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단원 목표
Ⅱ. 단원 핵심 역량
Ⅲ. 단원 성취 기준
Ⅳ. 계열
Ⅴ. 단원의 전개 계획
Ⅵ. 지도상의 유의점
Ⅶ. 과학과 교수 학습 과정안
1) 문제 파악
(1) 동기 유발하기
(2) 공부할 문제 확인하기
2) 문제 추구 및 해결
(1) 학습 순서 확인하기
(2) 운동장 흙과 화단 흙 관찰하기
(3) 물 빠짐(용어) 정의하기
(4) 실험 결과 예상하기
(5) 실험하기
(6) 실험 결과 정리하기
3) 적용 및 발전
(1) 알갱이 크기와 물 빠짐
4) 정리
(1) 차시 예고
Ⅷ. 평가 관점
Ⅸ. 핵심 판서
Ⅱ. 단원 핵심 역량
Ⅲ. 단원 성취 기준
Ⅳ. 계열
Ⅴ. 단원의 전개 계획
Ⅵ. 지도상의 유의점
Ⅶ. 과학과 교수 학습 과정안
1) 문제 파악
(1) 동기 유발하기
(2) 공부할 문제 확인하기
2) 문제 추구 및 해결
(1) 학습 순서 확인하기
(2) 운동장 흙과 화단 흙 관찰하기
(3) 물 빠짐(용어) 정의하기
(4) 실험 결과 예상하기
(5) 실험하기
(6) 실험 결과 정리하기
3) 적용 및 발전
(1) 알갱이 크기와 물 빠짐
4) 정리
(1) 차시 예고
Ⅷ. 평가 관점
Ⅸ. 핵심 판서
본문내용
의하기
T, 여러분 선생님이 간단한 실험을 보여주겠습니다. 잘 관찰 해보도록 합시다.
<사전 예시 실험>
종이컵 바닥에 구멍을 뚫고 모래를 넣는다.
여러분, 이 종이컵에 물을 부으면 물은 어떻게 될까요?
S, 물이 모래에 흡수됩니다.
S, 일부는 흡수되고, 대부분의 물은 아래 구멍으로 빠져 나옵니다.
T, (종이컵에 물을 부으며) 종이컵에 물을 부으면 물이 모래 사이를 지나 아래로 빠져 나옵니다. 이와 같은 과정을 물 빠짐 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물 빠짐 : 물이 어떤 물질을 지나 빠져 나오는 것
Sn, (물 빠짐의 의미가 무엇인지 확인한다.)
종이컵, 모래, 물, 비커, 송곳
모래에 물이 빠지는 모습을 보여 주고 물 빠짐이 무엇인지 알게 한다.
예상하기
T, 그럼 운동장 흙과 화단 흙 중에서 어느 것이 물이 더 잘 빠져 나갈지 예상해 봅시다. 또, 그렇게 예상한 이유도 말해 봅시다.
S, 운동장 흙이 잘 빠질 것 같습니다. 비가 오면 운동장에 물이 잘 빠지기 때문입니다.
S, 화단 흙이 잘 빠져 나갈 것 같습니다. 식물이 화단 흙에 살고 있기 때문입니다.
실험 전에 실험 결과를 예상해보게 한다.
실험하기
T, 실험을 하기 위한 준비물과 실험 방법을 확인해 봅시다.
<실험 준비물>
물 빠짐 장치, 거즈 여러 장, 고무줄 두 개, 숟가락 두 개, 비커(500 mL) 네 개, 물, 초시계
실험준비물
(좌동)
문제
추구
및
해결
실험하기
<실험 방법>
1) 플라스틱 통의 밑 부분을 거즈로 감싸 고무줄로 묶습니다.
2) 플라스틱 통에 운동장 흙과 화단 흙을 각각 절반 정도 채운 뒤, 스탠드에 고정 합니다.
3) 비커를 플라스틱 통 아래에 각각 놓습니다.
4) 두 흙에 각각 300mL의 물을 비슷한 빠르기로 동시에 붓습니다.
5) 일정한 시간 동안 어느 흙에서 물이 더 많이 빠졌는지 비교해 봅시다
Sn, (PPT와 교사의 설명을 통해서 실험 방법을 확인한다.)
PPT(실험방법)
PPT를 이용하여 실험 과정과 방법을 알게 한다.
문제
추구
및
해결
실험하기
T, 실험을 할 때 똑같이 해야 할 조건은 무엇입니까?
