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목차
1. 일반정보
2. 병력
1) 주증상(chief complaints)
2) 현병력(present illness)
3) 과거병력(past history)
4) 가족력
5) 질병진행과정
3. 질병기술
1) 악성 외이도염(malignant otitis externa)
2) 원인
3) 증상
4) 진단
5) 치료
4. 임상소견 및 진단검사
1) 임상검사
2) 진단검사
5. 약물
6. 특수치료 및 수술
7. 간호과정
1) 간호과정 적용
2. 병력
1) 주증상(chief complaints)
2) 현병력(present illness)
3) 과거병력(past history)
4) 가족력
5) 질병진행과정
3. 질병기술
1) 악성 외이도염(malignant otitis externa)
2) 원인
3) 증상
4) 진단
5) 치료
4. 임상소견 및 진단검사
1) 임상검사
2) 진단검사
5. 약물
6. 특수치료 및 수술
7. 간호과정
1) 간호과정 적용
본문내용
양상을 다시 사정하였음.
평가
(Evaluation)
1.otalgia의 NRS척도는 8로 “귀가 쑤시고 아파요”/ 간헐적/ 20분 지속되며 통증 호소-by.RN (목표달성)
2.10.26 Tridol 50mg/IV, 11.12 Tridol 50mg/IV -by.RN (목표달성)
3.많이 아프세요?, 괜찮으신가요?”라며 통증에 대한 정서적인 지지를 수행하였음. “-by.RN,SN (목표달성)
4.진통제 투여 1시간 후 통증의 양상을 다시 사정하였으며, NRS 척도상 3점~5점 사이라고 대답함.-by.SN (목표달성)
간호사정
(주관적/
객관적 자료)
S
“귀가 간지러워요”
“귀에서 물이 자꾸 나오는 느낌이에요”
O
-2017년 Transphalangeal amputation proximal phalanx 4th toe foot
-11.05 op로 Transmeatal aural polyptectomy
-11.12 OP로 intact canal wall mastoidectomy
-Excisional biopsy 결과 psuedomonas, MRSA
-대상자에게 가까이 갔을 때 특징적인 신냄새가 남.
-대상자는 현재 본원 입원 일주일 전 DM Foot infection으로 입원했던 과거력이 있음
-대상자는 자신의 hygiene에 전혀 신경을 쓰지 않는 모습임.
간호진단
(Nursing goals)
수술 부위 및 발가락 절단부위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
간호목표
대상자는 퇴원할 때 까지 더 이상 감염의 징후를 보이지 않는다.
간호계획
&
이론적 근거
(Rational)
1. 수술 부위 및 발가락 절단 부위에 감염의 징후가 보이는지 관찰한다.
이론적 근거: 상처부위와 침습적 처치(정맥주사 부위, 도뇨관 삽입 부위)에 감염 증상(발적, 부종, 동통, 수술부위 화농성 배액물)이 있는지 확인한다.
2. 환자와 접촉하기 전, 후에 손 소독제로 손 씻기를 하여 감염의 위험을 최소화 한다.
이론적 근거: 감염예방을 위해 접촉으로 인한 전파를 차단한다.
3. 대상자에게 감염의 증상을 교육한다.
이론적 근거:감염의 증상과 징후를 알려줌으로써 감염 발생시 조기진단 내릴 수 있도록 한다. 소변의 색이 탁하고 악취가 나는 것, 수술부위 및 절단부위의 화농성 배액물, 발열, IV주사 부위의 발적, 동통, 부종 등이 있다면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교육한다.
4. 항생제(tapocin+cellpenem inj 0.5g, IV)를 투여한다.
이론적 근거: 항생제 투여로 감염을 예방한다.
5. 대상자에게 충분한 휴식과 수면을 취하도록 격려한다.
이론적 근거: 면역력 악화로 감염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6.대상자에게 개인위생을 수행하도록 격려한다.
이론적 근거: 개인 위생은 수행하는 것음 감염을 예방하는데 중요하다.
간호수행
1.대상자의 수술 부위 및 발가락 절단 부위를 관찰하였음.
2.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시행함.
3.대상자에게 감염의 증상을 교육하였음.
4.대상자에게 항생제를 투여하였음
5.대상자에게 충분한 휴식과 수면을 취하도록 교육하였음
평가
(Evaluation)
1.대상자의 수술 부위를 관찰하였으며, 대상자의 수술부위는 현재 감염의 징후가 없음-by.RN
2.대상자와 접촉하기 전 손소독을 시행하였음.-by.RN,SN
3.대상자에게 감염의 증상을 교육하였으며, 대상자가 감염이 증상이 있을때는 말하겠다고 대답하였음.-by.RN
4.대상자에게 tapocin+cellpenem을 투여하였음.-by.RN
5.대상자에게 충분한 휴식과 수면을 취하도록 교육하였으며, 대상자는 휴식을 취하겠다고 대답하였음-by.RN,SN
6.대상자에게 개인위생을 수행하도록 격려하였으나, 대상자는 개인위생을 잘 수행하지 않음.-by.RN,SN
간호사정
(주관적/
객관적 자료)
S
x
O
-Tabaxin 부작용으로 Pancytopenia 증상으로 11.2 Lab상 / RBC2.31/ Hb7.4 /Hct22.9 /PLT109로 Anemia있어 PRBC 수혈
-수술 부위 dressing를 손으로 잡아 뜯음.
