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한국어 말하기 교육
ㄱ. 필요성 및 내용
ㄴ. 수업원리
(2) 한국어 쓰기 교육
ㄱ. 필요성 및 내용
ㄴ. 수업 원리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한국어 말하기 교육
ㄱ. 필요성 및 내용
ㄴ. 수업원리
(2) 한국어 쓰기 교육
ㄱ. 필요성 및 내용
ㄴ. 수업 원리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는 것이 좋다. 다른 사람의 글을 읽는 것을 통해 자신의 쓰기를 고찰하고 쓰기 방법과 내용에 있어 통찰력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에게 실제적 자료를 풍부하게 제공하여야 한다. 쓰기 교육의 궁극적 목표 역시 실제생활에서 활용하는 의사표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므로, 신문기사쓰기, 편지쓰기 등의 실제성 있는 글을 쓸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미혜, 「한국어 문법교육에서 ‘표현항목’ 설정에 대한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2.
3. 결론
이상의 말하기 교육과 쓰기 교육의 성격을 종합하자면, 정확성과 유창성을 균형있게 추구하여 학습자의 자율성과 올바른 언어능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것이다. 또한 학습동기를 유발할 수 있도록 표현교육의 내용을 결정하되,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내용과 방식을 선택하여야 한다. 나아가 학습자 간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룹형, 내지 참여형 교습이 적절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실제적 과제를 통해 형식적이고 이론적인 학습이 아닌 실제적이고 현실적인 표현능력을 길러주는 것이 중요하다. 결국 표현교육의 궁극적 목표는 한국어 의사능력의 향상에 있고, 이를 위해서 학습과제 역시 실제적인 것으로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처럼 한국어 교육에 있어 표현능력은 중대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는 더욱 중요하다. 우리 주변의 외국인들, 다문화 가정들을 보면 읽기, 듣기는 곧잘 하지만 말하기, 쓰기에서 문제가 있는 경우가 많다. 한국어를 어눌하게 발음하는 외국인, 맞춤법과 철자를 틀리는 다문화 학생. 의사소통의 문제 뿐 아니라 사회적 소통의 문제도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오늘날 사회문제로 대두되는 다문화 가정의 소외 문제도 표현능력이 향상되면 어느정도 해결될 것이라 믿는다. 외모는 달라도, 한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한다면 누구나 한국인으로 이해할 것이고, 이는 곧 사회공동체로 융합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닐까. 한국어 교육이 언어의 교육을 넘어서 문화적 교류까지 포용할 수 있기를 바라본다.
4. 참고문헌
김한내, 「프로젝트 학습법을 활용한 초등다문화 학생 대상의 한국어 표현교육 방안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2018.
이미혜, 「한국어 문법교육에서 ‘표현항목’ 설정에 대한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2.
민현식, 「국어 문법 연구」, 도서출판 역락, 1999.
3. 결론
이상의 말하기 교육과 쓰기 교육의 성격을 종합하자면, 정확성과 유창성을 균형있게 추구하여 학습자의 자율성과 올바른 언어능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것이다. 또한 학습동기를 유발할 수 있도록 표현교육의 내용을 결정하되,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내용과 방식을 선택하여야 한다. 나아가 학습자 간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룹형, 내지 참여형 교습이 적절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실제적 과제를 통해 형식적이고 이론적인 학습이 아닌 실제적이고 현실적인 표현능력을 길러주는 것이 중요하다. 결국 표현교육의 궁극적 목표는 한국어 의사능력의 향상에 있고, 이를 위해서 학습과제 역시 실제적인 것으로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처럼 한국어 교육에 있어 표현능력은 중대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는 더욱 중요하다. 우리 주변의 외국인들, 다문화 가정들을 보면 읽기, 듣기는 곧잘 하지만 말하기, 쓰기에서 문제가 있는 경우가 많다. 한국어를 어눌하게 발음하는 외국인, 맞춤법과 철자를 틀리는 다문화 학생. 의사소통의 문제 뿐 아니라 사회적 소통의 문제도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오늘날 사회문제로 대두되는 다문화 가정의 소외 문제도 표현능력이 향상되면 어느정도 해결될 것이라 믿는다. 외모는 달라도, 한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한다면 누구나 한국인으로 이해할 것이고, 이는 곧 사회공동체로 융합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닐까. 한국어 교육이 언어의 교육을 넘어서 문화적 교류까지 포용할 수 있기를 바라본다.
4. 참고문헌
김한내, 「프로젝트 학습법을 활용한 초등다문화 학생 대상의 한국어 표현교육 방안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2018.
이미혜, 「한국어 문법교육에서 ‘표현항목’ 설정에 대한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2.
민현식, 「국어 문법 연구」, 도서출판 역락, 199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