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동학습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협동학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왜 협동학습인가?

1. 협동학습의 의미

2. 협동학습의 특성 - 협동학습의 12가지 특징

3. 협동학습의 장단점
(1) 장점
(2) 단점

4. 협동학습의 교육효과

5. 협동학습의 필요성

6. 협동학습의 모형

7. 협동학습을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필수 요인

8. 협동학습에 대한 7가지 오해

9. 협동학습 운영지침

10. 협동학습의 일례

본문내용

나보다 글씨를 더 깨끗하게 쓰쟎아. 나는 냄새 따위는 별로 상관하지 않으니까 내가 물을 갈아줄께."
그 프로젝트의 두 번째 단계는 콩을 실제로 흙에 심어 보는 것이었다. 이제 각 팀은 그들이 결정한 각각의 실험 결과에 대한 예측을 하도록 되어 있었다. 아이들은 그 예측을 교실 벽면의 상황판에 기록하고, 학급 회의에서 실험의 진행 상황을 보고하기로 했다. 곧 교실 벽면의 상황판은 아이들의 예측으로 빽빽하게 채워졌다: "콩은 젖은 종이 타월을 밀치고 나올 것이다." "리마콩은 싹이 틀 때 작은 돌을 밀치고 나올 것이다."
이 시점에서, 아이들 사이에 경쟁과 시샘이 생기기 시작하였다. 자기들이 심은 콩의 성장률을 걱정하는 아이들은 서로 물이 너무 많거나 너무 적었다고 서로에게 책임을 물었다. 아이들은 자신들의 콩이 더 빠르게 혹은 더 크게 자랄 때 다른 팀들을 곧잘 놀리곤 하였다. 심지어 태업의 경우도 있었다. 즉, 어떤 용기는 아예 물 속에 잠겨 있었다. 어느 월요일 아침에는 잎이 무성하게 자란 콩위에 놓여져 있는 학급용 사전이 발견되기 하였다.
핸슨 선생님은 이러한 위기를 오히려 성장을 위한 기회로 보았다. 선생님은 학급회의 시간에 아이들에게 경쟁과 시샘에 대하여 말해 보도록 하였다. 왜 그러한 감정을 가지게 되었고, 그러한 감정이 어떻게 해서 몇몇 아이들로 하여금 파괴적이고 부당한 행동을 하게끔 만들었는지에 대하여 이야기해 보도록 하였다.
몇몇 아이들은 친구와 함께보다는 자기 혼자 키울 수 있는 자기만의 콩을 가지기를 바랬다고 말하였다. 선생님은 그런 아이들에게 그렇게 할 수 있도록 허락해 주었으며, 그 결과 약 절반의 아이들이 콩을 혼자서 보살피기로 결정하였다.
그러나 그것이 오래가지는 못했다. 한 주가 지나자 혼자서 콩을 돌보기로 했던 아이들이 자발적으로 포기하고 짝꿍과 같이 하겠다고 말하였다. 짝궁과 함께 실험하는 것을 달갑게 여기지 않던 한 소년은 자신이 이전의 결정을 포기한 이유를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나는 관찰기록장을 손에 쥐고 콩이 얼마나 자랐는지를 표시하는 것을 동시에 할 수가 없다."
그 프로젝트의 세 번째 단계는 근처에 있는 코넬 대학의 온실을 학급이 견학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선생님은 아이들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우리는 많은 것을 배웠다-가장 중요한 것은 온실에 제공되는 빛, 열 그리고 습기의 도움이다. 내가 희망했던 바와 같이, 모든 학생들은 학교에 온실을 만들자고 외쳤고, 우리는 학교 운동장을 더욱 아름답게 만들기 위해 온실을 만들어 그 속에서 꽃을 재배하기로 결정하였다." 학교를 위해 무엇인가를 하기로 한 이러한 새로운 목표는 학급 차원의 협동을 넘어서서 이타주의의 영역으로 확대되는 프로젝트를 택하게 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그 프로젝트가 끝난 5월에 핸슨 선생님은 많은 격려와 감사 그리고 그녀가 보았던 아이들 간의 아이디어의 공유에 대해 무척 기뻐하였다. 선생님은
