히 모래속에 포함되어 있는 표면수의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엄격한 품질관리에 따른 재료의 수급이 매우 까다롭고 이에 따른 관리비의 상승으로 출하단가가 비싸다는 심각한 문제점 때문에 시공업체와 발주자 측에서는 꺼려하는 경향이 있다.
시공상의 유의사항
고유동화 콘크리트는 장시간의 운반이나 펌프압송에 의해서도 유동성이 변화한다. 그 변화는 경화 후의 콘크리트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현 단계에서는 아직 시공 실적도 적고 반입시의 품질기준이나 현장에서의 재유동화 대책등이 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실제 구조물의 시공에서는 유동성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작업원이나 작업설비를 확보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정리
고성능 콘크리트는 고강도, 고유동성 및 고내구성의 3가지 특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콘크리트이다. 특히나, 고유동성의 성질을 가진 고유동화 콘크리트에 대하여 물성(재료의 본성)과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 사례들을 조사하도록 하였다. 이 고유동화 콘크리트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 상태에서의 재료분리저항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유동성을 현저히 개선한 콘크리트라 정의 되며 특히, 고유동화 콘크리트는 다짐이 필요 없다는 강한 특성이 있다. 그래서 1990년대 말 혹은 2000년대 초반부터 계속해서 고유동화 콘크리트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연구하며 시공을 할려고 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장점이 있으면 단점이 있기 마련이다. 단점이라 함은 제조상의 출하단가가 비싸지는 경향, 펌프압송시, 콘크리트 타설시, 표면 마감시 등으로 유의하여야 하며, 유동화의 성격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공사에 사용하여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이들 분야로 되어있는 재료, 배합설계, 제조 및 시공을 포함한 품질관리의 확립도 필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고로, 앞으로도 더욱 발전할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고성능 콘크리트제이지만 최대한 단점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안도 필요 할 것 이다.
감사합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