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실학사상과 민족종교 유적의 의미
본문내용
유문화의 선과 무적인 특성이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신화적 시기에서부터 한국민족 스스로를 신인, 즉 선으로 그 정체성을 확인해 온 것이다. 민영현. (2014). 「한국민족종교사상의 선(仙)개념과 그 철학적 인간학에 관한 연구」. 도교문화연구, 40(), 250-256.
이렇듯 민족종교들에는 바람직한 한국인에 대한 상상력과 인간 중심의 사고방식이라는 가치가 녹아있다.
덧붙여서 민족종교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실학 종교라고도 부를만한 요소들이 있다. 종교학자인 류병덕은 원불교 사상을 실학적 관점에서 읽어내고자 하였는데, 그는 이러한 실천철학의 맥이 정약용으로부터 이어지고 있음을 주장했다. 신광철. (2018). 「여산 류병덕 박사의 종교관」. 한국종교, 44(), 40-42.
그는 유실되어 버린 다산의 실학사상을 민족종교라는 징검다리를 통해 그 맥을 발견할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그것은 다산실학이 조선 후기의 역사적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고 있었으며 당시 민중 종교 운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심력 역할을 했다는 사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민중이 중심이 되어 실천과 개혁이라는 가치를 중심으로 사회의 쌓인 폐단을 일신해간다는 민족종교의 전형이 현실에서 실패로 끝난 실학의 도전을 다시 한번 시도해보고 있다고 본 것이다. 손장권. (2008). 「민족종교의 지혜와 천도교」.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 472-473.
일부에서는 그저 종교적 계보와 맥락에서만 평가되어 오던 민족종교의 유적지들은 이와 같은 가치와 사상을 발견할 수 있고 또 보존하고 있는 중요한 문화유산이 되는 셈이다.
이렇듯 민족종교들에는 바람직한 한국인에 대한 상상력과 인간 중심의 사고방식이라는 가치가 녹아있다.
덧붙여서 민족종교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실학 종교라고도 부를만한 요소들이 있다. 종교학자인 류병덕은 원불교 사상을 실학적 관점에서 읽어내고자 하였는데, 그는 이러한 실천철학의 맥이 정약용으로부터 이어지고 있음을 주장했다. 신광철. (2018). 「여산 류병덕 박사의 종교관」. 한국종교, 44(), 40-42.
그는 유실되어 버린 다산의 실학사상을 민족종교라는 징검다리를 통해 그 맥을 발견할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그것은 다산실학이 조선 후기의 역사적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고 있었으며 당시 민중 종교 운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심력 역할을 했다는 사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민중이 중심이 되어 실천과 개혁이라는 가치를 중심으로 사회의 쌓인 폐단을 일신해간다는 민족종교의 전형이 현실에서 실패로 끝난 실학의 도전을 다시 한번 시도해보고 있다고 본 것이다. 손장권. (2008). 「민족종교의 지혜와 천도교」.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 472-473.
일부에서는 그저 종교적 계보와 맥락에서만 평가되어 오던 민족종교의 유적지들은 이와 같은 가치와 사상을 발견할 수 있고 또 보존하고 있는 중요한 문화유산이 되는 셈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