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반정보
2. 병력
1) 주증상
2) 현병력
3) 과거병력
4) 가족력
3. 질병기술
1) 개념과 발병기전
2) 병태생리
3) 진단
4) 치료 및 간호
4. 신체검진
5. 임상소견 및 진단검사
1) 임상검사
2) 진단검사
6. 약물
7. 특수 치료 및 처치
8. 간호과정
1) 간호과정 적용
2) 통증
3) 자가 간호 향상 가능성
2. 병력
1) 주증상
2) 현병력
3) 과거병력
4) 가족력
3. 질병기술
1) 개념과 발병기전
2) 병태생리
3) 진단
4) 치료 및 간호
4. 신체검진
5. 임상소견 및 진단검사
1) 임상검사
2) 진단검사
6. 약물
7. 특수 치료 및 처치
8. 간호과정
1) 간호과정 적용
2) 통증
3) 자가 간호 향상 가능성
본문내용
.)
6.기좌호흡 자세를 취하게한다.
(-기좌호흡은 흉곽을 넓게 유지 시켜주어 호흡 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쓸수 있어 배액관으로 인한 통증을 감소 시킬 수 있다).
7.필요시 처방된 약물을 주입 후 효과및 부작용을 관찰한다.
(-약물요법으로 인해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간호수행(Nursing intervention)
부위
빈도
양상
강도
6/3 00:00
가슴
지속적
쑤심
3
16:00
가슴
간헐적
쑤심
1
6/4 00:00
가슴
지속적
쑤심
2
16:00
가슴
간헐적
쑤심
1
6/5 08:00
가슴
지속적
쑤심
2
16:00
가슴
간헐적
둔함
1
6/6 08:00
가슴
간헐적
둔함
1
16:00
가슴
간헐적
둔함
1
6/7 08:00
가슴
간헐적
둔함
1
16:00
가슴
간헐적
둔함
2
6/8 08:00
가슴
지속적
둔함
1
16:00
가슴
간헐적
둔함
1
6/9 08:00
가슴
간헐적
둔함
1
16:00
전신
간헐적
둔함
1
6/10 08:00
서혜부
지속적
둔함
1
16:00
0
1.지속적으로 통증의 형태와 정도를 사정하고 기록했다.(by RN)
2.6월 3일 통증의 원인과 악화요인을 이해하고 교육 후 확인했다.(by RN,SN)
3.6월 2일 환자의 통증에 대해 지지적이며, 긍정적으로 의사소통을 했다.(by SN)
4.6월 3일 통증을 완화할 수 있는 요법 및 방법을 교육하고 계속적으로 관찰했다. (-심호흡, 입술 오므리기 호흡, 상상,적절한 운동 등 )(by RN,SN)
5.6월2일 편안한 휴식 시간과 휴식공간을 갖게 했다.(by RN,SN)
5-1. 커튼을 쳐주면서 개인적인 휴식공간을 유지할 수 있게끔 했다.
5-2.주변의 소음을 줄이도록 하였다.
5-3.적당한 실내 습도와 온도 및 환기를 유지했다.
5-4.침대를 깨끗하게 주름없이 유지하려 했다.
6.6월 2일 기좌호흡 자세를 취하게 했다.(by RN,SN)
7. 6월 2일 처방된 Denogan inj 1g 1val #1 IV로 주입 후 , 효과 및 부작용을 관찰했다.(by RN)
평가(Evaluation)
-6월 3일 이후 통증의 정도와 특성을 표현했다.(목표 달성)
-6월 3일 통증을 조절 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심호흡이나, 간단하 운동을 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목표 달성)
6/10
부위
빈도
양상
강도
00:00
전신
지속적
둔함
1
08:00
서혜부
간헐적
둔함
1
16:00
0
-6월 10일 통증의 정도가 감소하고 사라졌다.(목표달성)
-6월 10일 통증이 사라지고 이제는 좀 편안해졌다고 말했다.(목표달성)
