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과생각 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글과생각 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이첨의 <밀봉설>과 심익운의 <대소설>을 읽고, 각각의 글이 지닌 장점 및 두 글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관하여 서술하시오.(20점)
2. 서경식의 <수레바퀴 자국에 고인 물 속의 붕어>(제10강)를 읽고, 이 글에 제시된 ‘디아스포라’ 개념과 ‘재일조선인’이 처한 상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25점)
3. <언어의 여섯 가지 기능>(제11강)에 대하여 교재와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25점)

본문내용

機能)은 정보 제공의 기능, 지시적 기능(Referential function)으로 언어 행위의 요소 중, 관련 상황(대상)에 관련된다. 관련 상황(대상)에 대하여 말하는 사람이 듣는 사람에게 내용을 알려 주는 기능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생각하는 언어의 기능은 지시, 정보 제공의 기능에 해당하며 우리가 쓰고 있는 언어는 모두가 사물을 대상화하여 그것에 의미를 부여하는 이름이다. 예를 들어 도서관은 책을 읽거나 빌리는 장소라는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에 이용되는 셈이다.
2) 표출적 기능(表出的機能)
언어의 표출적 기능(表出的機能)은 표현적 기능, 정서적 기능(Emotive function)으로 어떤 표현, 즉 쓰여진 말이 말하는 사람의 태도를 나타내 주는 기능이다. 언어 행위의 요소 중 ‘① 말하는 사람’에 초점이 맞추어진 기능으로 아! 으악새 슬피 우는 이라든지, 오천년 도읍지를 필마로 돌아드니 인걸은 간 데 없고 하는 것처럼 화자의 정서적 상태를 표현하는 기능을 한다.
3) 명령적 기능(命令的機能)
언어의 명령적 기능(命令的機能)은 지령적 기능, 욕구적 기능(Conative function)으로 언어 행위의 요소 중 ‘② 말을 듣는 사람’에게 초점이 맞춰진 기능으로 명령문은 이 기능을 극대화시킨 것이다. 이는 언어의 명령적 기능은 말을 듣는 사람에게 어떤 반응을 불러일으키게 한다. 그 예로는 열중 쉬어! 라든지 목이 마른데 냉장고에서 물 좀 떠 오거라! 라고 한다든지 하는 말이 해당한다. 부수적으로 바깥바람이 시원하던데 라고 운을 떼는 것은 방문을 열어달라는 간접적인 명령인 셈이다.
4) 친교적 기능(親交的機能)
언어의 친교적 기능(親交的機能)은 상황적 기능(Phasic function)으로 언어 행위의 요소 중 ‘⑤ 환경(의사소통의 경로)’과 관련된 기능이다.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이 언제고 필요하기만 하다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는 전제의 확인과도 같은 언어행위로 예의상이나 형식적으로 사용되는 표현이다. 사장님 안녕하세요? 라는 인사에 응 자네도 잘 지냈지? 라고 묻는 것이 친교적 기능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지인이나 이웃사람들끼리 주고받는 인사말 혹은 여행 중에 차중(車中)에서 우연히 알게 된 사람과 나누는 날씨 이야기, 경치 이야기 라든지 엘리베이터 안에서 모르는 사이라도 짧게 하는 인사도 해당한다. 무슨 말을 하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무슨 말인가를 한다는 사실 자체가 중요한 셈이다.
5) 관어적 기능(關語的機能)
언어의 관어적 기능(關語的機能)은 메타언어적 기능(Meta-lingual function)으로 - 언어 행위의 요소 중 ‘ ⑥ 언어(Code)’ 자체에 대한 기능으로 말을 통하여 새로운 말을 배우는 기능을 한다. 즉 A계열에 속하는 언어로 B계열에 속하는 언어를 설명하는 것으로 새로운 어휘 습득, 외국어 학습, 특정 지식을 체계화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 예를 들면 자당은 남의 어머니를 높여 부르는 존칭어다.
6) 미학적 기능(美學的機能)
언어의 미학적 기능(美學的機能)은 시적(詩的) 기능(Poetic function)으로 언어 행위의 요소 중 ‘ ③ 전언(傳言, Message)’ 자체에 초점을 맞추는 기능으로 말(전언)은 그 말하는 사람의 의식적·무의식적 노력에 의해서 되도록이면 듣기 좋은 짜임새를 가지려 한다. 말에는 그 말 자체 속에 보다 듣기 좋은 표현을 가지려는 본능적인 모습이 감추어져 있기 때문이다. 언어를 예술적 재료로 삼는 문학에서 이 미학적 기능은 가장 중요한 지배적 기능이라 할 수 있다. 섬섬옥수라든지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도 곱다는 식의 표현이 이에 해당한다.
참고문헌
글과생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1.05.12
  • 저작시기202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99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