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대상관계이론 개념
2. 대상관계이론 시작과 특성
3. 대상관례이론 내용
4. 대상관례이론과 치료
(1) 치료목표
(2) 치료관계
(3) 치료기법
5. 대상관계이론 활용한 치료사례 분석
6. 대상관계이론의 한계점과 기여한 점 (멜라니 클라인의 대상관계이론)
(1) 한계점
(2) 기여한점
7. 결론 및 느낀점
<참고문헌>
2. 대상관계이론 시작과 특성
3. 대상관례이론 내용
4. 대상관례이론과 치료
(1) 치료목표
(2) 치료관계
(3) 치료기법
5. 대상관계이론 활용한 치료사례 분석
6. 대상관계이론의 한계점과 기여한 점 (멜라니 클라인의 대상관계이론)
(1) 한계점
(2) 기여한점
7. 결론 및 느낀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두지 않았던 것이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부모의 병리적 성격과 삶의 고단함이 아동으로 하여금 나쁜 대상을 확립하도록 만들며 그리하여 정신병리를 일으키게 할 수도 있다.
- 유아에게 성인의 정신과정을 덧씌우는 소위 “성인 중심적 사고”를 했다. 클라인은 유아가 환상이 가능할 정도로 지각이 발달하기 훨씬 이전에 복잡한 환상적 관계를 갖는다고 가정하였다. 실제로 유아의 제한된 인지 능력으로는 복잡한 사고가 불가능하며, 설령 누군가가 그런 능력이 유아들에게 존재한다고 주장할 수는 있다고 해도, 실제로 그런 환상을 가지고 있다는 증거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 정신병리적 발달과정과 정상적 발달과정을 혼동하였다. 클라인은 편집증, 우울증, 조증 그리고 강박증에 대한 병리적 반응이 정상적인 유아에게도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것을 뒷받침해줄 수 있는 자료는 그녀가 병리적인 아이들을 분석한 경험에서 얻은 것이 전부였다.
- 편집적 자리와 우울적 자리를 구별함에 있어서 일관성을 유지하지 못하고 있다. 편집적 자리 안에 파괴적이고 가학적인 욕망들이 존재한다는 클라인의 주장은 대상에게 상처를 주려는 욕망이 우울적 자리에서 처음으로 나타난다는 그녀 자신의 견해와 모순된다.
(2) 기여한점
- 프로이드의 역동적 무의식 개념을 보유한 채 정신분석 운동 안에 머물러 있는, 최초의 정신분석 학파를 발달시켰다.
- 자아의 기능을 중요하게 다루었다. 투사, 투사적 동일시, 내사적 동일시, 시기심, 회복같은 정신과정을 묘사하면서 자아의 기능을 다루었다.
- 클라인이 개발한 놀이치료기법은 정신분석 놀이치료의 기초가 되었다.
- 정신분석학의 관심을 성기기의 오디이푸스적 구도에서 성기기 이전의 유아와 어머니 사이의 관계로 전환시켰다. 오이디푸스 시기 이전에도 내사와 동일시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고, 환상에 대한 프로이드의 개념을 확장시켰다.
- 내적 대상과 내적 대상관계라는 개념을 발달시켜 최초의 대상관계들의 정신분석학적 연구를 위한 강력한 임상적 도구가 되었다.
- 편집-분열적 자리, 우울적 자리, 시기심을 통해 클라인은 정서적인 삶을 지배하는 관계들에 대해 예리하게 설명하여 이러한 관계에 그녀의 이론은 임상심리학에 공헌하였다.
7. 결론 및 느낀점
대상관계 이론은 학자들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성격발달에 있어 대인관계 경험이 차지하는 중요성을 강조하는 부분은 공통적이다. 대상관계 이론에 따르면 유아의 기본적인 욕구는 \'대상추구(object seeking)\'이고, 아동이 경험하는 첫 대상이면서 깊은 관계를 맺는 대상인 어머니와의 관계는 아동의 자기(Self)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어머니와의 관계경험을 내면화시켜 타인과의 관계에 적용시키므로 중요하다.
자신에게 긍정적인 체험을 가져다주는 대상과 부정적인 체험을 주는 대상을 각각 \'좋은 대상\'과 \'나쁜 대상\'으로 분리시켜 기억한다. 좋은 대상과 관계할 때 유아는 자신을 \'좋은 자기\'로 \'나쁜 대상\'과 관계할 때 자신을 \'나쁜 자기\'로 체험한다. 한 대상이 좋은 면과 나쁜 면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수용할 수 있게 되면서 성격이 통합된다. 그러나 부정적인 대상관계 경험이 많으면 좋은 대상과 나쁜 대상을 분리함으로써 좋은 대상을 보호하려고 하며 타인이나 자신을 좋은 면과 나쁜 면을 동시에 지닌 대상으로 파악하지 못하고 절대적으로 나쁘거나 좋은 대상으로 파악하는 매우 경직된 대상관계 방식을 보임으로써 자연스런 대인관계를 할 수 없게 된다. 정신병리는 이러한 대상관계의 경직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치료자는 이러한 환자의 전이를 해석해줌으로써 새로운 대상관계 체험을 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참고문헌>
임상적 클라인, 힌쉘우드 지음
- 유아에게 성인의 정신과정을 덧씌우는 소위 “성인 중심적 사고”를 했다. 클라인은 유아가 환상이 가능할 정도로 지각이 발달하기 훨씬 이전에 복잡한 환상적 관계를 갖는다고 가정하였다. 실제로 유아의 제한된 인지 능력으로는 복잡한 사고가 불가능하며, 설령 누군가가 그런 능력이 유아들에게 존재한다고 주장할 수는 있다고 해도, 실제로 그런 환상을 가지고 있다는 증거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 정신병리적 발달과정과 정상적 발달과정을 혼동하였다. 클라인은 편집증, 우울증, 조증 그리고 강박증에 대한 병리적 반응이 정상적인 유아에게도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것을 뒷받침해줄 수 있는 자료는 그녀가 병리적인 아이들을 분석한 경험에서 얻은 것이 전부였다.
