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일반정보
Ⅱ. 병력
Ⅲ. 질병기술(disease description)
IV. 신체검진
Ⅴ. 임상소견 및 진단검사
Ⅵ.약물
Ⅶ. 특수치료 및 처치(각종 tube 포함)
VIII. 간호과정
IX. 참고문헌
Ⅱ. 병력
Ⅲ. 질병기술(disease description)
IV. 신체검진
Ⅴ. 임상소견 및 진단검사
Ⅵ.약물
Ⅶ. 특수치료 및 처치(각종 tube 포함)
VIII. 간호과정
IX. 참고문헌
본문내용
7
110/56
115
18
37.9
10.18
105/68
71
18
36.4
10.19
110/65
66
19
36.5
-얼굴을 찡그리고 있음
간호 진단
침습적 시술과 관련된 급성 통증
간호
계획
간호목표
-Goal-
:expected outcome
-대상자가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NRS 2점 이하로 통증이 감소한다.
간호
지시
(이론적
근거)
-통증의 정도를 사정한다.
(통증을 객관화하여, 간호 수행에 대한 효과를 알 수 있음)
-처방된 약물을 투약하고 약물 투여 시 설명을 하고 부작용이 있는지 확인한다.
(약물은 통증을 감소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임)
-V/S을 측정한다.
(V/S은 통증에 영향을 받을 수 있음)
-통증 시 통증에 관한 표현을 격려한다
(감정을 표현함으로써 통증과 관련된 불안을 완화시킬 수 있음).
-통증이 있을 경우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교육한다.
-보호자에게 대상자가 통증이 있을 경우 지지해 주도록 한다.
(가족의 지지가 있을 때 불안감을 덜 느끼게 됨)
-편안하고 조용한 환경을 유지시켜준다.
-진통제 투여 후 심호흡을 하게하거나 Warm bag을 제공한다.
간호 수행
-통증을 사정함 (by RN)
NRS
10.20
5
10.22
4
10.27
0
-처방된 약물(Morphine, Tramadol)을 투약, 설명을 하고, 부작용 확인(by RN)
-V/S 측정함 (by RN)
BP
P.R.
R.R.
B.T
10.21
108/66
72
18
36
10.24
105/76
65
19
36
10.26
110/68
69
18
36.5
-통증이 있을 경우 통증을 표현하도록 격려함 (by RN)
-통증이 있는 경우 간호사에게 알릴 것을 교육함.(by RN)
:통증이 있는 경우 진통제를 원한다고 간호사에게 알림
-보호자에게 대상자를 지지하도록 함.(by RN)
:보호자가 대상자의 옆에서 대상자를 지지해줌
-편안한 환경을 유지하게 하기 위해 커튼을 쳐줌
-진통제 투여 후 Warm bag을 제공함
:대상자가 배에 Warm bag을 적용함
간호 평가
목표 달성
10월 27일 대상자의 통증이 NRS 2점 이하인 0점으로 통증을 호소하지 않았고, 10월 26일 이후 진통제를 사용하지 않음
<급성통증>
<비효율적인 혈당 관리>
DATE
2017. 10.17 ~ 2017. 10.28
간호 사정
Sign&Symptom
Subject/Object Data
S data
-없음
O data
-2009년 혈당이 높다는 이야기를 듣고 식이요법으로 조절
-2013년 5월 DM으로 진단 받음 ( 측정 시 fasting glucose 130)
-혈당 강하제를 복용하고 있음 (1일 2회 아침, 저녁 식후)
-하루 세 번 BST측정 order
-BST 측정 시 당 조절이 잘 되지 않음
10.18
10.19
10.20
06:00
130
126
133
17:00
178
136
157
21:00
165
185
209
-glucose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 있음
glucose(70-138)
10.18
157
간호 진단
비효율적인 혈당 관리
간호
계획
간호
목표
-Goal-
:expected
outcome
-대상자의 혈당 수치가 정상으로 유지 된다.
: 대상자에게 고혈당이 발생하지 않는다.
-대상자가 당뇨에 관한 지식을 알고 있다고 말한다.
:대상자가 당뇨와 관련된 약물이나 식이 운동 요법 등에 대하여 알고 수행한다.
간호
지시
(이론적
근거)
-주치의의 처방에 따라 하루 3번 BST를 수행하고 수치를 모니터한다.
-BST 수행 시에는 알코올 소독 후 알코올이 마르면 수행한다.
(알코올은 마르면서 소독 효과가 나타남)
-BST 할 때 손가락 끝의 측면을 이용하며, 채혈 할 때마다 다른 부위를 이용한다
(손가락 끝부분의 측면 쪽이 통증을 덜 느끼고, 채혈 시 부위를 바꾸어서 하여 피부 재생을 돕고, 굳은살이 생기는 것을 예방함)
-처방에 따라 약물과 수액을 투여하고 부작용을 관찰한다.