**목표달성함.
2)통증
3) 자가 간호 향상 가능성
날짜
6/3~
간호사정(Nursing assessment)
S: \" 이정도로 심호흡 하면 되나요? “ ” 이 부분은 제가 해 볼께요!!“ ”아직, 어떻게 해야하는지 잘 모르겠어요.., 조금만 더 알려주세요“ ”그때 그때 , 이런거 저런거 듣고 싶어요“
O :
-6월2일 Hx 교육요구도 부분
(교육요규- 환자, 교육방법-구두, 읽고 쓰는데 어려운 없음, 주사용 언어 - 한국어, 원하는 교육 내용 - 질병 및 관리
-Hx 퇴원예정지 및 교통수단 : 자택과 자가용
-지식 부족을 보이심.
-신장 170cm, 체중 102kg, 비만도 35.29 -중증도 비만
간호진단(Nursing Dx.)
자가 간호 향상 가능성
간호목표(Nursing goals)
-환자는 퇴원 전까지 자신의 질병 및 관리에 대하여 이해하고 얘기할 수 있다.
-퇴원전 자가 간호를 수행하는 행동을 보인다.
-체중 관리에 대한 필요성을 이해하고 퇴원 후 실천 한다.
-퇴원 후 스스로 자가 간호를 할 수 있다.
간호계획(Nursing plan) 및 이론적 근거(Rational)
1.환자의 스스로의 질병과 상태에 대해 지식 및 자가간호의 정도를 확인한다.
(-환자가 어느 정도 알고 어느 정도의 정보를 필요로 하는지 확인하며 알맞은 교육을 할 수 있다.)
2질병 및 관리에 대한 내용을 교육한 후 시범을 보인다.
(-교육을 받은 수 적용하기 위해서 직접 보여 주는것이 효과적이다.)
3.환자 스스로 관리를 실천할 수 있게끔 격려한다.
(-실천을 유도하는데 효과적이다.)
4.스스로의 공간과 환경을 만들어 준다.
(타인의 신경을 덜 쓰고 스스로 행동 할 수 있다.)
5.8시간 간격으로 자가간호 상황을 확인하고 반응을 해준다.
(자가 간호 상황을 확인하고 보충해 줄 수 있다.)
6.필요시, 지지체계를 확인 후 소개해준다.
(-조금더 효과적으로 자가간호를 시행할 수 있다.)
7.퇴원 후 연락과 방문을 통하여 자가간호 상황을 확인하고 격려한다.
(환자의 퇴원 후 자가 간호를 격려하여 효율성을 높을 수 있다.)
간호수행(Nursing intervention)
1.6월3일 환자의 스스로의 질병과 상태에 대한 지식 및 자가간호의 정도를 확인했다.(스스로의 질병이 어떠한 것인지 이야기는 들었으나 잘 이해가 안되며 간호는 스스로 할 수 있는 부분이 없는거 같다고 생각하심)(by SN)
2.6월3일,4일 질병 및 관리에 대한 내용을 구두로 교육을 하였다.(by RN,SN)
3.6월 3일 이후 환자 스스로 관리를 실천 할 수 있게끔 격려했다.(by SN)
4.커튼을 쳐줌으로써 스스로의 공간과 환경을 만들어 주었다.(by RN,SN)
5.8시간 간격으로 V/S 측정시 자가간호 상황을 확인하며 격려해주었다.(by SN)
평가
-6월 5일 환자는 자신의 질병 및 관리에 대하여 이해하고 얘기하였다. (퇴원 전 질병 및 관리에 대하여 이해하였음을 보였다. -목표달성)
-6월 3일~6월 9일 퇴원전 자가 간호를 수행하는 행동을 보였다.(-목표달성)
-퇴원 후 스스로 자가 간호를 할 수 있다.(아직 퇴원을 하기전이라서 알수 없음.)
