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cherichia coli(E.coli)와 Bacillus subtillis의 그람염색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Escherichia coli(E.coli)와 Bacillus subtillis의 그람염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1. 실험배경
1.2. 실험 원리
1.3. 실험 목적

Ⅱ. 본론
2.1 재료 및 기구
2.1.1 strain
2.1.2 준비물
2.2 실험 방법
2.2.1 Escherichia coli 염색
2.2.2 Bacillus subtilis 염색

Ⅲ. 결과 및 고찰
3.1. 실험 결과
3.2. 고찰
3.2.1. 이론적 고찰
3.2.2. 실험적 고찰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감염이 의심되는 부위에서 채취한 검체에서 미생물, 특히 세균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그럼 염색은 검체에 존재할 수도 있는 세균의 색과 모양등 일반적 형태에 대해 비교적 빠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6]. 예를 들어, 소변이나 목구멍의 시료를 그람 염색해서 감염의 가능성이 높은 원인균을 정확히 찾아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고, 어떤 경우에는 염색 결과에 기초하여 약물치료를 시작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그람 염색법은 미생물을 동정하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균주를 염색함으로써 세포의 형태와 구조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생화학적 검사와 효소 특성, 면역학적 반응, 약제 감수성과 유전적 조성 등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미생물의 유형을 최종적으로 동정할 수 있다.
Ⅴ. 참고문헌
[1] Gram Staining : Principle, Procedure, Interpretation and Animation, laboratorylnfo,
https://laboratoryinfo.com/gram-staining-principle-procedure-interpretation-and-animation/
[2] Gram-negative bacteria, Naver Knowledge Encyclopedia,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144715&cid=61232&categoryId=61232
[3] Gram-positive bacteria, Naver Knowledge Encyclopedia,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144703&cid=61232&categoryId=61232
[4] Escherichia coli, Naver Knowledge Encyclopedia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144995&cid=61232&categoryId=61232
[5] Bacillus subtilis, Naver Knowledge Encyclopedia,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03272&cid=61232&categoryId=61232
[6] Gram staining, The Korean society for Laboratory Medicine, https://labtestsonline.kr/tests/gramstain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1.04.16
  • 저작시기2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82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