-11.5 Transmeatal aural polyptectomy
-11.12 intact canal wall mastoidectomy
검사명
정상범위
10/26
11/2
11/8
RBC
(4.2~5.7)E12/L
2.68▼
2.31▼
3.41▼
Hb
(12.0~16.0)g/dL
8.4▼
7.4▼
10.4▼
Hct
(36~45)%
26.4▼
22.9▼
30.2▼
간호진단
(Nursing goals)
항생제 부작용 및 수술 부위와 관련된 출혈의 위험
간호목표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더 이상 출혈의 징후를 보이지 않는다.
간호계획
&
이론적 근거
(Rational)
1.수술부위에 출혈이 있는지 출혈양상을 확인한다.
이론적 근거: 수술 후의 출혈은 응급지혈수술을 위하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으므로 수술부위의 출혈양상을 사정하는 것은 중요하다.
2.수술 부위에 드레싱을 적용한다.
이론적 근거: 수술 부위에 드레싱을 적용 하는 것은 감염과 출혈을 예방하며 수술 부위의 치유를 돕는다.
3. 부작용이 있는 항생제를 확인하고, 항생제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
4. 혈액검사를 통해 Hb수치와 aPTT검사 결과를 확인한다.
이론적 근거: 출혈이 있을시에 나타나는 지표는 헤모글로빈과 헤마토크릿이다. 출혈이 있을때는 이 두가지의 수치가 감소하므로 이 두 수치의 감시가 필요하다.
간호수행
1. 수술 부위의 출혈양상을 확인함.
2. 현재 수술부위에 드레싱을 적용함.
3. 부작용이 있는 항생제를 확인하고 D/C함/
4. 혈액검사는 수술 이후로 나가지 않았음.
평가
(Evaluation)
1. 수술부위의 출혈 양상을 확인하였으며, 현재 출혈양은 적으며, 밖으로 보이는 출혈은 없음.-by.RN
2. 대상자는 현재 수술부위에 드레싱을 적용중이며, 드레싱 부위에서 출혈은 보이지 않음.-by.RN, SN
3. 대상자에게 부작용이 생긴 항생제는 Tabaxin이며, 현재는 D/C한 상태이며 현재는 항생제를 변경하였음.
4. 수술 이후로는 lab검사를 나가지 않았음.
Ⅸ.참고문헌
- 외이도염 [otitis externa]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 약학정보원
평가
(Evaluation)
1.otalgia의 NRS척도는 8로 “귀가 쑤시고 아파요”/ 간헐적/ 20분 지속되며 통증 호소-by.RN (목표달성)
2.10.26 Tridol 50mg/IV, 11.12 Tridol 50mg/IV -by.RN (목표달성)
3.많이 아프세요?, 괜찮으신가요?”라며 통증에 대한 정서적인 지지를 수행하였음. “-by.RN,SN (목표달성)
4.진통제 투여 1시간 후 통증의 양상을 다시 사정하였으며, NRS 척도상 3점~5점 사이라고 대답함.-by.SN (목표달성)
간호사정
(주관적/
객관적 자료)
S
“귀가 간지러워요”
“귀에서 물이 자꾸 나오는 느낌이에요”
O
-2017년 Transphalangeal amputation proximal phalanx 4th toe foot
-11.05 op로 Transmeatal aural polyptectomy
-11.12 OP로 intact canal wall mastoidectomy
-Excisional biopsy 결과 psuedomonas, MRSA
-대상자에게 가까이 갔을 때 특징적인 신냄새가 남.
-대상자는 현재 본원 입원 일주일 전 DM Foot infection으로 입원했던 과거력이 있음
-대상자는 자신의 hygiene에 전혀 신경을 쓰지 않는 모습임.
간호진단
(Nursing goals)
수술 부위 및 발가락 절단부위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
간호목표
대상자는 퇴원할 때 까지 더 이상 감염의 징후를 보이지 않는다.
간호계획
&
이론적 근거
(Rational)
1. 수술 부위 및 발가락 절단 부위에 감염의 징후가 보이는지 관찰한다.
이론적 근거: 상처부위와 침습적 처치(정맥주사 부위, 도뇨관 삽입 부위)에 감염 증상(발적, 부종, 동통, 수술부위 화농성 배액물)이 있는지 확인한다.
2. 환자와 접촉하기 전, 후에 손 소독제로 손 씻기를 하여 감염의 위험을 최소화 한다.
