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자 성윤리와 교육의 방향성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목회자 성윤리와 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목회자의 성
1. 신학적 분석
2. 심리적 요인
3. 사회・문화적 요인
4. 윤리적 성찰

Ⅲ. 목회자 성문제의 실태와 원인
1. 목회자 성폭력의 실태
2. 목회자 성적 탈선의 원인
3. 목회자의 성문제와 그 원인들

Ⅳ. 목회자 성윤리 교육 현황

Ⅴ. 성적인 문제에 대한 목회자의 회복과 예방
1. 성적인 문제에 빠진 목회자들을 위한 회복
2. 목회자의 성적 타락의 예방
3. 성적으로 타락했던 목회자의 목회 복귀

Ⅵ.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본문내용

려할 만큼 세속화되어 버렸다. 세상은 더 이상 교회를 향해 희망을 발견하지 못하고 교회는 세상에서 빛과 소금의 역할을 제대로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 한때 경제성장에 맞물려 교회도 급격하게 성장했지만 이제는 오히려 성도수가 줄어들고 교세도 위태로울 정도로 타종교에 밀리고 있는 추세다. 설상가상으로 목회자들의 성 추행과 성 중독, 성 범죄 등으로 사회적 무리가 발생하고 그로 인해 안티기독교인들이 속출하고 있어 한국의 많은 교회들이 몸살을 앓고 있다. 교회의 세속화로 인해 그리스도인의 거룩한 삶은 사라져 버렸고 세상에 아무런 영향력을 끼치지 못한 채 교회에는 온갖 인간적인 제도만이 남게 되었다. 이런 한국교회의 암울한 상황과 사회의 지탄을 받게 된 배후에는 목회자의 잘못된 윤리의식이 가장 큰 문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목회자의 윤리적 문제는 솔직히 어제 오늘의 이야기가 아니지만 이제는 그 어떤 힘으로도 제어되고 통제되지 않는다는 게 더 큰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한국교회 목회자의 윤리적 문제를 바로잡고 참다운 목회자 상을 되찾아 가는 작업은 미래 한국교회의 존재여부가 달린 중요한 사안이라 여겨진다.
교회내 성폭력이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쉬쉬하며, 마치 일어나지 않는 것처럼 무마하고, 성폭력 행위자를 다른 교회로 옮기는 정도의 미온적인 처리는 더 이상 교회 내 성폭력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 우리는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어진 귀한 사람이지만, 누구나 죄를 지을 수 있는 한계를 가진 사람이라는 것을 인정하고, 이 문제를 꺼내어 논의하고,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 피해자를 치유하고, 가해자를 징계하고 또한 회복할 수 있게 길을 열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목회자들의 성윤리 의식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신학교에서도 성윤리에 대한 과목을 통해 목회현장에서 벌어질 수 있는 성문제에 대해 다각적인 방법으로 교육되고 예방법에 대해서 이해 할 수 있도록 과목화 해야 한다. 이러한 의식적인 개혁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법적인 장치가 꼭 필요하므로 교단에서는 교회내 성폭력 특별법을 제정하고, 특별위원회를 조직하여, 시급한 교회내 성폭력 현안을 해결해 나가야 한다.
1. 목회자 개인이 할 일
1) 목회자 자신도 유혹에 빠질 수 있는 존재라는 것을 인식하고 대처해야 한다. 홀로 심방을 하거나 밀폐된 공간에서 상담하는 것은 삼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목회자는 무엇보다도 자신의 배우자와의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특히 성적인 욕구가 부부관계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처리될 수 있어야 한다.
3) 성적인 문제와 관련한 어려움이 생겼을 때 믿고 의논하고 처리할 수 있는 자원(예를 들어 선배 목회자나 전문 상담가)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4) 목회자의 성적 비행은 목회자의 권력남용에서 비롯된 범죄라는 사실을 직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2. 교회/교단이 할 일
1) 교회는 성폭력 피해자의 권익을 옹호하는 교회법을 제정하여야 한다.
2) 교회법에 성폭력의 범죄규정과 성폭력 가해자를 처벌하거나 상담 치료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3) 각 교단은 성폭력예방지침서를 만들고, 교회와 신학교에서 이를 가르쳐야 한다.
4) 각 교단은 성윤리를 위한 목회자 자체 정화기구를 설치 운영하여야 한다.
5) 교회는 교회 내에서 행해지는 모든 성폭력의 진상을 규명하고 성폭력을 근절하는데 힘을 써야 한다.
6) 교회는 성에 대한 바른 신학적 입장을 정립하고 교회가 이를 실행하도록 힘써야 한다.
참고 문헌
Foster, Richard J. Money Sex & Power, 김영호 역, 『돈 섹스 권력』 서울: 두란노, 2012.
유희동, 『목회와 성』,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1.
H.B. 런던 & 닐 와이즈먼 저, 이길상 역, 『목회자가 목회자에게』 생명의 말씀사, 1997.
Wagner, E. Glen, and Glen S. Marten, Your Paster's Heart, 진웅희 역, 『목사의 심장』, 서울: 규장문화사, 2001.
Wells, David F, Losing Our Virtue, 윤석인 역, 『윤리 실종』 서울: 부흥과개혁사, 2007.
고든 맥도날드 저, 박가영 역, 『무너진 세계를 재건하라』 하늘사다리, 1995.
김두식, 『교회속의 세상 세상속의 교회』 서울: 홍성사, 2010.
리차드 엑슬러, 마크 갈리, 존 오트버그 공저, 장미숙 역, 『유혹을 이기는 목회자』 은성, 1995.
박성자, “교회 내 성폭력의 실태와 대책” 기윤실: 목회자 성윤리포럼 자료집. 2012
백광현, “한국교회 목회자 윤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위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대학원, 2013.
브루스 윌킨슨 저, 정인홍 역, 『유혹의 시대를 거룩하게 사는 그리스도인의 비결: 거룩 vs 유혹』, 도서출판 디모데, 1998.
아키발트 하트 외 공저, 김진우 역, 『목회 상담, 어떻게 할 것인가?』 횃불. 1995
어위 루쩌 저, 유재성 역, 『목사가 목사에게』 나침반사, 1989.
왕대일, 『목회자의 실패, 목회자의 성공: 구약성서에서 배우는 오늘의 목회』,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0.
윤성우, “목회자의 사명과 윤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제신학대학교 대학원, 2009.
이원희 외 7인 공저, 『성희롱 예방에서 대처까지』 한국 생산성 본부, 1999
임형규, “현대의 존경받는 목회자상에 대한 연구: 목회윤리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2007.
제자원, 『옥스포드 원어성경대전』서울: 바이블넷, 2006.
최윤식, “이상적인 목회자의 윤리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
팀 라헤이 저, 황승균 역, 『목회자가 타락하면』 생명의 샘, 1992
홍인종, 『목회자와 사모가 겪는 갈등, 무엇이 문제인가?』 목회와 신학. 1999년 5월호
, “목회자: 성적인 유혹, 타락 그리고 회복”. 목회와 신학. 2010년 11월호
, “목회자의 치유와 예방의 관점에서” 기윤실: 목회자 성윤리포럼 자료집. 2012
, "교회안의 성적 문제, 어떻게 할 것인가?" 신앙과 문화. 2000년 7월호
  • 가격3,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7.04.04
  • 저작시기201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30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