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혈구와 적혈구증가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적혈구와 적혈구증가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적혈구 증가증

2. 진단 및 검사

3. 치료

4. 합병증

본문내용

많은 환자에게 장기간 유지가 가능하며 치료순응도가 나쁘거나 백혈구, 혈소판이 높을 때, 비장비대가 빨리 진행하는 등 골수증식의 속도가 빠를 때는 다른 약물치료가 필요하다. 하이드록시유레아, 인터페론, 부설판이 사용될 수 있는데 하이드록시유레아가 사용 용이성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되나 젊은 환자의 경우 이차성 암을 고려할 때 인터페론을 써 볼 수도 있다. 아주 고령의 환자인 경우 부설판도 사용 가능하리라 생각되며 출혈이나 혈전 등 혈소판 증가로 인한 증상이 있고 150만/㎕ 이상의 높은 수치인 경우 anagrelide도 역할이 있으리라 판단된다.(차영주, 구홍회, 권석운, 김병수, 박찬정, 박현진, 윤성수, 정혜림, 진종률, 2006)
7) 신체활동을 통한 2차성 적혈구 증가증 치료
2차성 적혈구 증가증은 때때로 적혈구량이 정상 상한치이고 혈장은 정상 하한치로 환자는 거의 정상 생리적 상태이며, 흡연자에서 높은 빈도를 보이며, 이들은 비만하며 고혈압을 가지는 경향이 있다. (김재룡, 2009) 그렇기 때문에 비만으로부터 벗어나 정상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을 병행, 계획적이고 규칙적인 신체 활동과 합리적인 식생활 습관을 유지하고 행동수정요법으로 잘못된 식행동을 교정함으로써 비만을 치료해야 한다. 하지만 높은 산을 등반하거나 혹은 무리한 운동으로 인한 심한 탈수는 마찮가지로 2차성 적혈구 증가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충분한 수분 섭취와 자신의 몸에 적합한 운동량을 설정하는 것이 좋다.
흡연시 다량의 일산화탄소가 폐를 통해서 혈액중의 혈색소와 결합하여서, 혈관을 축소시키고, 혈액의 산소운반능력 저하시켜 2차성 적혈구 증가증에 큰 영향을 미치며 심폐능력 저하, 심장의 부담, 운동효과 감소, 근육성장 장애, 에너지 공급 장애, 등을 가져오기 때문에 금연하는 것을 권장한다.
이외에도 무호흡수면은 유발인자인데 옆으로 잠을 자도록 하거나 체중 감량, 금주, 금연 등을 통해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위에 제시된 신체활동들을 실천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경과/합병증
원인 질환에 따라 환자의 경과 및 합병증의 빈도는 다르다. 외국에서는 진성 적혈구증가증의 합병증인 혈전의 경우 진단 전이나 진단 시 이미 발생되었을 확률이 11~38.6% 로 매우 높게 보고되었으며, 적혈구 수치를 조절하며 경과를 보는 시기에도 8~30.7% 에서 혈전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출혈이 발생할 확률은 이보다 낮아서 진단 전이나 진단 당시에는 3~18%, 경과 중에는 2.9~11.5% 정도이다. 국내 조사에 따르면 진단 전 혈전의 발생 확률은 19%, 경과 중 발생할 확률은 6% 이고, 출혈은 각각 7% 와 4% 로 외국의 보고보다는 낮게 보고되었다. 또 다른 중요한 합병증은 급성 백혈병으로, 외국에서는 그 빈도가 1.5~24%로 보고 되었다.
이차성 적혈구 과다증의 경우 적혈구과다에 의한 혈전 발생은 진성 적혈구증가증에 비해서는 낮으나, 헤마토크릿이 높을수록 혈전 발생 및 과다 점도에 의한 증상 발생의 위험도가 증가하므로, 가능하면 정상치에 가깝도록 원인 질환을 교정하거나 원인 질환의 교정이 불가능할 경우 사혈(정맥 부위를 직접 칼로 절개하여 피를 뽑는 방법)로 조절하게 된다.
참고문헌
김경태, 이성욱, 한상연, 김병희, 강기태, 노명환, 한진영(2006). 진성 적혈구증가증에 의한 간문맥해면종 1예, 대한간학회지 제 12권 제 4호, p568-573
정석준, 김현준, 박은주, 김철우, 조희진, 김광호, 김광중(2007). 진성 적혈구 증각증과 동반 된 Bier's Spots 1예, 대한피부과학회지 p962-964
차영주, 구홍회, 권석운, 김병수, 박찬정, 박현진, 윤성수, 정혜림, 진종률(2006) 혈액학, 이 퍼블릭, p244. 1-6. 21-35. p245. 26-44 p248. 11-24.
김재룡(2009). 진단검사의학(완전개정판), 이퍼블릭, p147. 17-20
정한솔(2009). 기초병리학, 메디컬코리아, p170-171
http://100.naver.com/100.nhn?docid=134148
http://blog.daum.net/hyang_ee/7675461
http://cafe.naver.com/nymphsite.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60
http://duser.doctorkorea.com/healthfile/index_in.asp?ck2_num=3&cl_num=19&mc_id=1272
  • 가격1,7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12.06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53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