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구빈법상 구조를 받을 권리(right to relief)의 형성에 관한 고찰 ppt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국 구빈법상 구조를 받을 권리(right to relief)의 형성에 관한 고찰 ppt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구빈법 발전 과정

1349년 노동자법령– 흑사병 -> 노동력문제
1531년 법 –최초의 공적인 빈민 구제 (헨리 8세)
1572년 법 – 빈민구제를 위한 조세입법의 시초(구빈세)
1576년 법 – 부랑자에게 강제노동 실시
1601년 엘리자베스 구빈법 – 빈민구제와 관련한 법률 집대성
1662년 정주법 – 청교도혁명 -> 치안 문제 -> “정주 호적” 제도화
1722년 작업장법 – 작업장 입소를 조건으로 구제제공
1782년 길버트 법 –긴급구제를 위한 부조의무 인정
1795년 윌리엄 영 법 - 정주법상 거주지 제한 완화
1834년 새 구빈법 – 구빈조합에 의한 대형 작업장 통한 중앙집권

구빈법 시행에 반대하는 입장

Adam Smith(1723-1790)
– 자유방임주의(야경국가)
(자본가에 의한 독점적 이윤추구로 인한 빈민층의 심화 등을 묵과)
David Ricardo(1772-1823)
– 임금의 철칙
(국부의 일부는 반드시 임금으로 배분되며, 빈민구제는 아무런 생산물도 만들어 내지 못한다.)
Malthus(1766-1834)
– 인구론
(기근, 전쟁, 전염병에 의한 인구 수 조절의 불가피성을 역설)

구빈법의 쇄락

의료구제 자격철폐법(1885년)
- 질병에 의한 빈곤은 개인 책임이 아니라고 보아 빈민에 대한 낙인 해소
실업노동자법(1905년) – 실업을 국가적 문제로 본 최초의 시도
작업장의 빈민법 기관으로의 명칭 변경(1911년)
=> 다른 제도에 의한 구제가 가능해지면서 구빈법에 의한 빈민구제 쇠퇴
국민보험법(1911년) – 의료보험과 실업보험 제도화
지방정부법(1929년) - 작업장제도 공식적 폐지
실업법(1934년) - 대공황 관련 실업보험의 적용을 못 받는 실업자 구제
베버리지 보고서(1942년) – ‘요람에서 무덤까지’
국민부조법(1948년) – 구빈법 폐지

키워드

  • 가격2,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21.05.10
  • 저작시기2020.2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11498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