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Title
2. Object
3. Principle & Theory
4. Apparatus & Reagents, Procedure
5. Result
6. Discussion & Feeling
7. Reference
2. Object
3. Principle & Theory
4. Apparatus & Reagents, Procedure
5. Result
6. Discussion & Feeling
7. Reference
본문내용
는데, 저지환의 크기가 Ampicillin이 Tetracycline보다 큰 것을 봐서는 항생물질의 효과는 Ampicillin이 더 강한 항생물질인 것 같다. 그런데 두 번째 Ampicillin을 넣은 Escherichia coli 와 Tetracycline을 넣은 Escherichia coli 을 보면 Ampicillin을 투여한 배지에는 저지환이 형성되지 않았는데(가운데 구멍은 over-ray시에 제대로 도포가 안된 부위라 추정된다.) Tetracycline을 넣은 배지는 저지환이 형성이 되었다. Escherichia coli 이 그람음성균 이라는 것을 염두 해두면 Ampicillin은 그람양성균에는 효과적이나 그람음성균에는 효과가 없고, Tetracycline은 Ampicillin에 비해 효과는 작으나 그람양성균 뿐만 아니라 그람음성균에도 작용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 말은 Tetracycline이 Ampicillin에 비해 항생력을 나타낼수 있는 균의 범위가 더 넓다는 것이다. Ampicillin은 페니실린 계열이라 세포벽에 작용을 할 것이다. 그런데 그람양성균은 펩티도글리칸층이 두터워 항생물질의 영향을 많이 받을 것이나, 그람음성균은 펩티도글리칸층이 별로 두텁지 않아 항생물질의 영향을 작게 볼 것이라 생각된다. 물론 세포벽에 작용한다고 β-락탐계 항생물질이 그람음성균을 못 죽이지는 않을 것이다. 대신 3세대 세파로스포린계열 처럼 높은 세대의 항생물질을 써야 할 것이다. 그리고 Tetracycline같은 경우는 리보솜의 밑단부분 (30s)에 작용해서 단백질 합성을 저해하는 항생제라 그람음성균이던 양성균이던 상관없이 살균효과를 나타 낸 것 같다. Ampicillin을 넣은 Enterococcus faecalis 와 Tetracycline을 넣은 Enterococcus faecalis 는 실험결과가 이상하게 나왔다. 콜로니도 저렇게 듬성듬성 난데다가 Enterococcus faecalis 의 콜로니 치고는 너무 컷던 것 같다. 그리고 Enterococcus faecalis 는 그람양성구균인데 위 사진처럼 Ampicillin을 주입한 디스크 주변에 붙어 있는 것도 보인다. 이 점을 보면 Escherichia coli를 잘못 접종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도 들기도 한다. 왜냐하면 Tetracycline을 주입한 디스크 주변에는 세균이 관찰이 안 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또 그렇게 볼 수 없는게 너무 듬성듬성하게 콜로니가 형성되는 바람에 지금 저 배지에 자라는게 Escherichia coli인지 아니면 Enterococcus faecalis인지 그저 우연히 Tetracycline을 주입한 디스크주변에는 안자라는지 알 수가 없다. 콜로니 모양은 Escherichia coli가 맞는 것 같다. 순수배양 때 콜로니의 외형을 관찰한 적이 있기 때문이다. 내 예상으로는 우리가 stock에 있는 균을 따서 micro tube에 희석하는 과정에서 Enterococcus faecalis stock을 이용한 것이 아니라 Escherichia coli stock을 이용해 희석용액을 만든 것 같다. stock에는 문제가 없었다. 우리랑 같은 stock을 사용했던 옆 조에서는 실험결과에 이상이 없었기 때문이다. 아니면 우리조가 Ampicillin을 희석할 때 희석하려고 증류수를 넣어둔 micro tube안에 Ampicillin을 까먹고 안 넣은 경우도 생각 해볼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저 Ampicillin을 주입했다고 표기되있는 배지에 자라고 있는 세균은 Escherichia coli가 아니면 Bacillus subtilis 아니면 Enterococcus faecalis이어도 이 결과가 잘 못 된 것이 설명이 된다. 당장 그람염색을 해볼수 있응 상황도 아니라 내 예상이 맞는 지는 모르겠지만, 내 생각에는 항생제 희석에서 잘못된 것이 있는 게 제일 유력한 이유인 것 같다. 이번 실험으로 느꼈지만 용액의 희석같이 간단한 일이라도 긴장을 하고 한번 더 확인을 해주면서 꼼꼼하게 실험에 임해야 할 것 이다.
7. Reference
1. 서적
Madigan 외3명, 「Brock의 미생물학 12판」, PEARSON, p.795
항미생물제의 역가 측정 및 항미생물제가 생장에 미치는 영향
2. 인터넷
- http://100.naver.com/ 2012년 5월 28일 참고, 항생제의 정의 및 용어
- http://www.wikipedia.org/ 2012년 5월 28일 참고, 항생제의 종류 및 용어
7. Reference
1. 서적
Madigan 외3명, 「Brock의 미생물학 12판」, PEARSON, p.795
항미생물제의 역가 측정 및 항미생물제가 생장에 미치는 영향
2. 인터넷
- http://100.naver.com/ 2012년 5월 28일 참고, 항생제의 정의 및 용어
- http://www.wikipedia.org/ 2012년 5월 28일 참고, 항생제의 종류 및 용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