- 편집적 자리와 우울적 자리를 구별함에 있어서 일관성을 유지하지 못하고 있다. 편집적 자리 안에 파괴적이고 가학적인 욕망들이 존재한다는 클라인의 주장은 대상에게 상처를 주려는 욕망이 우울적 자리에서 처음으로 나타난다는 그녀 자신의 견해와 모순된다.
(2) 기여한점
- 프로이드의 역동적 무의식 개념을 보유한 채 정신분석 운동 안에 머물러 있는, 최초의 정신분석 학파를 발달시켰다.
- 자아의 기능을 중요하게 다루었다. 투사, 투사적 동일시, 내사적 동일시, 시기심, 회복같은 정신과정을 묘사하면서 자아의 기능을 다루었다.
- 클라인이 개발한 놀이치료기법은 정신분석 놀이치료의 기초가 되었다.
- 정신분석학의 관심을 성기기의 오디이푸스적 구도에서 성기기 이전의 유아와 어머니 사이의 관계로 전환시켰다. 오이디푸스 시기 이전에도 내사와 동일시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고, 환상에 대한 프로이드의 개념을 확장시켰다.
- 내적 대상과 내적 대상관계라는 개념을 발달시켜 최초의 대상관계들의 정신분석학적 연구를 위한 강력한 임상적 도구가 되었다.
- 편집-분열적 자리, 우울적 자리, 시기심을 통해 클라인은 정서적인 삶을 지배하는 관계들에 대해 예리하게 설명하여 이러한 관계에 그녀의 이론은 임상심리학에 공헌하였다.
7. 결론 및 느낀점
대상관계 이론은 학자들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성격발달에 있어 대인관계 경험이 차지하는 중요성을 강조하는 부분은 공통적이다. 대상관계 이론에 따르면 유아의 기본적인 욕구는 \'대상추구(object seeking)\'이고, 아동이 경험하는 첫 대상이면서 깊은 관계를 맺는 대상인 어머니와의 관계는 아동의 자기(Self)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어머니와의 관계경험을 내면화시켜 타인과의 관계에 적용시키므로 중요하다.
자신에게 긍정적인 체험을 가져다주는 대상과 부정적인 체험을 주는 대상을 각각 \'좋은 대상\'과 \'나쁜 대상\'으로 분리시켜 기억한다. 좋은 대상과 관계할 때 유아는 자신을 \'좋은 자기\'로 \'나쁜 대상\'과 관계할 때 자신을 \'나쁜 자기\'로 체험한다. 한 대상이 좋은 면과 나쁜 면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수용할 수 있게 되면서 성격이 통합된다. 그러나 부정적인 대상관계 경험이 많으면 좋은 대상과 나쁜 대상을 분리함으로써 좋은 대상을 보호하려고 하며 타인이나 자신을 좋은 면과 나쁜 면을 동시에 지닌 대상으로 파악하지 못하고 절대적으로 나쁘거나 좋은 대상으로 파악하는 매우 경직된 대상관계 방식을 보임으로써 자연스런 대인관계를 할 수 없게 된다. 정신병리는 이러한 대상관계의 경직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치료자는 이러한 환자의 전이를 해석해줌으로써 새로운 대상관계 체험을 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참고문헌>
임상적 클라인, 힌쉘우드 지음
추천자료
[사회복지] 정신역동모델과 사회복지실천에 관한 연구 - 정신역동적 시각 이론을 중심
제 4장 정신분석적 치료
페플라우관련도서여러개합쳐서도식화함
미누친( Minuchin)의 구조적가족치료 이론 및 사례연구 보고서(사회복지실천기술론)
[간호학]횡단성 척수염(Transverse Myelitis, TM)
인간 중심 치료 (Rogers)
심리사회모델(정신분석이론, 대상관계이론, 자아심리이론, 생태체계이론, 개입기법, 실제 사...
★추천자료★[가족치료-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 시트콤의 가족 치료 적용] 사티어의 경험적 ...
구조적가족치료 및 구조적가족치료사례개입(치료적개입기법, 미누친, 구조적가족치료개입사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