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신생아의 반사능력이란
2. 반사능력의 종류, 반사행동, 대표적인 반사
3. 신생아 반사의 기능과 기제
4. 신생아 검사
2. 반사능력의 종류, 반사행동, 대표적인 반사
3. 신생아 반사의 기능과 기제
4. 신생아 검사
본문내용
강을 예측하는 데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출생 시 즉각적인 의료적 도움에 대한 필요 여부를 결정하는 데 있다. 또한 신생아의 출산과정과 신생아의 새로운 환경에 대한 스트레스 대처능력이 어느 정도인지 측정하는 데 사용하기도 한다.
(2) 브레즐튼 신생아 행동평가 척도
* 브레즐튼 척도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기본 가정에 따라 제작
* 브레즐튼 검사의 실시방법
브레즐튼 신생아 행동평가 척도의 실행 순서
출생 후 2개월 이내의 영아의 행동을 평가하기 위해 브레즐튼 등(1973)이 고안한 척도다. 브레즐튼은 영아는 유능하고 복잡하게 조직된 존재로서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능력과 외부환경의 자극을 선택적으로 다루는 능력이 있으므로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동안 행동을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사용한다고 하였다. 이런 믿음에 근거하여 그는 영아의 행동 영역을 측정함으로써 영아의 행동조직기술과 수행을 촉진하는 상호작용능력을 사정하는 척도를 개발하였고, 나아가 영아와 부모의 상호작용에서 부모가 중심이 되는 교육 프로그램과 영아의 개별화된 발달을 계획하는 데 활용하였다.
이 척도는 출생 후 3일에 최초로 실시하고, 실시 후 2~3일 이내에 반드시 반복측정한다. 척도의 하위영역은 습관화(habituation), 지향성(orientation), 운동(motor), 상태범위(range of state), 상태조절(regulation of state), 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의 6개 영역에서 27개 행동반응영역과 18개의 반사기능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습관화에는 불빛, 딸랑이, 종, 침 자극에 대한 반응감소가 있으며, 지향성에는 사물에 초점 맞추기, 사물 따라가기, 사람 얼굴에 초점 맞추기, 사람 얼굴 따라가기, 소리자극에 반응하기, 사람 목소리에 반응하기, 사람 얼굴과 목소리에 동시 반응하기 등이 있다.
운동에는 잡고 일어나기, 방어운동, 주의력 정도, 근육긴장, 운동 신속성, 활동성이 있고, 상태범위에는 흥분도, 불안정성, 상태 가변성이 있으며, 상태조절에는 매달리기, 달래면 울음 그치기, 흥분 가라앉히기, 손가락 빨기, 떨림, 놀람, 피부반응이 있다. 자율신경계에는 진전, 놀람, 피부색의 변화가 있다. 출생 직후 신생아는 자율신경계, 반사, 조절 능력, 자극에 대한 상호작용 능력의 네 가지 기능적 영역이 있으며, 제시된 순서대로 통합되고 이 같은 영역을 잘 통합하는 것이 이 시기 영아의 중요한 과업이다.
(2) 브레즐튼 신생아 행동평가 척도
* 브레즐튼 척도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기본 가정에 따라 제작
* 브레즐튼 검사의 실시방법
브레즐튼 신생아 행동평가 척도의 실행 순서
출생 후 2개월 이내의 영아의 행동을 평가하기 위해 브레즐튼 등(1973)이 고안한 척도다. 브레즐튼은 영아는 유능하고 복잡하게 조직된 존재로서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능력과 외부환경의 자극을 선택적으로 다루는 능력이 있으므로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동안 행동을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사용한다고 하였다. 이런 믿음에 근거하여 그는 영아의 행동 영역을 측정함으로써 영아의 행동조직기술과 수행을 촉진하는 상호작용능력을 사정하는 척도를 개발하였고, 나아가 영아와 부모의 상호작용에서 부모가 중심이 되는 교육 프로그램과 영아의 개별화된 발달을 계획하는 데 활용하였다.
이 척도는 출생 후 3일에 최초로 실시하고, 실시 후 2~3일 이내에 반드시 반복측정한다. 척도의 하위영역은 습관화(habituation), 지향성(orientation), 운동(motor), 상태범위(range of state), 상태조절(regulation of state), 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의 6개 영역에서 27개 행동반응영역과 18개의 반사기능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습관화에는 불빛, 딸랑이, 종, 침 자극에 대한 반응감소가 있으며, 지향성에는 사물에 초점 맞추기, 사물 따라가기, 사람 얼굴에 초점 맞추기, 사람 얼굴 따라가기, 소리자극에 반응하기, 사람 목소리에 반응하기, 사람 얼굴과 목소리에 동시 반응하기 등이 있다.
운동에는 잡고 일어나기, 방어운동, 주의력 정도, 근육긴장, 운동 신속성, 활동성이 있고, 상태범위에는 흥분도, 불안정성, 상태 가변성이 있으며, 상태조절에는 매달리기, 달래면 울음 그치기, 흥분 가라앉히기, 손가락 빨기, 떨림, 놀람, 피부반응이 있다. 자율신경계에는 진전, 놀람, 피부색의 변화가 있다. 출생 직후 신생아는 자율신경계, 반사, 조절 능력, 자극에 대한 상호작용 능력의 네 가지 기능적 영역이 있으며, 제시된 순서대로 통합되고 이 같은 영역을 잘 통합하는 것이 이 시기 영아의 중요한 과업이다.
추천자료
아동 건강사정
신생아, 영유아, 청소년기등 각 아동의 단계별에 해당하는 응급처치 및 안전관리에 대한 사항...
[고위험모아간호학A형] 1.중환아 간호단위의 특성, 중환아실 간호사 능력 태도 역할 2.입원아...
[언어지도] 영유아기 언어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주변에서 영유아를 관찰한 후 사례를 제...
[아동발달검사] 영유아발달검사 - 베일리(Bayley) 영아발달검사, 게젤(Gesell) 발달검사, 카...
태내기 신생아기 영유아기(영아기 유아기) 발달특징과 발달과제
신생아기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 발달특성(특징 과업 과제)
[시험자료] 유아발달 퀴즈
신생아의 반사능력에 대해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