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윤리와 바람직한 시민 윤리에 대하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통 윤리와 바람직한 시민 윤리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한국의 시민윤리교육의 발전과정

Ⅲ. 학교에서의 시민윤리교육의 현황 - 전통사상과 관련하여

Ⅳ. 시민윤리교육의 내용으로서의 한국 전통사상

Ⅴ.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르러도 마찬가지이다. '민주사회와 인간 존중'에서 교학되고 있는 '인간존중의 의미' '인간존중 실천' 등도 전통적 가치체계 속에서 찾아지고 현대사회와 조화되었어야 했다. '민주적 태도와 생활양식'은 물론이고 '복지사회와 경제윤리'에 있어서도 1학년에서 교학된 전통적 가치로서의 절약과 검소의 윤리가 강조되고 공동선, 공동번영, 전통적인 구휼정책 등이 현대사회에 적용될 수 교재내용으로 편제되었다면 '한국인'의 실천 도덕성을 강화하는 데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2. 고등학교의 경우
김호성, '전통사상과 민주시민교육', 『정치문화와 민주시민교육』(전득주외 공저, 1999) .pp. 122-126.
전국 고등학교와 이에 준하는 학교에서는 1996년부터 제6차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윤리과〉의 교육목표는 "한국인으로서 올바른 삶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윤리적 체계와 이념적 시각을 길러…"주는 데 두고 있다.
'한국윤리 사상의 연원'으로서 중학교 도덕과에서와 마찬가지로 정령숭배, 경천사상 및 애인사상의 원천으로서 원시신앙과 단군사상을 예로 들고 있으며 단군사상을 구체적으로 인본주의, 천인합일사상, 조화정신, 홍익인간사상, 사회복지적 의미, 사회정의, 평화관을 집중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한국윤리사상의 전개'에서는 유·불·도의 한국적 전개과정을 소개하고 '한국윤리사상이 현대적 의의'에서는 "전통적으로 소중히 여겨 오던 윤리규범들이 무시되면서 우리가 풀어야 할 많은 문제들이 나타났다"는 전제하에 그 해결 방안도 "우리의 전통윤리에서 찾아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본 단원에서는 우리가 계승해야 할 전통 윤리로서 첫째, 인간존중사상, 둘째, 조화정신, 셋째, 인간관계의 다양성 인정, 넷째, 생명과 자연을 소중히 여기는 생각, 다섯째, 욕심과 욕망의 절제사상을 꼽고 이를 "적극적으로 계승, 발전시키는 것은 우리가 앞으로 실천해야 할 또 하나의 과제"라고 결론내리고 있다.
이는 앞에서 분석한 중학교 1학년 도덕과에서 살핀 시민윤리와 전통도덕의 조화를 모색하는 연장선상에서 볼 때 타당한 논의라 볼 수 있다.
"…전통이란 때로는 수정되어야 할 내용도 있지만, 대체로 오랜기간 동안에 인간의 지혜가 축적되고 연마되어 이루어진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전통이 후대에 전달되지 못하고 사람들은 삶의 기준을 제대로 마련하지 못하여 혼란에 빠지게 되었다"고 전제하고 전통윤리와 서구적 시민윤리 사이의 불균형이 나타나고 있는 우리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전통적인 불교의 和諍論이나 유교의 理通氣局論을 시사하고 있다.
Ⅳ. 시민윤리교육의 내용으로서의 한국 전통사상
한국의 전통사상에 대한 여러 가지 입장들이 있을 것이다. 우리는 현재의 시민윤리교육에 도움이 되는 우리의 전통사상을 찾아내어 교육과정 속에 더 많이 포함시켜야 한다. 위에서 분석한 교과서 내용들에는 우리가 우리 후손들에게 가르쳐야 할 내용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여기에 조금더 보태고자 한다.
김호성은 우리가 통일에 대비하는 민족공동체의식으로서 전통사상과 시민교육을 생각하는 데 있어서 가장 먼저 3교 및 자유민주주의의 내포와 외연을 고려하고 있다. 김호성은 아래와 같이 주장한다.
(1) 민간신앙과 민주주의 : 弘益人間, 大乘的 價値
(2) 유교와 민주주의 : 政者正也, 政以正民, 修己以安人, 矩之道, 大同思想
(3) 불교와 민주주의 : 護國思想, 一切萬物悉有佛性
(4) 도교와 민주주의 : 不諍之德과 非戰思想, 자연과의 조화
(5) 이외의 신흥종교(천도교, 원불교, 증산교)와 민주주의 : 人乃天, 法身佛一圓相, 人尊思想
(6) 전래 종교(기독교, 천주교)와 민주주의에 대한 연구 검토와 교육내용이 고려되어야 한다.
또 김호성은 민주주의 발전과 연계시킬 수 있는 한국 전통적인 개혁사상을 대략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 있다.
(1) 조선조 500년이 지탱될 수 있었던 것은 유교적 민주주의관의 가치+지속적인 개혁에 있었다.
(2) 전통적인 개혁사상 : 天·地·人 合一, 弘益人間
(3) 실학사상과 개혁 : 靜庵, 栗谷 및 芝峯, 磻溪, 星湖, 燕岩, 楚亭의 실용주의와 茶山, 惠崗 등의 개혁사상
(4) 동학과 개혁사상 : 인내천 사상, 보국안민, 廣濟蒼生과 開闢
(5) 각 종교적 개혁사상 : 주자학적 민족주의(儒敎), 불교유신론(佛敎), 천화(天和)·地和·人和의 조화론(道敎)
(6) 민주화운동과 개혁 : 공화정운동, 4월 혁명
위의 김호성의 주장에 우리는 귀를 기울여 볼만하다. 그리고 한국 국민윤리학회에서 우리 민족정신의 9가지 요체
교육부, 『고등학교 윤리 교사용 지도서』,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97). pp 400-409.
로 발표한 경천사상, 조화정신, 생명존중 사상, 평화애호 정신, 선비 정신, 장인정신, 공동체 의식, 경로효친 사상, 풍류정신 등을 교육과정 속에 더 많이 포함시키는 방안에 대한 연구를 계속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Ⅴ. 결론 및 제언
시민윤리교육은 우리 사회의 독특한 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새로운 변화를 받아들일 수 있는 도덕을 확립하는 쪽으로 나아가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우리 사회의 시민윤리는 서구의 시민윤리의 장점을 받아들이는 가운데 우리의 전통도덕이나 시대정신과의 조화 속에서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한다. 위에서 논의된 것과 같이 도덕과의 내용 속에는 이미 많은 내용의 우리의 전통사상이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몇가지 아쉬운 부분이 있었다. 이를 더 많은 전통사상으로 보충해서 다음 세대에게 전해주어야 한다. 우리의 전통사상 속에는 현재의 한국이 처한 상황에 해답을 줄 수 있는 조상들의 지혜가 있다. 이것을 가르침으로써 한국의 상황에 적합한 바람직한 "시민"을 길러낼 수 있다. 이러한 한국적 "시민"의 자질은 현재 나온 여러 연구성과물들을 종합하여야 한다. 교과서를 만드는 분들의 열정이 이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한국에서 시민교육은 해방후 50년 동안 정권이 바뀔 때마다 많은 변화를 겪어왔다. 이제 우리 사회는 많이 민주화되어 70년대와 80년대 같은 정권은 다시 없을 것이다. 이렇게 변한 한국의 사회 상황에서 우리는 전통사상에서 민주적인 요소를 찾아내어 한국적인 상황에 맞는 시민윤리교육을 실시해야 한다.Y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5.08.31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13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