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육방법 중 가장 좋은 교육방법은 무엇인지 작성하기
2. 학벌사회 개선방안은?
3. 교육기회 형성성 제고는?
4. 참고자료
2. 학벌사회 개선방안은?
3. 교육기회 형성성 제고는?
4. 참고자료
본문내용
다는 점이다. 사교육이 교육에 있어서 큰 효과를 가지고 있다면, 교육을 통한 저소득층의 아이들에게는 고득점과 계층 상승이 어렵다는 이야기가 된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사교육이 아이들의 교육면에서 그렇게 큰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그렇지만 큰 효과가 없다고 하더라도 그 효과가 불분명한 상태에서는 할 수 있는 계층과 없는 계층의 사이에서의 갈등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 그리고 이렇게 되면,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공교육에서 찾을 수밖에 없다. 최근 미국에서 출판되었던, ‘How Children Succeed’에서는 어떻게 해야 소득계층 간 학력격자를 줄일 수 있을지에 대해서 광범위한 연구결과를 책으로 엮어서 다루고 있다. 이 책의 주요한 내용은 학업성취도에서 IQ 와 같이 수치로 측정되는 인지능력보다는 인내, 끈기, 호기심과 같은 측정되지 않는 비인지적 성격의 요소들이 더 중요하며, 이런 성격의 강점들은 사춘기를 지난 이후에도 학습이 가능하다고 한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학교와 교사들이 지금과는 다른 새로운 차원에서 학생들의 성격에 관심을 쏟고 교육하는 것을 촉구하고 있다. 대부분의 아이들에게 성격적 강점을 얻는 것은 학습에 도움이 돌 것이고, 그 중에서도 결손가정, 한 부모가정 등 열악한 환경에 있는 아이들의 학습에는 더 큰 도움과 효과가 있을 것이다. 모든 사교육을 나라에서 제제하거나 막을 수는 없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교와 교사, 공교육에서 더욱 아이들이 이러한 교육의 차별성을 가져 꿈을 져버리고, 희망을 잃기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일반 고등학교와 특성화 고등학교의 사이에서도 교육의 차등이 생기지 않도록 같은 교과과정을 따라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일부 예체능 계열의 교육에서는 아직까지 어쩔 수 없지만 기본적인 교육에 대해서는 공평하게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최근 나라에서도 이러한 제도를 폐지하기 위해서 특성화 고등학교를 통합하는 정책을 세우면서 형평성 있는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4. 참고문헌
한국경제, 학벌주의 극복대책 배경과 내용. 강의영. 2004.04.06
대학저널, 학벌만능주의 언제까지 이어질까, 김보람. 2016.03.02
한국사회 학벌의 형성과정과 교육적 영향 (Formation process of Hakbul and its educational influences in Korea), 정광식. 위논문(박사) -- 한국교원대학교. 2007
4. 참고문헌
한국경제, 학벌주의 극복대책 배경과 내용. 강의영. 2004.04.06
대학저널, 학벌만능주의 언제까지 이어질까, 김보람. 2016.03.02
한국사회 학벌의 형성과정과 교육적 영향 (Formation process of Hakbul and its educational influences in Korea), 정광식. 위논문(박사) -- 한국교원대학교. 200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