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주제학습 (장루간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주제학습 (장루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수술 전 준비
1. 장루부위 결정
2 .장루 장비의 준비

Ⅱ. 수술 후 간호
1. 환자교육
1) 피부간호
2) 장루세척
3) 냄새 및 가스조절
4) 성생활
5) 외출 및 여행
6) 활동
7) 사회활동

Ⅲ. 합병증 관리

본문내용

있으므로 이때는 배우자의 긍정적 태도가 또한 준비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간호사는 장루 보유자의 배우자에 대하여도 깊은 이해의 태도를 지녀야 한다.
5. 외출 및 여행
갑작스러운 장기간의 외출은 삼가도록 하고 집 주위 산책부터 시작해 서서히 익숙해져 가도록 한다.
최초의 여행에는 만일을 대비하여 가족이나 마음이 통하는 친구와 함께 가는 것이 좋다.
외출할 때에는 교환용 장루 주머니 등 필요한 것을 1회분씩 별로 나누어 작은 봉투에 넣어 휴대하도록 하고 장루 주머니의 구멍은 미리 가위로 오려두고, 작은 나일론 주머니를 준비하도록 한다.
6. 활동
장루 때문에 제한을 받는 일은 매우 적으나 복압을 상승시키는 일을 피해야 한다. 목욕, 샤워와 수영 시에 물이 장루를 통해 체내로 주입 될 것을 염려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는 장 내의 압력이 있기 때문에 물의 주입이 불가능하므로 통 목욕도 자유로이 할 수 있다.
운동은 몸싸움이 심하여 장루에 상처를 주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수술 전에 즐겼던 운동을 거의 다 할 수 있다.
7. 사회 활동
직업이 신체적인 무리(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아랫배에 힘이 주어지는)를 주는 경우에는 탈장이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수술 전 직업에 복귀할 수 있으나 많은 장루 보유자들은 수술 후 초기에 직장 생활을 포함한 사회생활 참여에 대하여 포기할 생각을 하게 되나 회복된 장루 보유자들은 수술 후 공백 기간이 짧을수록 신체적, 정신적 회복에 도움이 된다.
제한 없이 사회 활동을 잘 하는 장루 보유자와의 만남도 큰 도움이 된다.
합병증 관리
ㆍ 폐색 - 유착이나 음식물이 막혀서 발생할 수 있다. 폐색이 있을 시 분비물이 반고형 상 태에서 묽은 액체 상태로 변하고 고약한 냄새가 나며 경련과 복부팽만, 구토 등 의 증상을 나타낸다. 또한 장루에 부종이 있는지 관찰할 필요가 있다.
ㆍ 상처 감염 - 대장 수술을 한 환자에게 흔한 합병증으로서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수술 전 장준비를 철저히 하고 수술 후 배액을 잘 해야 한다. 그리고 절개부위가 장루 분비물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잘 맞는 주머니를 착용해야 한다. 상 처 감염이 발생한 경우 절개해서 배농시키고 항생제를 투여하며, 국소적 습 열을 적용하고 무균적으로 드레싱 한다.
ㆍ 장루의 탈출 - 이는 복부 근육이 약하거나 장루와 지지구조를 적절하게 봉합하지 못한 경우에 발생한다. 이때 의사는 조심해서 장루를 제자리로 밀어 넣고 환자 를 똑바로 눕힌다. 그리고 나서 재사용 가능한 장루 장비로 대치시키고 일시적으로 일회용 주머니를 부착한다. 이때 혈액순환이 잘 안 될 수 있 으므로 장루의 색을 세밀하게 관찰해야 한다.
ㆍ 협착 - 장루 내면이 좁아지는 것으로 장루 점막과 피부 사이의 접합 부위에 상흔조직이 형성되어서 생길 수 있다. 협착으로 인해 폐색의 증상이 나타나면 수술이 요구된 다.
ㆍ 장루 주위 탈장 - 갑자기 체중이 증가되거나 상처 감염이 있을 경우 또는 직근 밖에 장 루를 만든 경우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주머니가 장루와 완전히 접착 하지 못하게 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1.06.0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12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