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잔류형조현병 Residual Schizophrenia)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잔류형조현병 Residual Schizophrenia)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자료수집
1. 일반적 정보
2. 건강력
3. 신체검진
4. 발달력
5. 가족력
6. 정신상태 검사
7. 정신사회적 사정
8. 임상병리 결과
9. 임상심리 결과
10. 의학적 진단 및 치료계획

Ⅱ. 간호과정
1. 망상적 사고와 관련된 사고과정 장애
2. 병식결여와 관련된 비효율적 대응
3. 보행 시 부적절한 자세, 노화에 따른 신체 변화와 관련된 낙상 위험성

본문내용

대상자에게는 대상자의 망상에 대해 비판하거나 도전하지 않고 현실을 인식
하게 하는 중재가 필요하다.
2. 병식결여와 관련된 비효율적 대응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사정
- “그냥 불안하고 잠이 안오니까 병원에
왔지..내가 그렇게 아픈 사람이 아니야”
- “내가 여기 오려고 한 게 아닌데
사람들이 나를 잡아끌고 왔어 여기로..”
- “무슨 병이긴.. 잠 못 자고 그러니까
잘 자려고 온 거지”
- “난 병 없어”
- 병식 결여됨
- 병원에 온 이유를 물었을 때 다른
이유를 말함
- 2017년 8월 7일 SPR 증상으로 입원함
- 입원 시에는 언니, 여동생과 응급실로
입원함
- 환청, 환시, 망상으로 인해 입원치료
중이나 퇴원을 요구함
간호진단
병식결여와 관련된 비효율적 대응
목적
1. 대상자는 10월 31일까지 자신의 질병에 대해 인식한다.
2. 대상자는 10월 31일까지 자신의 질병에 대해 인정한다.
3. 대상자는 10월 31일까지 학생 간호사와 치료적 신뢰관계를 형성한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1. 대상자의
질병에 대한 인식상태를 사정한다.
1. 대상자와 잦은 면담을 통해 질병에 대한 인식을 사정하였다. (by SN)
- 면담 중 병식이 있는지
사정하였으나 병식이 전
혀 없었음
병식에 대한 사정은 대상자의 현실 인식에 도움이 된다.
2. 대상자의
병식에 대한 부정 및 결여에 대해 수용하고 감정적 지지를 한다.
2. 대상자의 병식에 대한 부정과 결여에 대해 도전하거나 비판하지 않고 수용하고 감정적인 지지를 하였다. (by SN)
도전, 비판, 논쟁,
무시 등은 신뢰관계를 방해할 수 있다.
3. 대상자에게 자주 접근하여 치료적 신뢰관계를 형성한다.
3. 매일 대상자와 20~30분 이상 대화를 하고 함께 시간을 보냈다. (by SN)
대상자와 잦은 면담, 접촉으로 치료적 신뢰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4. 대상자가
자신의 증상과 행동을 인정하도록 격려한다.
4. 대상자에게 증상과 행동을 보이면 학생간호사가 관찰한 대로 설명하여 대상자가 자신의 증상을 인식하도록 하였다. (by SN)
대상자에게 자신의 증상과 행동을 알려주는 것은 자신의 질병에 대해 인식하고 인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평가
1. 대상자는 자신의 질병에 대해 인식하지 못한다. (목표미달성)
(대상자는 여전히 병식이 없으며 다리가 아프다거나 속이 쓰리고 몸이 허약해
서 병원에 입원한 것이니 감옥 같은 병원에 가두지 말고 퇴원시켜 달라고 함)
2. 대상자는 자신의 질병에 대해 인정하지 못한다. (목표미달성)
(대상자가 보이는 증상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인정하지 못함, 자신은
정상이라고 말함)
