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단원
2. 단원의 개관
3. 성취 기준 및 단원 학습 목표
4. 단원 차시별 주요 학습 내용
5. 과학과 교수 학습 과정안
1) 문제 파악
(1) 전시 학습 회상하기
(2) 물체가 보이는 원리 이해하기
(3) 공부할 문제 확인하기
2) 문제 추구 및 해결
(1) 학습 순서 확인하기
(2) 실험설계1 : 물속의 동전 관찰하기
(3) 실험 및 관찰1 : 물속의 동전 관찰하기
(4) 실험설계2 : 물속의 젓가락 관찰하기
(5) 실험 및 관찰2 : 물속의 젓가락 관찰하기
(6) 관찰 결과를 토대로 추론하기
(7) 실험 결과 정리하기
3) 적용 및 발전
(1) 굴절의 원리 탐구하기
4) 정리
(1) 차시 예고
6. 평가 관점
7. 핵심 판서
2. 단원의 개관
3. 성취 기준 및 단원 학습 목표
4. 단원 차시별 주요 학습 내용
5. 과학과 교수 학습 과정안
1) 문제 파악
(1) 전시 학습 회상하기
(2) 물체가 보이는 원리 이해하기
(3) 공부할 문제 확인하기
2) 문제 추구 및 해결
(1) 학습 순서 확인하기
(2) 실험설계1 : 물속의 동전 관찰하기
(3) 실험 및 관찰1 : 물속의 동전 관찰하기
(4) 실험설계2 : 물속의 젓가락 관찰하기
(5) 실험 및 관찰2 : 물속의 젓가락 관찰하기
(6) 관찰 결과를 토대로 추론하기
(7) 실험 결과 정리하기
3) 적용 및 발전
(1) 굴절의 원리 탐구하기
4) 정리
(1) 차시 예고
6. 평가 관점
7. 핵심 판서
본문내용
수 있도록 합니다.
Sn, (교사의 설명, PPT를 통해서 실험 준비물과 실험 방법을 확인한다.)
준비물(좌동)
젓가락 대신 빨대나 나무젓가락 등 긴 물건을 사용할 수 있으나 물에 뜰 수 있기 때문에 무거운 쇠젓가락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실험에서 반드시 맡은 역할을 돌아가면서 바꿔 모든 학생들이 관찰하는데 중점을 둔다.
문제
추구
및
해결
실험 및 관찰2:
물속의
젓가락
관찰하기
T, 실험 순서 및 방법에 따라서 실험을 하고 관찰 결과를 실험 관찰에 그림으로 표현해 봅시다.
Sn, (실험을 하고 관찰 결과를 실험 관찰에 표현한다.)
T, 물을 부은 후에 컵 속의 젓가락 모습은 어떻게 보이나요?
S, 물을 붓지 않았을 때는 젓가락이 반듯하게 보이다가 물을 부은 후에는 젓가락이 꺾여 보입니다.
S, 물을 붓기 전에는 젓가락이 반듯하게 보이고, 물을 부은 후에는 젓가락이 짧아 보입니다.
실험관찰
실험을 통해 관찰한 후 실험 관찰에 결과를 그림으로 표현하게 한다.
관찰 결과를 토대로 추론하기
T, 물을 붓기 전에 보이지 않았던 동전이 물을 부은 후에 보이는 까닭을 모둠원들과 이야기해봅시다.
Sn, (물을 부은 후에 보이지 않던 동전이 보이는 이유를 모둠원과 이야기해 본다.)
T, 보이지 않던 동전이 물을 부은 후에 보이는 이유에 대해 여러분이 토의한 결과를 이야기해 볼까요?
S, 빛이 굴절하는 성질과 관계가 있을 것 같습니다.
S, 물을 부은 후 빛이 물과 공기의 경계에서 굴절하여 보이지 않던 동전이 보이게 됩니다.
T, 물을 부으면 젓가락이 꺾여 보이는 까닭을 모둠원들과 이야기해 봅시다.
Sn, (물을 부은 후 젓가락이 꺾여 보이는 이유에 대해 모둠원들과 토의해 본다.)
T, 물을 부으면 젓가락이 꺾여 보이는 까닭에 대해 토의한 결과를 이야기해 봅시다.
S, 빛이 굴절하는 성질과 관계가 있을 것 같습니다.
S, 물과 공기의 경계에서 빛이 굴절하여 빨대가 꺾여 보이는 것 같습니다.
