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뇌성마비 개념
2. 뇌성마비 발생원인
3. 뇌성마비 주요증상
4. 동반되는 증상
5. 뇌성마비 진단
6. 뇌성마비 예후
7. 뇌성마비 예방법
8. 뇌성마비 간호사정
9. 뇌성마비 치료법
(1) 수술 치료
(2) 비수술 치료
<참고자료>
2. 뇌성마비 발생원인
3. 뇌성마비 주요증상
4. 동반되는 증상
5. 뇌성마비 진단
6. 뇌성마비 예후
7. 뇌성마비 예방법
8. 뇌성마비 간호사정
9. 뇌성마비 치료법
(1) 수술 치료
(2) 비수술 치료
<참고자료>
본문내용
이러한 노력은 의심할 여지없이 많은 아동이 뇌성마비가 되는 것으로 예방 할 수 있다. 그러나 신생아 중환자 관리같은 프로그램은 매우 저체중아의 생명은 구해 날 수 있지만 불행하게도 이들중 상당 수는 뇌성마비라는 합병증을 갖게 한다.
8. 뇌성마비 간호사정
(1) 운동발달 지연 및 장애
뇌성마비 대상자는 성장할수록 모든 운동수행능력이 지연.
한쪽 손만 사용하거나 편마비가 있는 경우 비대칭적으로 기어다님.
강직성 뇌성마비의 경우 발끝으로 서거나 불수의적 운동 나타남.
무정위성일 경우 얼굴 찡그리기, 혀손가락발가락 등이 뒤틀리고, 잘 빨지 못하거나 혀를 내밀어 수유의 어려움이 따르는 등의 비정상적인 운동이 증가.
(2) 근긴장도와 자세 및 반사장애
수동운동 시 근 저항이 증가 혹은 감소. 반궁긴장 자세가 나타남.
복와위를 취하면 팔다리를 굴곡시키거나 몸통 아래로 끌어 당겨 둔부를 몸통보다 더 높게 유지
앙와위에서는 다리를 가위 모양으로 교차하거나 쭉 뻗으며 발바닥을 구부림
강직성 뇌성마비의 경우 팔은 어깨 쪽으로 외전 되고 구부리고 있으며 주먹을 쥔 자세
영아기에 있는 원시반사가 지속되거나 항진.
(3) 동반 장애
1) 의사소통장애
청각장애, 발음 발성기관의 운동장애, 중추성 언어장애, 인지능력의 결함.
2) 감각 및 지각장애
시각장애 : 사시가 약 20~60%를 차지. 내사시>외사시. 20~50%에서 굴절 이상. 안구진탕증, 약시, 시신경 위축, 백내장
청력장애 : 핵황달 때문에 80%정도 청력장애 있음.
감각장애 : 입체인지, 두점판별 능력, 위치 및 진동각, 통각, 온각의 순서로 감각장애 나타남
3) 간질발작
약 10% 환자에서 간질 발생.
편마비의 67%, 사지마비의 56%, 양하지 마비의 31%, 운동장애에서 27%.
→ 학습장애, 낙상의 위험, 뇌손상
4) 지능 및 학습장애
지능장애는 운동발달과 장애적응을 더 느리게 하고 운동능력과 상관없이 독립생활을 제한.
과잉운동, 주의력 산만, 감정 조절장애 등으로 학습장애 나타남. 무정위형이나 양측성 마비에서는 나타나지 않음. 실독증이 학습능력 저하시키는 가장 큰 원인.
5) 정서장애
대상자의 장애에 대한 인식과 민감성 및 정신능력과 관련. 대부분 과잉 정서상태
6) 가성연수형 마비
구강인두 기능장애, 심한 침흘림, 발성장애.
호흡근육의 조절이 잘 안 되어 중증 뇌성마비인 경우는 호흡기계 질환으로 수명이 단축될 수 있음.
7) 충치
부적절한 치아관리, 선천성 에나멜질 결핍, 고탄수화물 식이, 구강 내 음식 정체, 부적절한 영양섭취, 불소결핍, 입다물기 어려움, 지속적 침흘리기 등으로 충치 발생률 높음
9. 뇌성마비 치료법
(1) 수술치료
1) 신경외과적 수술
근육의 경직성을 감소시켜 주기 위해 시행하는 수술이다. 여러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머리, 척수, 말초신경 등에 대한 수술이 포함된다. 이중 가장 흔히 사용되는 수술은 척수 신경의 뿌리를 절제하는 수술로서 신경을 뿌리를 절제함으로 근육의 경직을 풀기 위한 것이다.
2) 정형외과적 수술
뇌의 이상으로 균형을 잡지 못할 때 경직된 근육을 수술적으로 치료함으로써 환자의 사지운동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보통 근육 및 인대를 수술하는데 근육이 굳는 것과 짧아지는 것을 교정하기 위해 인대 절단술이나 인대 연장술, 혹은 근육 절개술이나 근막 연장술 등과 같은 수술을 한다. 또 관절이 굳거나 위축되는 것에 대해 수술할 수도 있는데, 관절을 싸고 있는 캡슐을 절개하거나 골의 일부를 잘라낸다던지 하는 수술을 할 수 있다.