S, 운동장 흙과 화단 흙의 양을 똑같이 해야 합니다.
S, 물의 양과 물을 따르는 속도를 똑같이 해야 합니다.
T, 실험 방법에 따라서 실험을 하고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에 비커에 모인 물의 양을 비교해봅시다.
Sn, (실험을 하고 실험 결과를 기록한다.)
측정 시간
비커에 모인 물의 양 비교
실험을 할 때 똑같이 해야 할 조건을 확인시켜 실험에 오류가 없도록 한다.
실험결과
정리하기
T, 여러분이 실험한 결과 운동장 흙과 화단 흙 중 어떤 흙 쪽의 비커에 물이 많이 모였습니까?
S, 운동장 쪽 흙의 비커에 물이 많이 모였습니다.
T, 운동장 흙과 화단 흙 중 어떤 흙의 물 빠짐이 더 좋다고 말할 수 있습니까?
S, 운동장 흙이 화단 흙보다 물 빠짐이 좋습니다.
적용
및
발전
알갱이의
크기와 물 빠짐
T, 운동장 흙이 화단 흙보다 물 빠짐이 더 좋은 이유를 예상해서 말해 봅시다.
S, 운동장 흙이 화단 흙보다 알갱이의 크기가 더 크기 때문입니다.
S, 화단 흙에 진흙 성분이 더 많이 섞여 있기 때문입니다.
S, 운동장 흙에 모래가 많이 섞여 있기 때문입니다.
T, 알갱이의 크기가 큰 흙일수록 물 빠짐이 더 좋습니다. 운동장 흙의 알갱이가 화단 흙의 알갱이보다 더 크기 때문에 운동장 흙에서 물이 더 잘 빠집니다.
흙의 알갱이가 클수록 물 빠짐이 더 좋다.
PPT
(알갱이의 크기와 물 빠짐)
PPT를 이용하여 알갱이의 크기와 물 빠짐의 관계를 설명한다.
정리
차시 예고
T, 다음 시간에는 식물이 잘 자라는 흙의 특징에 대해 공부하겠습니다.
Sn, (다음 시간 공부할 내용을 확인한다.)
교과서 52~53
평가관점
평가시기
평가방법
운동장 흙과 화단 흙의 특징을 알 수 있는가?
운동장 흙과 화단 흙의 색깔, 알갱이 크기, 촉감, 물 빠짐을 비교할 수 있는가?
운동장 흙과 화단 흙의 특징을 알아보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가?
수업
중
관찰
및
질문
핵 심 판 서
<공부할 문제>
: 운동장 흙과 화단 흙의 특징을 비교해 봅시다.
<학습 순서>
- 운동장 흙과 화단 흙
관찰하기
- 물 빠짐(용어) 정의하기
- 실험결과 예상하기
- 실험하기
- 실험결과 정리하기
3. 지표의 변화
<운동장 흙과 화단 흙의 특징>
구분
운동장 흙
화단 흙
색깔
알갱이의 크기
만졌을 때의 느낌
<물 빠짐>
: 운동장 흙이 화단 흙보다 물 빠짐이 좋다.
T, 여러분 선생님이 간단한 실험을 보여주겠습니다. 잘 관찰 해보도록 합시다.
<사전 예시 실험>
종이컵 바닥에 구멍을 뚫고 모래를 넣는다.
여러분, 이 종이컵에 물을 부으면 물은 어떻게 될까요?
S, 물이 모래에 흡수됩니다.
S, 일부는 흡수되고, 대부분의 물은 아래 구멍으로 빠져 나옵니다.
T, (종이컵에 물을 부으며) 종이컵에 물을 부으면 물이 모래 사이를 지나 아래로 빠져 나옵니다. 이와 같은 과정을 물 빠짐 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물 빠짐 : 물이 어떤 물질을 지나 빠져 나오는 것
Sn, (물 빠짐의 의미가 무엇인지 확인한다.)
종이컵, 모래, 물, 비커, 송곳
모래에 물이 빠지는 모습을 보여 주고 물 빠짐이 무엇인지 알게 한다.
예상하기
T, 그럼 운동장 흙과 화단 흙 중에서 어느 것이 물이 더 잘 빠져 나갈지 예상해 봅시다. 또, 그렇게 예상한 이유도 말해 봅시다.
S, 운동장 흙이 잘 빠질 것 같습니다. 비가 오면 운동장에 물이 잘 빠지기 때문입니다.