** 부분 목표 달성
Ⅸ. 참고문헌.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엮음, 2011년,『간호과정 실무지침』<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김금순 외 7명, 2012년,『성인간호학1』<수문사)
-한국간호교육학푀현,2004년,『질환, 증상별 치료와 간호지침』<한우리>
-차영남 외 13명, 2013년,『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현문사>
-이영휘 외 1명, 2013년, 『성인간호학1』<정담미디어>
6.기좌호흡 자세를 취하게한다.
(-기좌호흡은 흉곽을 넓게 유지 시켜주어 호흡 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쓸수 있어 배액관으로 인한 통증을 감소 시킬 수 있다).
7.필요시 처방된 약물을 주입 후 효과및 부작용을 관찰한다.
(-약물요법으로 인해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간호수행(Nursing intervention)
부위
빈도
양상
강도
6/3 00:00
가슴
지속적
쑤심
3
16:00
가슴
간헐적
쑤심
1
6/4 00:00
가슴
지속적
쑤심
2
16:00
가슴
간헐적
쑤심
1
6/5 08:00
가슴
지속적
쑤심
2
16:00
가슴
간헐적
둔함
1
6/6 08:00
가슴
간헐적
둔함
1
16:00
가슴
간헐적
둔함
1
6/7 08:00
가슴
간헐적
둔함
1
16:00
가슴
간헐적
둔함
2
6/8 08:00
가슴
지속적
둔함
1
16:00
가슴
간헐적
둔함
1
6/9 08:00
가슴
간헐적
둔함
1
16:00
전신
간헐적
둔함
1
6/10 08:00
서혜부
지속적
둔함
1
16:00
0
1.지속적으로 통증의 형태와 정도를 사정하고 기록했다.(by RN)
2.6월 3일 통증의 원인과 악화요인을 이해하고 교육 후 확인했다.(by RN,SN)
3.6월 2일 환자의 통증에 대해 지지적이며, 긍정적으로 의사소통을 했다.(by SN)
4.6월 3일 통증을 완화할 수 있는 요법 및 방법을 교육하고 계속적으로 관찰했다. (-심호흡, 입술 오므리기 호흡, 상상,적절한 운동 등 )(by RN,SN)
5.6월2일 편안한 휴식 시간과 휴식공간을 갖게 했다.(by RN,SN)
5-1. 커튼을 쳐주면서 개인적인 휴식공간을 유지할 수 있게끔 했다.
5-2.주변의 소음을 줄이도록 하였다.
5-3.적당한 실내 습도와 온도 및 환기를 유지했다.
5-4.침대를 깨끗하게 주름없이 유지하려 했다.
6.6월 2일 기좌호흡 자세를 취하게 했다.(by RN,SN)
7. 6월 2일 처방된 Denogan inj 1g 1val #1 IV로 주입 후 , 효과 및 부작용을 관찰했다.(by RN)
평가(Evaluation)
-6월 3일 이후 통증의 정도와 특성을 표현했다.(목표 달성)
-6월 3일 통증을 조절 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심호흡이나, 간단하 운동을 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목표 달성)
6/10
부위
빈도
양상
강도
00:00
전신
지속적
둔함
1
08:00
서혜부
간헐적
둔함
1
16:00
0
-6월 10일 통증의 정도가 감소하고 사라졌다.(목표달성)
-6월 10일 통증이 사라지고 이제는 좀 편안해졌다고 말했다.(목표달성)
**목표달성함.
2)통증
3) 자가 간호 향상 가능성
날짜
6/3~
간호사정(Nursing assessment)
S: \" 이정도로 심호흡 하면 되나요? “ ” 이 부분은 제가 해 볼께요!!“ ”아직, 어떻게 해야하는지 잘 모르겠어요.., 조금만 더 알려주세요“ ”그때 그때 , 이런거 저런거 듣고 싶어요“
O :
-6월2일 Hx 교육요구도 부분
(교육요규- 환자, 교육방법-구두, 읽고 쓰는데 어려운 없음, 주사용 언어 - 한국어, 원하는 교육 내용 - 질병 및 관리
-Hx 퇴원예정지 및 교통수단 : 자택과 자가용
-지식 부족을 보이심.