이론적 근거: 감염예방을 위해 접촉으로 인한 전파를 차단한다.
3. 대상자에게 감염의 증상을 교육한다.
이론적 근거:감염의 증상과 징후를 알려줌으로써 감염 발생시 조기진단 내릴 수 있도록 한다. 소변의 색이 탁하고 악취가 나는 것, 수술부위 및 절단부위의 화농성 배액물, 발열, IV주사 부위의 발적, 동통, 부종 등이 있다면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교육한다.
4. 항생제(tapocin+cellpenem inj 0.5g, IV)를 투여한다.
이론적 근거: 항생제 투여로 감염을 예방한다.
5. 대상자에게 충분한 휴식과 수면을 취하도록 격려한다.
이론적 근거: 면역력 악화로 감염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6.대상자에게 개인위생을 수행하도록 격려한다.
이론적 근거: 개인 위생은 수행하는 것음 감염을 예방하는데 중요하다.
간호수행
1.대상자의 수술 부위 및 발가락 절단 부위를 관찰하였음.
2.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시행함.
3.대상자에게 감염의 증상을 교육하였음.
4.대상자에게 항생제를 투여하였음
5.대상자에게 충분한 휴식과 수면을 취하도록 교육하였음
평가
(Evaluation)
1.대상자의 수술 부위를 관찰하였으며, 대상자의 수술부위는 현재 감염의 징후가 없음-by.RN
2.대상자와 접촉하기 전 손소독을 시행하였음.-by.RN,SN
3.대상자에게 감염의 증상을 교육하였으며, 대상자가 감염이 증상이 있을때는 말하겠다고 대답하였음.-by.RN
4.대상자에게 tapocin+cellpenem을 투여하였음.-by.RN
5.대상자에게 충분한 휴식과 수면을 취하도록 교육하였으며, 대상자는 휴식을 취하겠다고 대답하였음-by.RN,SN
6.대상자에게 개인위생을 수행하도록 격려하였으나, 대상자는 개인위생을 잘 수행하지 않음.-by.RN,SN
간호사정
(주관적/
객관적 자료)
S
x
O
-Tabaxin 부작용으로 Pancytopenia 증상으로 11.2 Lab상 / RBC2.31/ Hb7.4 /Hct22.9 /PLT109로 Anemia있어 PRBC 수혈
-수술 부위 dressing를 손으로 잡아 뜯음.
-11.5 Transmeatal aural polyptectomy
-11.12 intact canal wall mastoidectomy
검사명
정상범위
10/26
11/2
11/8
RBC
(4.2~5.7)E12/L
2.68▼
2.31▼
3.41▼
Hb
(12.0~16.0)g/dL
8.4▼
7.4▼
10.4▼
Hct
(36~45)%
26.4▼
22.9▼
30.2▼
간호진단
(Nursing goals)
항생제 부작용 및 수술 부위와 관련된 출혈의 위험
간호목표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더 이상 출혈의 징후를 보이지 않는다.
간호계획
&
이론적 근거
(Rational)
1.수술부위에 출혈이 있는지 출혈양상을 확인한다.
이론적 근거: 수술 후의 출혈은 응급지혈수술을 위하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으므로 수술부위의 출혈양상을 사정하는 것은 중요하다.
2.수술 부위에 드레싱을 적용한다.
이론적 근거: 수술 부위에 드레싱을 적용 하는 것은 감염과 출혈을 예방하며 수술 부위의 치유를 돕는다.
3. 부작용이 있는 항생제를 확인하고, 항생제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
4. 혈액검사를 통해 Hb수치와 aPTT검사 결과를 확인한다.
이론적 근거: 출혈이 있을시에 나타나는 지표는 헤모글로빈과 헤마토크릿이다. 출혈이 있을때는 이 두가지의 수치가 감소하므로 이 두 수치의 감시가 필요하다.
간호수행
1. 수술 부위의 출혈양상을 확인함.
2. 현재 수술부위에 드레싱을 적용함.
3. 부작용이 있는 항생제를 확인하고 D/C함/
4. 혈액검사는 수술 이후로 나가지 않았음.
평가
(Evaluation)
1. 수술부위의 출혈 양상을 확인하였으며, 현재 출혈양은 적으며, 밖으로 보이는 출혈은 없음.-by.RN
2. 대상자는 현재 수술부위에 드레싱을 적용중이며, 드레싱 부위에서 출혈은 보이지 않음.-by.RN, SN
3. 대상자에게 부작용이 생긴 항생제는 Tabaxin이며, 현재는 D/C한 상태이며 현재는 항생제를 변경하였음.
4. 수술 이후로는 lab검사를 나가지 않았음.
Ⅸ.참고문헌
- 외이도염 [otitis externa]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 약학정보원
추천자료
성인간호학실습-간암 케이스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간농양)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복부대동맥류)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흡인성폐렴)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코뼈골절)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협심증)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결장암)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간암)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추간판 탈출증)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