3. 대상자는 10월 31일까지 학생 간호사와의 치료적 신뢰관계가 형성되었다.
(목표 달성)
(대상자를 처음만나 사정하던 당시 거부하고 회피하던 반응과 달리, 라포 형성
이 된 후에는 대화를 시도하면 거부하지 않고 잘 반응하였다.)
3. 보행 시 부적절한 자세, 노화에 따른 신체 변화와 관련된 낙상 위험성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사정
- “요새 몸이 왜 이리 허약하지...늙어서
그렇지 뭐...”
- “어깨랑 목 뒤에가 쑤시고 아파..”
- “허리가 왜 이렇게 아프지...”
- 노화에 따라 신체 근골격계의 변화가
오면서 허리가 굽고 몸이 전체적으로
기울어져 있음
- 보행 시 고개를 푹 숙이고 허리를
굽힌 채로 걸음
- 보행 시 앞을 보지 않고 걸음
- 침상 앞에서 바닥을 짚고 넘어질 뻔한
적이 있음
- 보행 시 자세가 기울어지며 종종
걸음을 치기도 함
- 보행 시 복도에서 넘어질 듯, 말 듯
위태롭게 걸음
- Main Drug로 올란자핀과
아리피프라졸을 복용하고 있음
- 몸이 기우는 EPS에 민감한 경향이
있음
간호진단
보행 시 부적절한 자세, 노화에 따른 신체 변화와 관련된 낙상 위험성
목적
1. 대상자는 10월 31일까지 낙상하지 않는다.
2. 대상자는 자세를 바르게 하여 걷는다.
3. 대상자는 낙상을 예방하는 방법을 알고 방법을 말할 수 있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1. 대상자에게 낙상을 예방하는 방법을 교육한다.
1. 대상자에게 낙상 예방법을 교육하였다.
(by SN)
- 침상에 난간이 없으므로
수면할 때는 침상의 가장
자리에 눕지 말고 중간에
누울 것을 교육함
- 슬리퍼를 확실히 신고
슬리퍼를 끌고 다니지 말
것을 교육함
- 샤워실에서 샤워하거나
화장실 이용 시 바닥이
미끄러울 수 있으므로 천
천히 걷고 벽이나 안전봉
을 잡을 것을 교육함
- 침상에서 일어날 때
어지럽다면 잠시 앉아서 쉬
었다가 일어날 것을 교육함
- 복도에서 걷다가 넘어질
수도 있으니 벽의 안전바
를 잡고 걸을 것을 교육함
- 무게 중심을 잃지 않도록
주머니에서 손을 빼고 걷
을 것을 교육함
대상자가 낙상 예방법을 알고 있으므로 스스로 낙상을 예방할 수 있다.
2. 대상자에게 바른 자세를 교육한다.
2. 대상자와 함께 걸으며 바른 자세를
교육하였다. (by SN)
- 고개를 들고 앞을 보며
걸을 것을 교육함
- 허리를 펴고 걸을 것을
교육함
- 종종걸음으로 걷지 말고
천천히 걸을 것을 교육함
바른 자세로 걷는 것을 교육하는 것은 보행 시 낙상을 예방한다.
3. 대상자가 어지러운지 사정한다.
3. 대상자가 어지러운지 사정하였다. (by SN)
- 어지러움을 느끼지 않는
다고 말하였음
- 어지럽기 보다는 몸이
약해진 것 같다고 함
어지러움은 낙상의 위험 요인 중 하나이다.
평가
1. 대상자는 10월 31일까지 낙상하지 않는다. (목표 달성)
2. 대상자는 바른 자세로 걷지 않는다. (목표 미달성)
(대상자에게 수시로 바른 자세로 걷는 방법을 교육하고 수시로 자세 교정을
해주었으나 바른 자세로 걷지 않는다.)
3. 대상자는 낙상을 예방하는 방법에 대해 말하지 못하였다. (목표 미달성)
(대상자에게 낙상 예방법에 대해 교육하고 질문하였으나 대답하지 못하였다.)
대상자에게 지속적인 자세 교정과 바르게 걷는 방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며
병동에서 개인위생관리 및 개인행동 시 주의하도록 낙상하지 않는 방법을 교
육해야 할 필요가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21.06.09
  • 저작시기201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12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