-신장 170cm, 체중 102kg, 비만도 35.29 -중증도 비만
간호진단(Nursing Dx.)
자가 간호 향상 가능성
간호목표(Nursing goals)
-환자는 퇴원 전까지 자신의 질병 및 관리에 대하여 이해하고 얘기할 수 있다.
-퇴원전 자가 간호를 수행하는 행동을 보인다.
-체중 관리에 대한 필요성을 이해하고 퇴원 후 실천 한다.
-퇴원 후 스스로 자가 간호를 할 수 있다.
간호계획(Nursing plan) 및 이론적 근거(Rational)
1.환자의 스스로의 질병과 상태에 대해 지식 및 자가간호의 정도를 확인한다.
(-환자가 어느 정도 알고 어느 정도의 정보를 필요로 하는지 확인하며 알맞은 교육을 할 수 있다.)
2질병 및 관리에 대한 내용을 교육한 후 시범을 보인다.
(-교육을 받은 수 적용하기 위해서 직접 보여 주는것이 효과적이다.)
3.환자 스스로 관리를 실천할 수 있게끔 격려한다.
(-실천을 유도하는데 효과적이다.)
4.스스로의 공간과 환경을 만들어 준다.
(타인의 신경을 덜 쓰고 스스로 행동 할 수 있다.)
5.8시간 간격으로 자가간호 상황을 확인하고 반응을 해준다.
(자가 간호 상황을 확인하고 보충해 줄 수 있다.)
6.필요시, 지지체계를 확인 후 소개해준다.
(-조금더 효과적으로 자가간호를 시행할 수 있다.)
7.퇴원 후 연락과 방문을 통하여 자가간호 상황을 확인하고 격려한다.
(환자의 퇴원 후 자가 간호를 격려하여 효율성을 높을 수 있다.)
간호수행(Nursing intervention)
1.6월3일 환자의 스스로의 질병과 상태에 대한 지식 및 자가간호의 정도를 확인했다.(스스로의 질병이 어떠한 것인지 이야기는 들었으나 잘 이해가 안되며 간호는 스스로 할 수 있는 부분이 없는거 같다고 생각하심)(by SN)
2.6월3일,4일 질병 및 관리에 대한 내용을 구두로 교육을 하였다.(by RN,SN)
3.6월 3일 이후 환자 스스로 관리를 실천 할 수 있게끔 격려했다.(by SN)
4.커튼을 쳐줌으로써 스스로의 공간과 환경을 만들어 주었다.(by RN,SN)
5.8시간 간격으로 V/S 측정시 자가간호 상황을 확인하며 격려해주었다.(by SN)
평가
-6월 5일 환자는 자신의 질병 및 관리에 대하여 이해하고 얘기하였다. (퇴원 전 질병 및 관리에 대하여 이해하였음을 보였다. -목표달성)
-6월 3일~6월 9일 퇴원전 자가 간호를 수행하는 행동을 보였다.(-목표달성)
-퇴원 후 스스로 자가 간호를 할 수 있다.(아직 퇴원을 하기전이라서 알수 없음.)
** 부분 목표 달성
Ⅸ. 참고문헌.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엮음, 2011년,『간호과정 실무지침』<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김금순 외 7명, 2012년,『성인간호학1』<수문사)
-한국간호교육학푀현,2004년,『질환, 증상별 치료와 간호지침』<한우리>
-차영남 외 13명, 2013년,『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현문사>
-이영휘 외 1명, 2013년, 『성인간호학1』<정담미디어>
추천자료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급성심근경색 STEMI)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간농양)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복부대동맥류)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흡인성폐렴)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췌장염, 췌장암)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코뼈골절)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협심증)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결장암)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간암)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