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넬 마케팅 성공사례와 4P전략분석 및 샤넬 브랜드 강약점분석 및 느낀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샤넬 마케팅 성공사례와 4P전략분석 및 샤넬 브랜드 강약점분석 및 느낀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샤넬 브랜드철학

2. 샤넬 기업현황분석

3. 샤넬의 강점과 약점
(1) 강점
(2) 약점

4. 샤넬의 마케팅 성공사례

5. 샤넬 마케팅믹스 4P전략 분석
(1) Product (제품전략)
(2) Price (가격전략)
(3) Place (유통전략)
(4) Promotion (프로모션전략)

6. 결론 및 느낀점

본문내용

새 향수를 위해 1~10가지 숫자의 향을 샘플로 내놓았는데 그 중 코코 샤넬이 N. 5’란 스티커가 붙여진 향수를 선택해서 No.5 라는 이름으로 출시하게 되었다.
(2) Price (가격전략)
샤넬 제품은 제품군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이지만 모든 제품들의 가격대가 상당한 편이다. “샤넬 제품이 너무 비싸다는 지적이 나온다.“ 라는 인터뷰 질문에 크리스틴 다구세(Christine Dagousset)는 \"그럴 수밖에 없다. 샤넬의 품질은 세계 최고다. 최고의 원재료를 사용해 최고의 디자이너들이 최고 품질의 제품을 만든다. 향수의 경우 샤넬이 소유한 그라스(Grasse) 지역 꽃밭에서 꽃을 재배할 때부터 시작해 병 디자인 등 향수를 병에 담을 때까지 모든 공정을 일일이 확인한다.\" 라고 답했다.
이런 샤넬의 가격전략은 고가격일수록 고급품질의 상품이며, 또 그것을 사용하는 비자의 지위도 높게 보이는 소비자 심리를 이용한 품위가격결정법(Prestige Pricing)이라고 할 수 있다.
(3) Place (유통전략)
샤넬 매장은 프랑스를 포함하여 명품매장이 밀집한 밀라노, 피렌체, 로마, 제노바, 베로나 등 약 3~5곳의 이탈리아의 주요대도시에서 운영되고 있다. 시즌 신상품과 클래식 상품만을 취급하며, 이탈리아 정가로 판매를 하게 된다. 이탈리아 주요대도시의 시내중심 상권에 대개가 명품거리를 형성하고 있는 한 구역에 위치한 것이 특징이며, 다른 브랜드의 경우 시즌이 끝나는 무렵에 끝나는 시즌신상품에 대하여 1년에 두 번 정기 세일(매년 1월·7월) 때 약 30~50% 가량의 세일판매를 실시하지만, 샤넬의 경우는 정기 세일의 개념이 없으며, 정상매장에서 판매되지 모한 제품들은 재고가 되어 본사에서 운영하는 아울렛에서 판매된다. 국내 같은 경우 코스메틱 부분은 바뀐 정책 이후 면세점을 포함한 백화점 인터넷 쇼핑몰에서도 구매가 가능할 정도로 구입 방법이 쉬워졌지만, 의류 및 가방, 소품을 판매하는 패션부티크는 소수의 대형 고급 백화점 지점에만 입점 되어 있다.
(4) Promotion (프로모션전략)
샤넬은 광고를 진행할 때 시장의 규모보다는 시기별로 특정 품목을 정하여 집중적으로 광고를 진행하고 있다. 샤넬은 기존까지 액세서리 라인은 광고하지 않았지만, J12 워치가 발표되었던 2010년 하반기에는 이 제품군을 집중적으로 광고했다. 또한 기업의 고급스러운 브랜드 이미지를 유지하기 위해 버스, 지하철, 택시 등을 통해 광고 할 수 있는 교통광고 보다는 고층 건물의 전광판이나 백화점 옆 버스정류장의 광고와 같이 고정된 장소에 부착할 수 있는 옥외광고 방식을 이용한다.
6. 결론 및 느낀점
명품브랜드의 마케팅은 일반적인 마케팅과 달리 부유층을 주 타겟으로 삼고 그들과의 관계중심형 마케팅을 하기 때문에 고객의 유지가 용이하며 이에 따른 고정 고객을 확보할 수 있고, 기업은 이를 통해 안정된 매출을 유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귀족 마케팅으로 판매하는 고급 제품 및 서비스의 가격 탄력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가격 상승에도 고객의 이탈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이런한 마케팅전략이 과시적 소비 성향의 결과로 나타난 마케팅이라고 할 수 있는 만큼 사치품을 소유하지 못한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심리적 박탈감을 주고 소비의 양극화를 초래하여 사회 계층 간의 위화감을 조성 할 수 있다. 이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CSR [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과 같은 자선, 기부, 환경보호 등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해낸다면 기업과 고객 모두가 인식의 전환이 이루어질 것이다.
<참고자료>
샤넬 전략, 나가사와 신야. 스기모토 가나, 랜덤하우스
  • 가격4,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1.06.07
  • 저작시기202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09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