동전과 젓가락을 관찰한 것을 기반으로 해서 물속에서 물체가 그렇게 보이는 이유를 추론해보게 한다.
문제
추구
및
해결
실험 결과
정리하기
T, 우리가 했던 실험의 결과와 이유를 정리해 봅시다.
<동전 관찰>
- 물 붓기 전: 보이지 않음
- 물 부은 후: 보임
<젓가락 관찰>
- 물 붓기 전: 반듯하게 보임
- 물 부은 후: 꺾여 보임
<물속의 물체가 실제 모습과 다르게 보이는 까닭>
- 공기와 물의 경계에서 빛이 굴절하기 때문
Sn, (실험의 결과와 이유를 교사의 설명을 통해 확인 정 리한다.)
실험의 결과와 이유를 요약하고, 판서를 통하여 정리해준다.
적용
및
발전
굴절의 원리
탐구하기
T, 물속에 검은 공이 있다고 가정하고, 그 공이 어떻게 보 일지 생각해 보고 다음 빈 칸을 채워 봅시다.
- 물속에 검은 공은 더 (가까이, 멀리) 있는 것처럼
보인다.
- 물은 실제보다 (깊은, 얕은) 것처럼 보인다.
S, 구슬은 더 가까이 있는 것처럼 보일 것입니다.
S, 물은 실제보다 얕은 것처럼 보일 것입니다.
T, 여러분이 계곡이나 강가에서 바닥이 얕은 줄 알고 들어갔는데, 생각보다 더 깊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바닥에 있는 돌을 쉽게 잡을 수 없는 것은 빛의 굴절 때문에 일어나는 일들입니다.
Sn, (교사의 설명을 통해서 빛의 굴절과 관련된 현상들을 확인한다.)
PPT
(굴절의 원리)
빛의 굴절이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교사가 직접 설명을 하여 이해를 돕는다.
정리
차시 예고하기
T, 다음 시간에는 볼록렌즈의 특징에 대해서 공부하겠습 니다. 이 시간 수업을 마치겠습니다.
Sn, (다음 시간 공부할 내용을 확인한다.)
교과서
104~105
평가관점
평가시기
평가방법
우리 생활에서 볼 수 있는 빛의 굴절 현상을 알 수 있는가?
빛이 공기와 물의 경계에서 굴절할 때 나타나는 현상을 관찰하고 그림으로 나타낼 수 있는가?
과학 실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우리 생활에서 볼 수 있는 빛의 굴절 현상에 관심을 갖는가?
수업 중
관찰 및 질문
핵 심 판 서
<공부할 문제>
: 물속에 있는 물체가 어떻게 보이는지 알아봅시다.
<학습 순서>
①: 물 속 동전 관찰하기
②: 물 속 젓가락 관찰하기
③: ①, ②의 이유 추론
5. 빛과 렌즈
<동전 관찰>
- 물 붓기 전: 보이지 않음
- 물 부은 후: 보임
<젓가락 관찰>
- 물 붓기 전: 반듯하게 보임
- 물 부은 후: 꺾여 보임
<물속의 물체가 실제 모습과 다르게 보이는 까닭>
- 공기와 물의 경계에서 빛이 굴절하기 때문
Sn, (교사의 설명, PPT를 통해서 실험 준비물과 실험 방법을 확인한다.)
준비물(좌동)
젓가락 대신 빨대나 나무젓가락 등 긴 물건을 사용할 수 있으나 물에 뜰 수 있기 때문에 무거운 쇠젓가락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실험에서 반드시 맡은 역할을 돌아가면서 바꿔 모든 학생들이 관찰하는데 중점을 둔다.
문제
추구
및
해결
실험 및 관찰2:
물속의
젓가락
관찰하기
T, 실험 순서 및 방법에 따라서 실험을 하고 관찰 결과를 실험 관찰에 그림으로 표현해 봅시다.
Sn, (실험을 하고 관찰 결과를 실험 관찰에 표현한다.)
T, 물을 부은 후에 컵 속의 젓가락 모습은 어떻게 보이나요?
S, 물을 붓지 않았을 때는 젓가락이 반듯하게 보이다가 물을 부은 후에는 젓가락이 꺾여 보입니다.
S, 물을 붓기 전에는 젓가락이 반듯하게 보이고, 물을 부은 후에는 젓가락이 짧아 보입니다.
실험관찰
실험을 통해 관찰한 후 실험 관찰에 결과를 그림으로 표현하게 한다.