S, 화단 흙이 잘 빠져 나갈 것 같습니다. 식물이 화단 흙에 살고 있기 때문입니다.
실험 전에 실험 결과를 예상해보게 한다.
실험하기
T, 실험을 하기 위한 준비물과 실험 방법을 확인해 봅시다.
<실험 준비물>
물 빠짐 장치, 거즈 여러 장, 고무줄 두 개, 숟가락 두 개, 비커(500 mL) 네 개, 물, 초시계
실험준비물
(좌동)
문제
추구
및
해결
실험하기
<실험 방법>
1) 플라스틱 통의 밑 부분을 거즈로 감싸 고무줄로 묶습니다.
2) 플라스틱 통에 운동장 흙과 화단 흙을 각각 절반 정도 채운 뒤, 스탠드에 고정 합니다.
3) 비커를 플라스틱 통 아래에 각각 놓습니다.
4) 두 흙에 각각 300mL의 물을 비슷한 빠르기로 동시에 붓습니다.
5) 일정한 시간 동안 어느 흙에서 물이 더 많이 빠졌는지 비교해 봅시다
Sn, (PPT와 교사의 설명을 통해서 실험 방법을 확인한다.)
PPT(실험방법)
PPT를 이용하여 실험 과정과 방법을 알게 한다.
문제
추구
및
해결
실험하기
T, 실험을 할 때 똑같이 해야 할 조건은 무엇입니까?
S, 운동장 흙과 화단 흙의 양을 똑같이 해야 합니다.
S, 물의 양과 물을 따르는 속도를 똑같이 해야 합니다.
T, 실험 방법에 따라서 실험을 하고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에 비커에 모인 물의 양을 비교해봅시다.
Sn, (실험을 하고 실험 결과를 기록한다.)
측정 시간
비커에 모인 물의 양 비교
실험을 할 때 똑같이 해야 할 조건을 확인시켜 실험에 오류가 없도록 한다.
실험결과
정리하기
T, 여러분이 실험한 결과 운동장 흙과 화단 흙 중 어떤 흙 쪽의 비커에 물이 많이 모였습니까?
S, 운동장 쪽 흙의 비커에 물이 많이 모였습니다.
T, 운동장 흙과 화단 흙 중 어떤 흙의 물 빠짐이 더 좋다고 말할 수 있습니까?
S, 운동장 흙이 화단 흙보다 물 빠짐이 좋습니다.
적용
및
발전
알갱이의
크기와 물 빠짐
T, 운동장 흙이 화단 흙보다 물 빠짐이 더 좋은 이유를 예상해서 말해 봅시다.
S, 운동장 흙이 화단 흙보다 알갱이의 크기가 더 크기 때문입니다.
S, 화단 흙에 진흙 성분이 더 많이 섞여 있기 때문입니다.
S, 운동장 흙에 모래가 많이 섞여 있기 때문입니다.
T, 알갱이의 크기가 큰 흙일수록 물 빠짐이 더 좋습니다. 운동장 흙의 알갱이가 화단 흙의 알갱이보다 더 크기 때문에 운동장 흙에서 물이 더 잘 빠집니다.
흙의 알갱이가 클수록 물 빠짐이 더 좋다.
PPT
(알갱이의 크기와 물 빠짐)
PPT를 이용하여 알갱이의 크기와 물 빠짐의 관계를 설명한다.
정리
차시 예고
T, 다음 시간에는 식물이 잘 자라는 흙의 특징에 대해 공부하겠습니다.
Sn, (다음 시간 공부할 내용을 확인한다.)
교과서 52~53
평가관점
평가시기
평가방법
운동장 흙과 화단 흙의 특징을 알 수 있는가?
운동장 흙과 화단 흙의 색깔, 알갱이 크기, 촉감, 물 빠짐을 비교할 수 있는가?
운동장 흙과 화단 흙의 특징을 알아보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가?
수업
중
관찰
및
질문
핵 심 판 서
<공부할 문제>
: 운동장 흙과 화단 흙의 특징을 비교해 봅시다.
<학습 순서>
- 운동장 흙과 화단 흙
관찰하기
- 물 빠짐(용어) 정의하기
- 실험결과 예상하기
- 실험하기
- 실험결과 정리하기
3. 지표의 변화
<운동장 흙과 화단 흙의 특징>
구분
운동장 흙
화단 흙
색깔
알갱이의 크기
만졌을 때의 느낌
<물 빠짐>
: 운동장 흙이 화단 흙보다 물 빠짐이 좋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