(혈당 강하제와 수액을 사용하여 혈당 수치를 낮춤)
-혈당과 관련된 Lab 수치를 모니터한다.
-영양 상담을 의뢰하고 당뇨 식이를 섭취하게 한다.
-당뇨에 관한 지식 수준을 확인한다.
(지식이 부족할 경우 혈당 조절에 어려움을 겪음)
-대상자와 보호자를 위해 당뇨 교육을 의뢰한다.
-식이 조절과 운동을 격려한다.
(당뇨의 조절에는 식이와 운동이 중요함)
-저혈당 증상을 교육하고 모니터한다.
(혈당 강화제 약물이나 과도한 운동으로 인해 져혈당에 빠질 수 있음)
간호 수행
-하루 3번 BST를 수행하고 수치를 모니터함.
10.22
10.23
10.24
10.25
10.26
06:00
124
126
120
133
124
17:00
128
136
130
157
157
21:00
174
185
151
132
139
:BST 수행 시에 소독 후 알코올이 마른 뒤 수행함
:수행 시 손가락 끝의 측면을 이용하고, 채혈 할 때마다 다른 부위를 이용함.
-처방에 따라 약물(Metformin)을 투여하고 부작용을 관찰함.
-혈당과 관련된 Lab 수치를 모니터한다.
10.24
10.28
glucose
120
121
-영양 상담을 의뢰해, 상담을 하였고(10.18) 당뇨 식이(1800kcal)를 섭취함.
-당뇨에 관한 지식수준을 확인하고 당뇨 교육을 의뢰함
:대상자가 보호자와 함께 병원 내의 당뇨 교육을 받음(10.19)
-식이 조절과 운동을 격려하였음.
:보호자와 함께 병동을 돌아다니는 시간이 늘었음
-저혈당 증상을 교육하고 모니터함
간호 평가
부분적 달성
-대상자에게 고혈당이 발생하였음 (미달성)
-대상자가 당뇨와 관련된 약물이나 식이 운동 요법 등에 대하여 알고 있고, 식이 요법을 잘 수행하고 운동을 하는 시간이 증가하였음 (달성)
IX. 참고문헌
김정태, 2012, 화농성 간농양의 임상 경과와 원인균에 관한 고찰, 충북대학교 대학원
김금순, 김영숙, 최경옥, 한경선, 윤은자, 김숙영 외,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네이버 건강 http://health.naver.com/
김금자, 차영남, 장효순, 윤진, 공은숙 외,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
삼성 서울 병원 http://www.samsunghospital.com
110/56
115
18
37.9
10.18
105/68
71
18
36.4
10.19
110/65
66
19
36.5
-얼굴을 찡그리고 있음
간호 진단
침습적 시술과 관련된 급성 통증
간호
계획
간호목표
-Goal-
:expected outcome
-대상자가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NRS 2점 이하로 통증이 감소한다.
간호
지시
(이론적
근거)
-통증의 정도를 사정한다.
(통증을 객관화하여, 간호 수행에 대한 효과를 알 수 있음)
-처방된 약물을 투약하고 약물 투여 시 설명을 하고 부작용이 있는지 확인한다.
(약물은 통증을 감소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임)
-V/S을 측정한다.
(V/S은 통증에 영향을 받을 수 있음)
-통증 시 통증에 관한 표현을 격려한다
(감정을 표현함으로써 통증과 관련된 불안을 완화시킬 수 있음).
-통증이 있을 경우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교육한다.
-보호자에게 대상자가 통증이 있을 경우 지지해 주도록 한다.
(가족의 지지가 있을 때 불안감을 덜 느끼게 됨)
-편안하고 조용한 환경을 유지시켜준다.
-진통제 투여 후 심호흡을 하게하거나 Warm bag을 제공한다.
간호 수행
-통증을 사정함 (by RN)
NRS
10.20
5
10.22
4
10.27
0
-처방된 약물(Morphine, Tramadol)을 투약, 설명을 하고, 부작용 확인(by RN)
-V/S 측정함 (by RN)
BP
P.R.
R.R.
