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빌리루빈혈증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진술 ---------------------- 1

Ⅱ. 본 론 ------------------------------------- 2

1. 문헌고찰

1) 정의 ------------------------------------- 2

2) 병태생리 ---------------------------------- 2

3) 원인 ------------------------------------- 3

4) 고빌리루빈혈증의 주요 유형의 비교 ------------------ 4

5) 진단적 평가 -------------------------------- 5

6) 합병증 및 예후 ------------------------------ 7

7) 치료적 관리 -------------------------------- 8

8) 간호 -------------------------------------10

2.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3

2) 간호진단--------------------------------- 19

Ⅲ. 결 론 ------------------------------------ 23

Ⅳ. 참고문헌 --------------------------------- 24

본문내용

⑥ RN에 의한 수행 : 불투명 안대로 눈을 가리고 안대는 양쪽
눈이 감긴 채 눌리지 않도록 지지하며 하루에 한번 씩 안대를
교체하고 교체 시 망막 손상이 없는지, 결막염 여부를 관찰
하였다.
⑦ 광선요법으로 인한 합병증인 피부발진 및 설사가 나타나는지
관찰하였고, 도한 신진 대사율도 증가하므로 칼로리 요구량이
증가하였는지를 사정하였다.
이론적 근거
① 광선치료로 인한 황달의 증상완화를 관찰할 수 있기 때문이다.
② 불빛은 방사열을 생성시키므로 광선치료의 빛은 환아의 심부
체온을 올릴 수 있기 때문에 관찰이 필요로 하다.
③ 형광 빛에 의한 혈관확장은 불감수분손실을 증상시키고 장운동
촉진으로 주로 설사가 나타나므로 탈수증상을 사정하여야 한다.
④ 피부의 황달감소는 혈청빌리루빈 농도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에 빌리루빈 검사를 매울 측정해야 한다.
⑤ 발진과 화상을 예방하고 신체부위에 광선을 골고루 노출시키기
위함이다.
⑥ 안구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안대를 착용한다.
⑦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평가
① 9/18 : 광선치료를 받고 있는 중이며 현재 jaundice color는
호전을 보이고 있다.
② 광선치료로 인한 고 체온, 탈수, 설사증상을 보이지 않음을
관찰하였다.
③ 광선치료 후 bilirubin 수치가 9/15일 3.42에서 9/17일 2.43로
조금씩 내려가는 것을 확인하였다.
④ 황달로 인한 합병증을 발생되지 않았다.
간호
진단
#2. 자녀의 입원과 관련된 불안
주관적 자료
“먹는 건 어때요? 잘 먹고 있나요?”
“황달은 좀 어떻게 됐어요? 괜찮아 지고 있는 거겠죠?”
“너무 걱정이 돼서 밤에 잠도 안와요”
객관적 자료
미간을 찌푸리는 표정을 지음.
눈가에 눈물을 글썽거리는 모습이 관찰됨.
단기적 목표
① 부모는 자녀의 입원으로 동반되는 스트레스에 대해 적응한다.
② 다음 면회시간까지 부모는 자녀와 관련된 불안이 감소하게
될 것이다.
③ 부모의 환아의 질병에 바르게 감소하게 될 것이다.
④ 간호제공자는 가족들을 지지하여 가족의 슬픔과 불안이
경감하게 될 것이다.
장기적 목표
① 자녀의 입원과 관련된 불안이 해소된다.
간호
계획
① 환아의 질병에 대한 이해정도를 사정하고 설명한다.
② 부모의 대응방법을 사정하고 필요시 추가 교육을 한다.
③ 환아에게 이루어지는 기계(photo, monitor, iv)에 대해
설명한다.
④ 부모에게 아기의 일일 변화를 설명한다.
⑤ 부모의 슬픔표현을 격려하여 부모를 지지 한다.
간호
수행
① 대상자의 질병에 대한 이해정도를 사정하고 이에 대해 설명해