관찰 결과를 토대로 추론하기
T, 물을 붓기 전에 보이지 않았던 동전이 물을 부은 후에 보이는 까닭을 모둠원들과 이야기해봅시다.
Sn, (물을 부은 후에 보이지 않던 동전이 보이는 이유를 모둠원과 이야기해 본다.)
T, 보이지 않던 동전이 물을 부은 후에 보이는 이유에 대해 여러분이 토의한 결과를 이야기해 볼까요?
S, 빛이 굴절하는 성질과 관계가 있을 것 같습니다.
S, 물을 부은 후 빛이 물과 공기의 경계에서 굴절하여 보이지 않던 동전이 보이게 됩니다.
T, 물을 부으면 젓가락이 꺾여 보이는 까닭을 모둠원들과 이야기해 봅시다.
Sn, (물을 부은 후 젓가락이 꺾여 보이는 이유에 대해 모둠원들과 토의해 본다.)
T, 물을 부으면 젓가락이 꺾여 보이는 까닭에 대해 토의한 결과를 이야기해 봅시다.
S, 빛이 굴절하는 성질과 관계가 있을 것 같습니다.
S, 물과 공기의 경계에서 빛이 굴절하여 빨대가 꺾여 보이는 것 같습니다.
동전과 젓가락을 관찰한 것을 기반으로 해서 물속에서 물체가 그렇게 보이는 이유를 추론해보게 한다.
문제
추구
및
해결
실험 결과
정리하기
T, 우리가 했던 실험의 결과와 이유를 정리해 봅시다.
<동전 관찰>
- 물 붓기 전: 보이지 않음
- 물 부은 후: 보임
<젓가락 관찰>
- 물 붓기 전: 반듯하게 보임
- 물 부은 후: 꺾여 보임
<물속의 물체가 실제 모습과 다르게 보이는 까닭>
- 공기와 물의 경계에서 빛이 굴절하기 때문
Sn, (실험의 결과와 이유를 교사의 설명을 통해 확인 정 리한다.)
실험의 결과와 이유를 요약하고, 판서를 통하여 정리해준다.
적용
및
발전
굴절의 원리
탐구하기
T, 물속에 검은 공이 있다고 가정하고, 그 공이 어떻게 보 일지 생각해 보고 다음 빈 칸을 채워 봅시다.
- 물속에 검은 공은 더 (가까이, 멀리) 있는 것처럼
보인다.
- 물은 실제보다 (깊은, 얕은) 것처럼 보인다.
S, 구슬은 더 가까이 있는 것처럼 보일 것입니다.
S, 물은 실제보다 얕은 것처럼 보일 것입니다.
T, 여러분이 계곡이나 강가에서 바닥이 얕은 줄 알고 들어갔는데, 생각보다 더 깊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바닥에 있는 돌을 쉽게 잡을 수 없는 것은 빛의 굴절 때문에 일어나는 일들입니다.
Sn, (교사의 설명을 통해서 빛의 굴절과 관련된 현상들을 확인한다.)
PPT
(굴절의 원리)
빛의 굴절이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교사가 직접 설명을 하여 이해를 돕는다.
정리
차시 예고하기
T, 다음 시간에는 볼록렌즈의 특징에 대해서 공부하겠습 니다. 이 시간 수업을 마치겠습니다.
Sn, (다음 시간 공부할 내용을 확인한다.)
교과서
104~105
평가관점
평가시기
평가방법
우리 생활에서 볼 수 있는 빛의 굴절 현상을 알 수 있는가?
빛이 공기와 물의 경계에서 굴절할 때 나타나는 현상을 관찰하고 그림으로 나타낼 수 있는가?
과학 실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우리 생활에서 볼 수 있는 빛의 굴절 현상에 관심을 갖는가?
수업 중
관찰 및 질문
핵 심 판 서
<공부할 문제>
: 물속에 있는 물체가 어떻게 보이는지 알아봅시다.
<학습 순서>
①: 물 속 동전 관찰하기
②: 물 속 젓가락 관찰하기
③: ①, ②의 이유 추론
5. 빛과 렌즈
<동전 관찰>
- 물 붓기 전: 보이지 않음
- 물 부은 후: 보임
<젓가락 관찰>
- 물 붓기 전: 반듯하게 보임
- 물 부은 후: 꺾여 보임
<물속의 물체가 실제 모습과 다르게 보이는 까닭>
- 공기와 물의 경계에서 빛이 굴절하기 때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