집단 목표와 책임감을 받아들이는 아이들의 능력이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아이들이 서로에게 준 긍정적인 피드백 때문에 아이들의 자존감이 엄청나게 커지게 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진지하게 협동 학습을 시도하면서 그것에 대해 열성적이지 않은 교사를 찾기란 매우 어렵다. 캘리포니아주의 샌라몬에 있는 랜초 로메로(Rancho Romero) 초등학교에서 2학년을 가르치고 있으며, 아동 발달 프로젝트(CDP)에도 참여한 바 있는 텔스워스(Ruby Tellsworth) 선생님은 다음과 같이 말한 바 있다.
나는 아주 학구적인 교사이다. 처음에 나는 협동학습에 관해 매우 회의적이었다. 그러나 이제는 이러한 방법을 가르칠 수 없다고는 결코 생각하지 않는다. 나는 결과들을 보았다. 아이들은 서로를 더 잘 알게 되고 나도 그들을 더 잘 알게 되었다.
작년에 어떤 일도 하지 않으려는 어느 아이가 있었지만, 그 아이가 속한 협동학습 집단이 그 아이에게 그가 해야 할 어떤 역할을 부여했기 때문에 그 아이는 다른 아이들과 함께 활동해야 했다. 나의 아이들이 과학 모듈을 위한 수업을 마치고 교실을 나갈 때, 그들이 진지하게 서로 도우며 같은 또래의 다른 반 아이들보다 덜 떠들었다는 소리를 여러 선생님들로부터 들었다. 올해는 유치원과 1, 2학년 때 협동학습을 이미 경험한 아이들을 가르쳤기에 그 성과와 기쁨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그들은 어떻게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고, 협동하는지를 아는 상태에서 나를 만났던 것이다.
아이들은 협동학습에 관해 어떻게 말하고 있는가?
2학년 남학생: 나는 여학생들과 함께 일하는 것이 괜찮다는 것을 배웠다. 그것은 나쁘지 않았다. 남학생과 같이 일하는 것만큼 가치가 있었고 재미도 있었다.
3학년 여학생: 여러분들이 성장할 때에 여러분은 어떻게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일하는가를 알아야만 한다. 여러분이 어렸을 때 협동하는 것을 배우지 않으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더 어려워진다. 여러분은 "협동하다"라는 단어가 뜻하는 것을 알지 못할지도 모른다.
6학년 남학생: 나는 아이들이 내 말을 듣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해서 학급의 아이들 앞에서 어떤 것도 말하지 않는다. 그러나, 때때로 집단 속에서 나는 아이들에게 일종의 농담을 하는 데, 그 때 다른 아이들은 내가 하는 말들이 좋은 생각이라고 여기고 있다. 이것은 나로 하여금 내가 말 못하는 벙어리가 아님을 느끼게 해 준다.
6학년 남학생: 우리들은 모두 좋은 생각들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그것들에 대해 말하고 그것들을 함께 합칠 때 우리는 아주 훌륭한 생각을 가지게 된다.
사회학자인 에밀 뒤르껭(Emile Durkheim)은 집단에 대한 애착이 아이들로 하여금 다른 사람들을 소중히 여기고 그들 자신보다 더 큰 어떤 것에 충성심을 느끼게 한다고 말한 바 있다. 협동 학습은 뒤르껭의 표현에 덧붙여질 수 있는 또 하나의 말이다. 왜냐하면, 협동학습은 아이들에게 혼자 하는 것보다는 함께 협동하는 것이 더 많은 것을 할 수 있게끔 만들어 준다는 사실을 가르쳐 주기 때문이다. 협동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사회나 세계에서 그러한 교훈 자체는 협동학습을 도덕교육의 한 중요한 부분으로 만들어 주고 있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4.11.17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37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