수술적 치료는 보통 4~6세에 하게 되는데 보존적 요법, 즉 재활치료로써 증상이 좋아지지 않을 때 조기 수술 치료가 도움을 줄 수도 있다.
수술 후에는 수술 후 수주 내지 수개월 간 석고 고정치료를 하고 물리치료나 작업치료를 실시하고, 보장구를 착용시켜야 한다. 그러므로 수술 여부를 결정할 때에는 지능지수를 고려한다. 일반적으로 지능 지수(I.Q.)와 운동지수 (M.Q.)의 합이 130이상 되지 않으면 수술의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렵다.
(2) 비수술 치료
1) 약물치료
경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2-10%의 페놀을 사용하여 국소적으로 신경 다발이나 근육내 신경분지 의 기능을 차단시켜 국소적인 경직의 경감을 얻는다. 그 외 최근에는 근육에 보툴리늄 독소를 주사하여 겅직의 경감을 얻기도 한다. 보톡스는 근신경접합부에 있는 신경말단부의 신경전절에서 아세틸콜린의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신경에서 근육으로의 신경전달을 차단하여 근육의 약화나 마비를 일으키게 된다. 1973년부터 근육의 경련에 사용되었으며 주로 안과영역의 사시나 blepharospasm에 사용되었다. 뇌성마비의 경직에도 효과를 보이는데 주사후 약3일후부터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지속기간은 3개월에서 길게는 6개월 까지이다. 시술방법은 EMG monitoring상 에서 주사바늘을 삽입하고 주사바늘 끝에 달린 전극을 통하여 경직이 있는 근육을 가려내어 주사하는 것이다. 페놀주사법에 비해서는 통증이 적을 뿐만아니라 장기간의 근육약화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짧을 시간내에 반복주사 할 경우에는 항체가생겨서 약효가 없어지는등 부작용이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하여야 한다.
2) 언어치료
뇌성마비 아동들은 최소한 의식적인 운동능력 향상을 위한 물리치료, 앉은 자세, 균형, 팔의 움직임과 물건 잡기 등의 훈련을 위한 작업치료가 요구되기 때문에 언어치료사를 찾아오기 전에 물리치료와 작업치료를 많이 받았을 것이다.
언어치료는 언어발달정도를 측정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발성과 발어를 위한 신체적 이상의 유무, 구어산출 메커니즘의 형태와 기능, 섭식패턴, 발성, 조음, 유창성 등등에 대한 면밀한 검사와 평가를 통하여, 정확한 조음능력과 언어발달 습득을 위한 체계화된 언어치료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심한 뇌성마비나 알아들을 수 있는 구어의 습득이 전혀 불가능한 기타 운동장애인 경우는 제스처나 의사소통판과 같은 것을 이용한 비구두언어 의사소통 체계를 훈련받아야 한다.
<참고자료>
정보인, 뇌성마비 영유아 바로 키우기
정재권.오명화, 뇌성마비아 작업치료의 이해와 실제
삼육재활원, 뇌성마비아 치료교육.
8. 뇌성마비 간호사정
(1) 운동발달 지연 및 장애
뇌성마비 대상자는 성장할수록 모든 운동수행능력이 지연.
한쪽 손만 사용하거나 편마비가 있는 경우 비대칭적으로 기어다님.
강직성 뇌성마비의 경우 발끝으로 서거나 불수의적 운동 나타남.
무정위성일 경우 얼굴 찡그리기, 혀손가락발가락 등이 뒤틀리고, 잘 빨지 못하거나 혀를 내밀어 수유의 어려움이 따르는 등의 비정상적인 운동이 증가.
(2) 근긴장도와 자세 및 반사장애
수동운동 시 근 저항이 증가 혹은 감소. 반궁긴장 자세가 나타남.
복와위를 취하면 팔다리를 굴곡시키거나 몸통 아래로 끌어 당겨 둔부를 몸통보다 더 높게 유지
앙와위에서는 다리를 가위 모양으로 교차하거나 쭉 뻗으며 발바닥을 구부림
강직성 뇌성마비의 경우 팔은 어깨 쪽으로 외전 되고 구부리고 있으며 주먹을 쥔 자세
영아기에 있는 원시반사가 지속되거나 항진.
(3) 동반 장애
1) 의사소통장애
청각장애, 발음 발성기관의 운동장애, 중추성 언어장애, 인지능력의 결함.
2) 감각 및 지각장애
시각장애 : 사시가 약 20~60%를 차지. 내사시>외사시. 20~50%에서 굴절 이상. 안구진탕증, 약시, 시신경 위축, 백내장
청력장애 : 핵황달 때문에 80%정도 청력장애 있음.
감각장애 : 입체인지, 두점판별 능력, 위치 및 진동각, 통각, 온각의 순서로 감각장애 나타남
3) 간질발작
약 10% 환자에서 간질 발생.
편마비의 67%, 사지마비의 56%, 양하지 마비의 31%, 운동장애에서 27%.