B.T
10.21
108/66
72
18
36
10.24
105/76
65
19
36
10.26
110/68
69
18
36.5
-통증이 있을 경우 통증을 표현하도록 격려함 (by RN)
-통증이 있는 경우 간호사에게 알릴 것을 교육함.(by RN)
:통증이 있는 경우 진통제를 원한다고 간호사에게 알림
-보호자에게 대상자를 지지하도록 함.(by RN)
:보호자가 대상자의 옆에서 대상자를 지지해줌
-편안한 환경을 유지하게 하기 위해 커튼을 쳐줌
-진통제 투여 후 Warm bag을 제공함
:대상자가 배에 Warm bag을 적용함
간호 평가
목표 달성
10월 27일 대상자의 통증이 NRS 2점 이하인 0점으로 통증을 호소하지 않았고, 10월 26일 이후 진통제를 사용하지 않음
<급성통증>
<비효율적인 혈당 관리>
DATE
2017. 10.17 ~ 2017. 10.28
간호 사정
Sign&Symptom
Subject/Object Data
S data
-없음
O data
-2009년 혈당이 높다는 이야기를 듣고 식이요법으로 조절
-2013년 5월 DM으로 진단 받음 ( 측정 시 fasting glucose 130)
-혈당 강하제를 복용하고 있음 (1일 2회 아침, 저녁 식후)
-하루 세 번 BST측정 order
-BST 측정 시 당 조절이 잘 되지 않음
10.18
10.19
10.20
06:00
130
126
133
17:00
178
136
157
21:00
165
185
209
-glucose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 있음
glucose(70-138)
10.18
157
간호 진단
비효율적인 혈당 관리
간호
계획
간호
목표
-Goal-
:expected
outcome
-대상자의 혈당 수치가 정상으로 유지 된다.
: 대상자에게 고혈당이 발생하지 않는다.
-대상자가 당뇨에 관한 지식을 알고 있다고 말한다.
:대상자가 당뇨와 관련된 약물이나 식이 운동 요법 등에 대하여 알고 수행한다.
간호
지시
(이론적
근거)
-주치의의 처방에 따라 하루 3번 BST를 수행하고 수치를 모니터한다.
-BST 수행 시에는 알코올 소독 후 알코올이 마르면 수행한다.
(알코올은 마르면서 소독 효과가 나타남)
-BST 할 때 손가락 끝의 측면을 이용하며, 채혈 할 때마다 다른 부위를 이용한다
(손가락 끝부분의 측면 쪽이 통증을 덜 느끼고, 채혈 시 부위를 바꾸어서 하여 피부 재생을 돕고, 굳은살이 생기는 것을 예방함)
-처방에 따라 약물과 수액을 투여하고 부작용을 관찰한다.
(혈당 강하제와 수액을 사용하여 혈당 수치를 낮춤)
-혈당과 관련된 Lab 수치를 모니터한다.
-영양 상담을 의뢰하고 당뇨 식이를 섭취하게 한다.
-당뇨에 관한 지식 수준을 확인한다.
(지식이 부족할 경우 혈당 조절에 어려움을 겪음)
-대상자와 보호자를 위해 당뇨 교육을 의뢰한다.
-식이 조절과 운동을 격려한다.
(당뇨의 조절에는 식이와 운동이 중요함)
-저혈당 증상을 교육하고 모니터한다.
(혈당 강화제 약물이나 과도한 운동으로 인해 져혈당에 빠질 수 있음)
간호 수행
-하루 3번 BST를 수행하고 수치를 모니터함.
10.22
10.23
10.24
10.25
10.26
06:00
124
126
120
133
124
17:00
128
136
130
157
157
21:00
174
185
151
132
139
:BST 수행 시에 소독 후 알코올이 마른 뒤 수행함
:수행 시 손가락 끝의 측면을 이용하고, 채혈 할 때마다 다른 부위를 이용함.
-처방에 따라 약물(Metformin)을 투여하고 부작용을 관찰함.
-혈당과 관련된 Lab 수치를 모니터한다.
10.24
10.28
glucose
120
121
-영양 상담을 의뢰해, 상담을 하였고(10.18) 당뇨 식이(1800kcal)를 섭취함.
-당뇨에 관한 지식수준을 확인하고 당뇨 교육을 의뢰함
:대상자가 보호자와 함께 병원 내의 당뇨 교육을 받음(10.19)
-식이 조절과 운동을 격려하였음.
:보호자와 함께 병동을 돌아다니는 시간이 늘었음
-저혈당 증상을 교육하고 모니터함
간호 평가
부분적 달성
-대상자에게 고혈당이 발생하였음 (미달성)
-대상자가 당뇨와 관련된 약물이나 식이 운동 요법 등에 대하여 알고 있고, 식이 요법을 잘 수행하고 운동을 하는 시간이 증가하였음 (달성)
IX. 참고문헌
김정태, 2012, 화농성 간농양의 임상 경과와 원인균에 관한 고찰, 충북대학교 대학원
김금순, 김영숙, 최경옥, 한경선, 윤은자, 김숙영 외,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네이버 건강 http://health.naver.com/
김금자, 차영남, 장효순, 윤진, 공은숙 외,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
삼성 서울 병원 http://www.samsunghospital.com
추천자료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급성심근경색 STEMI)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복부대동맥류)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흡인성폐렴)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췌장염, 췌장암)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농흉 Empyema)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코뼈골절)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협심증)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결장암)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간암)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