주고 필요한 참고자료를 제공해 주었다.
② 부모의 대응방법을 지속적으로 사정하였으며 지지를 통한
추가교육을 실시하였다.
③ 환아에게 이루어지는 기계(monitor;EKG(HR), SaO2,
PR, photo, iv)에 대한 설명을 통해 낯선 것에 대해 불안을
경감시켜 주었다.
④ 부모에게 아기의 일일변화에 대해 설명해 주었다.
⑤ 부모가 환아에게 관심을 표현하도록 격려해 주었다.
이론적 근거
① 질병에 대한 설명을 통해 부모의 이해를 도울 수 있다.
② 이를 통해 이 부모에게 필요한 적절한 대응방법에 대해 접근할
수 있다.
③ 새로운 것, 낯선 것에 대한 설명으로 부모의 불안을 경감시켜
줄 수 있다.
④ 부모는 환아의 질병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고 있으므로 이를
표현함으로 불안을 경감시켜 줄 수 있다.
⑤ 지지요법을 적용함으로써 앞으로의 환아와의 긍정적인 접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⑥ 부모는 환아의 정도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고 궁금해 한다.
평가
① 부모는 자녀의 입원과 동반되는 스트레스에 잘 적응하였다.
: adm, 첫날에는 아기 Incubator 앞에서 울음을 그치지 못하고
계속 울더니 이제는 아기를 보면 반갑게 인사도 하고 아기와
대화를 하는 등 잘 적응하는 행동을 보인다.
② 부모는 환아의 질병에 대해 이해하고 바르게 대처하였다.
③ 가족의 슬픔과 불안에 경감되었다.
: adm. 첫날에 부모는 매우 슬퍼하면서 아기 incubator 앞에서 울음을 그치지 못하더니 이제는 아기를 보면 반갑게 인사도
하고 아기와 대화를 하는 행동을 보였다.
Ⅲ. 결 론
일반적으로 주수를 다 채우고 태어난 신생아들보다 조산아에게 생리적 황달과 다른 병리적 문제가 더 잘 생기는데, 조산아인 이번 case 신생아에게 고빌리루빈혈증이 나타났다.
입원한 신생아를 질병별로 분류해보면 신생아 황달이 가장 많았다. 대부분의 성인은 혈청빌리부빈이 2mg/dl이상이면 육안 상 황달이 나타나지만, 신생아의 경우는 5~7mg/dl 이상이 될 때까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생리적 황달의 경우 대부분에서는 문제를 일으키는 정도가 경하다. 하지만, 문제를 일으키는 정도가 경하다 하더라고 신경계에 독성이 나타나는 심각한 상태의 황달인 빌리루빈 뇌 병증 또는 핵 황달로 진행 될 수가 있다. 핵 황달로 진행된 신생아의 50%는 사망하거나 혹은 생존하더라도 뇌성마비나 청신경 장애 및 정신지체를 갖게 된다. 이처럼 고빌리루빈혈증은 신생아에게 흔한 질병이지만, 치명적인 질병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이번 case를 통해 치료과정에서 대상자인 신생아, 질병을 가진 신생아의 부모에게 간호사의 세심한 간호와 실전에 적용할 수 있는 간호를 배우게 되었다.
신생아 간호는 일반적인 간호와는 다르게 여러 가지 문제를 도출해내는 과정에 현재 나타나는 문제뿐만 아니라 잠재적으로 나타날 위험이 있는 문제까지도 사정하여 간호를 행해야 하는데, 항상 신생아를 관찰해야 하는 간호사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 이번 간호수행을 하며 다시한번 느꼈다. 이번 case study는 임상에서 대상자, 그리고 그들의 가족에게 직접 손과 마음으로 행하며 적용할 수 있는 간호를 배우게 된 값진 사례연구였다.
Ⅳ. 참고문헌
-김영혜 외(2006), 아동간호학, 현문사
-김옥녀(2006), 임상약리학, 수문사
-김미예 외(2008),신생아 간호, 군자 출판사
-김희숙(2005), 아동간호 임상지침서, 신광출판사
-Marilyn J. Hockenverry 외(2006),아동간호학, 현문사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0.06.14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91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