→ 학습장애, 낙상의 위험, 뇌손상
4) 지능 및 학습장애
지능장애는 운동발달과 장애적응을 더 느리게 하고 운동능력과 상관없이 독립생활을 제한.
과잉운동, 주의력 산만, 감정 조절장애 등으로 학습장애 나타남. 무정위형이나 양측성 마비에서는 나타나지 않음. 실독증이 학습능력 저하시키는 가장 큰 원인.
5) 정서장애
대상자의 장애에 대한 인식과 민감성 및 정신능력과 관련. 대부분 과잉 정서상태
6) 가성연수형 마비
구강인두 기능장애, 심한 침흘림, 발성장애.
호흡근육의 조절이 잘 안 되어 중증 뇌성마비인 경우는 호흡기계 질환으로 수명이 단축될 수 있음.
7) 충치
부적절한 치아관리, 선천성 에나멜질 결핍, 고탄수화물 식이, 구강 내 음식 정체, 부적절한 영양섭취, 불소결핍, 입다물기 어려움, 지속적 침흘리기 등으로 충치 발생률 높음
9. 뇌성마비 치료법
(1) 수술치료
1) 신경외과적 수술
근육의 경직성을 감소시켜 주기 위해 시행하는 수술이다. 여러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머리, 척수, 말초신경 등에 대한 수술이 포함된다. 이중 가장 흔히 사용되는 수술은 척수 신경의 뿌리를 절제하는 수술로서 신경을 뿌리를 절제함으로 근육의 경직을 풀기 위한 것이다.
2) 정형외과적 수술
뇌의 이상으로 균형을 잡지 못할 때 경직된 근육을 수술적으로 치료함으로써 환자의 사지운동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보통 근육 및 인대를 수술하는데 근육이 굳는 것과 짧아지는 것을 교정하기 위해 인대 절단술이나 인대 연장술, 혹은 근육 절개술이나 근막 연장술 등과 같은 수술을 한다. 또 관절이 굳거나 위축되는 것에 대해 수술할 수도 있는데, 관절을 싸고 있는 캡슐을 절개하거나 골의 일부를 잘라낸다던지 하는 수술을 할 수 있다.
수술적 치료는 보통 4~6세에 하게 되는데 보존적 요법, 즉 재활치료로써 증상이 좋아지지 않을 때 조기 수술 치료가 도움을 줄 수도 있다.
수술 후에는 수술 후 수주 내지 수개월 간 석고 고정치료를 하고 물리치료나 작업치료를 실시하고, 보장구를 착용시켜야 한다. 그러므로 수술 여부를 결정할 때에는 지능지수를 고려한다. 일반적으로 지능 지수(I.Q.)와 운동지수 (M.Q.)의 합이 130이상 되지 않으면 수술의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렵다.
(2) 비수술 치료
1) 약물치료
경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2-10%의 페놀을 사용하여 국소적으로 신경 다발이나 근육내 신경분지 의 기능을 차단시켜 국소적인 경직의 경감을 얻는다. 그 외 최근에는 근육에 보툴리늄 독소를 주사하여 겅직의 경감을 얻기도 한다. 보톡스는 근신경접합부에 있는 신경말단부의 신경전절에서 아세틸콜린의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신경에서 근육으로의 신경전달을 차단하여 근육의 약화나 마비를 일으키게 된다. 1973년부터 근육의 경련에 사용되었으며 주로 안과영역의 사시나 blepharospasm에 사용되었다. 뇌성마비의 경직에도 효과를 보이는데 주사후 약3일후부터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지속기간은 3개월에서 길게는 6개월 까지이다. 시술방법은 EMG monitoring상 에서 주사바늘을 삽입하고 주사바늘 끝에 달린 전극을 통하여 경직이 있는 근육을 가려내어 주사하는 것이다. 페놀주사법에 비해서는 통증이 적을 뿐만아니라 장기간의 근육약화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짧을 시간내에 반복주사 할 경우에는 항체가생겨서 약효가 없어지는등 부작용이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하여야 한다.
2) 언어치료
뇌성마비 아동들은 최소한 의식적인 운동능력 향상을 위한 물리치료, 앉은 자세, 균형, 팔의 움직임과 물건 잡기 등의 훈련을 위한 작업치료가 요구되기 때문에 언어치료사를 찾아오기 전에 물리치료와 작업치료를 많이 받았을 것이다.
언어치료는 언어발달정도를 측정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발성과 발어를 위한 신체적 이상의 유무, 구어산출 메커니즘의 형태와 기능, 섭식패턴, 발성, 조음, 유창성 등등에 대한 면밀한 검사와 평가를 통하여, 정확한 조음능력과 언어발달 습득을 위한 체계화된 언어치료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심한 뇌성마비나 알아들을 수 있는 구어의 습득이 전혀 불가능한 기타 운동장애인 경우는 제스처나 의사소통판과 같은 것을 이용한 비구두언어 의사소통 체계를 훈련받아야 한다.
<참고자료>
정보인, 뇌성마비 영유아 바로 키우기
정재권.오명화, 뇌성마비아 작업치료의 이해와 실제
삼육재활원, 뇌성마비아 치료교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